도서 소개
마흔, 인생이라는 마라톤의 중간 지점을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막막하다. 사회의 기대와 책임, 마음의 불안과 고민 사이에서 중심을 잃지 않으려면 이제 외면이 아닌 내면을 다지는 힘이 필요하다.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오늘의 마흔에 ‘생각하는 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삶을 바라보는 날카로운 통찰력이야말로 인생을 지탱하는 진짜 힘이기 때문이다.비트겐슈타인은 철학사의 이단아이자 20세기 최고의 천재로, 세상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으로 끝까지 삶을 살아 낸 철학자다. 그는 전쟁터 한가운데에서도 사유를 멈추지 않았고, 침묵과 고독, 혼란과 확신 사이에서 치열하게 자기 내면을 파고들었다. 생전 단 한 권의 책 《논리-철학 논고》를 남기며 언어 철학의 지평을 연 그는 마흔에 본인의 기존 철학을 전면 수정하며 삶과 사유 모두에서 한 단계 성숙해졌다. 그의 철학은 단순한 개념 이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삶을 정리하고 나아갈 방향을 세우는 데 쓰이는 길잡이였다. 복잡한 현실 속에서 본질을 가려내고 삶을 단단하게 세우는 것, 그것이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생각하는 힘’이다.《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은 마흔의 삶과 맞닿아 있는 자기 통제, 감정 극복, 고독, 침묵, 소통, 사유를 주제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36가지 조언으로 풀어낸다.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말고, 문제를 바라보는 방식을 바꿔라” 같은 문장은 일상의 불안과 혼란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각 장은 비트겐슈타인의 문장을 마흔의 현실에 적용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질문을 우리 스스로 던지고 답할 수 있도록 이끈다. 말이 빗나가고 관계가 흔들리는 시기, 이 책은 철학을 도구 삼아 중심을 되찾고, 생각하는 힘으로 삶을 다시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비트겐슈타인은 평생 외롭고 불안한 삶을 살았다. 주변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했다. 우울증에 시달리며 내면의 갈등과 치열하게 싸워야 했다. 그러나 고통 속에서 도망치지 않고 철학을 통해 깊이 사색하며 자신을 단련했다. 1916년 7월 16일 일기에는 다음과 같은 고백이 담겨 있다“거센 폭풍우가 몰아친다. 나는 산속에 고립됐고, 추위와 비바람, 짙은 안개 속에서 열악한 장비만으로 버텨야 한다. 온몸이 고통스럽고, 나 자신을 잃어버릴 것만 같은 두려움이 엄습한다. 나는 나약한 인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 정신만큼은 여전히 나를 지탱하고 있다.”-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스스로를 잃지 마라’에서
“삶이 버거울 때 우리는 먼저 상황을 바꾸려 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변화는 태도를 바꾸는 데서 시작된다. 그러나 이를 결심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다.”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절망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절망을 피할 수 없다면 그것을 삶을 더 깊이 이해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는 현실을 왜곡하지 않고 정직하게 마주하는 것이 현실을 극복하는 진정한 방법이라고 믿었다.- ‘주저앉아 흐느끼며 죽는 것보다 끝까지 전진하다가 죽는 것이 낫다’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임재성
인문·고전·교양 작가.안정적인 대기업에 몸담고 있다가 어느 날 문득 마음 한구석에 채워지지 않는 갈증을 느꼈다. 세상의 기준에 맞춰 달려온 길이었지만 걸음을 멈춘 순간 ‘진짜 중요한 게 뭘까?’라는 질문이 자라나기 시작했다. 그 물음 끝에서 만난 이가 바로 비트겐슈타인이었다.비트겐슈타인이 남긴 단 한 권의 책 《논리-철학 논고》의 난해한 문장들 앞에서 수없이 길을 잃고, 책을 덮었다 펴기를 반복하면서도 비트겐슈타인이 전하고자 했던 진짜 목소리를 들으려 애썼다. 그렇게 긴 시간 그의 문장과 씨름한 끝에야 말 너머에 숨은 뜻이 조금씩 다가왔다. 이후 비트겐슈타인의 문장을 현실의 고민과 연결해 마흔을 살아가는 이들의 언어로 다시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마흔의 삶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서로 닿아 있다. 청년기에는 논리와 수학으로 세계를 정의하려 했던 철학자가 마흔을 넘어서며 일상의 언어로 세계를 새롭게 사유했다.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도 그와 같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은 마흔의 일상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사이에 다리를 놓고자 한 기록이다.지은 책으로 《인간이 된다는 건 참으로 힘든 일입니다》, 《부와 성공을 부르는 유대인의 지혜》, 《동양의 마키아벨리 한비자 리더십》, 《삶의 무기가 되는 글쓰기》, 《질문하는 독서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