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여 년간의 직장 생활을 끝내고, 2012년 제주로 이주, 바다를 알고 싶어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대학원을 수료한 이재정의 첫 시집이다. 책은 제주가 가진 독특한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과 연결된 사회적 이슈를 탐구하고 있다.이재정 시인은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언론 활동과 문화기획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는 제주에서 바다와 친하게 지내는 법을 공부하고 있다. 그의 첫 시집은 섬이라는 공간이 인간에게 던지는 질문과 고독, 그리고 그 속에서 발견하는 희망과 회복의 과정을 담고 있다. 일상의 소소한 순간들 속에서 섬의 정체성과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며, 독자에게 깊은 감정적 여운을 남긴다.이제, 저 멀리 우리가 있는 것처럼제주공항 동쪽 한켠, 사람들은 사라져버린 작은 집터에서 친구 K가 한 말이다 남수각과 대숲만 남긴 도시에서 시를 쓰지 않고는 살 수 없어
제1부_ 섬이 네게 하는 말달뜬 목소리라, 자욱한 안개 속에 숨긴 두 남녀의 치정에 관한 이야기묘猫할 묘,남녀는 달 아래에서 모양이나 냄새가 묘하게 들떴다.이포 ‘안개’에 영감을 받아 ‘헤어질 결심’의 뼈대를 만들었다니 서로의 의심은 끝까지 풀릴 리 없고죽음 같은, 안개 외에도 기억 사연 관계 이별 등 사라지는 모든 것들은 슬프다- 시 「헤어질 결심」 전문
고립孤立은 다른 이들과 어울리어 사귀지 아니하거나 혼자가 된다는 명사어이고,혼자라는 말은 코발트와 불화하다 작고 붉음, 4‧3 동백에 열등한 외래종 동백색이다한 여자의 불완전한 이력서에 칼춤 추는 나라, 팔십년 가까이 미제로부터 완벽히 고립되어 덧씌워지는 보통의 불안그것이 섬의 고립이고 섬과 화산섬 사이 어떤 특별한 언어이다 언어의 선단(船團)을 띄워야 사는- 시 「붉음, 4‧3」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재정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를 졸업했다. 20여 년간의 직장 생활을 끝내고, 2012년 제주로 이주, 바다를 알고 싶어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대학원을 수료했다.‘불법의 시대’, 지금은 바다와 친하게 지내는 법을 공부하고 있다.첫 시집 『섬이 네게 하는 말』을 통해, 생(生)에서 한 번도 멈추지 않고 허공을 떠돌며 지내던 나의 우주선을 잠시 바다 위에 착륙시킨다. 바다에 닻을 내린 우주선은 뿌리와 가지가 늘어지고, 화르르 동백 꽃잎이 피어난다. 어쩌면 쓰러지고 사라지는 화산섬과 충돌하며, 완전히 소멸하는 나무가 되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나의 우주선은 몇 개의 레이어가 중첩된 사진 ‘화산섬의 이중초상화’처럼, 언제고 사라질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