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학년이 올라갈수록 아이들이 적어야 하는 글의 길이는 점점 길어진다. 또한 논술, 서술과 더불어 구술 평가에서도 자기 생각을 얼마나 조리 있게 표현하는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많이 알고 있다고 한들 스스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학교 선생님이 콕 집은 초등 처음 글쓰기: 논리 표현하기》에서는 초등학생이라면 꼭 한 번은 마주해야 할 다양한 논리적인 표현을 위한 글쓰기를 체계적으로 알려준다.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문장과 생각이 있다. 하지만 의미 없는 지문과 지나치게 어렵거나 쉬운 난도나 맥락 없는 구성을 만나다 보면, 날카롭지만 표현하지 못했던 생각이 조금씩 둔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아이들을 위해 안상현 선생님이 최적화한 교과 연계 핵심 주제와 문제를 풀어보자.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9살부터 자신만의 생각을 펼쳐 낼 13살까지, 나도 모르게 논리적인 글이 술술 풀려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매년 달라지는 평가, 하지만 모든 평가 방식의 기초는 글쓰기!
흔들리지 않는 논리 구조를 익히면 글쓰기는 저절로 된다!
스스로, 즐겁게, 끝까지 쓸 수 있게 익히는 놀라운 ‘4단계 글쓰기 학습법’
1. 상황과 주제의 특징부터 스스로 써보는 훈련까지 체계적인 지도법 수록!초등학교에서 마주할 상황이나 적어야 하는 글의 종류는 너무나 다양합니다. 하지만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고사를 생각해 보세요. 선생님이 가려 뽑은 주제와 단어, 글을 통해 내 생각의 뿌리를 깊게 뻗어두면 어떤 상황에서도 마음 편히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첫 한 줄이 무서운 친구도, 뒷받침 문장이 답답한 친구도 글쓰기에 부담 없이 긴 글을 거뜬히 써 내는 마법을 볼 수 있습니다.
2. 초등 교사가 들려주는 쉽고 재미있는 설명아무리 중요한 지식도 어렵게 설명하면 아이들에게 와닿지 않습니다. 아이들의 유한한 집중력을 무한한 상상력으로 바꾸려면 아이를 잘 이해하는 선생님이 필요하지요. 현직 초등 교사이자 유튜브로 활발하게 소통하는 ‘초등교사안쌤’ 안상현 선생님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고 친근한 언어로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풀어서 설명합니다.
3. 어렵지만 학교에서 꼭 필요한 논리 글쓰기 단계별 학습중학생이 되기 전에 익혀두어야 할 논리 글쓰기를 일상에서 마주할 다양한 상황과 엮어 친근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꼭 필요한 글쓰기인 설명하는 글쓰기, 주장하는 글쓰기, 제안하는 글쓰기, 토의&토론 글쓰기 등 다양한 종류의 논리 글쓰기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각 글의 요점이나 목적, 기법을 읽고 여러 종류의 글에 직접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이지만 뻔하지 않은 자유로운 글과 내 생각이 잘 드러난 글을 쓸 수 있습니다.
4. 문장 구성 능력을 풍부하게 만드는 ‘참고 답안’ 제공!이 책에는 정답이 있는 문제도 있지만, 배운 내용을 응용해서 자신만의 답을 적어야 하는 창의적인 문제가 풍부합니다. 또한 지문에 제시한 답을 쓰기 위해서는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어휘를 활용해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어휘가 늘고, 글의 내용을 훨씬 풍부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준비한 ‘참고 답안’ 속 표현과 자신이 직접 쓴 글을 비교해 읽으며, 좀 더 짜임새 있는 글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도 단단한 글을 적게 되는,
아이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꽃피우는 논리의 힘!학년이 올라갈수록 아이들이 적어야 하는 글의 길이는 점점 길어진다. 또한 논술, 서술과 더불어 구술 평가에서도 자기 생각을 얼마나 조리 있게 표현하는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많이 알고 있다고 한들 스스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학교 선생님이 콕 집은 초등 처음 글쓰기: 논리 표현하기》에서는 초등학생이라면 꼭 한 번은 마주해야 할 다양한 논리적인 표현을 위한 글쓰기를 체계적으로 알려준다.
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문장과 생각이 있다. 하지만 의미 없는 지문과 지나치게 어렵거나 쉬운 난도나 맥락 없는 구성을 만나다 보면, 날카롭지만 표현하지 못했던 생각이 조금씩 둔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아이들을 위해 안상현 선생님이 최적화한 교과 연계 핵심 주제와 문제를 풀어보자.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9살부터 자신만의 생각을 펼쳐 낼 13살까지, 나도 모르게 논리적인 글이 술술 풀려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루 5분, 초등 글쓰기가 저절로 됩니다!
거침없이 말하고 발표하고 질문하게 돕는
생각이 많은 친구를 위한 논리 수업다양한 매체에서 글을 쓰는 아이들은 보통 조용하고 생각을 차분하게 정리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이는 글쓰기의 힘을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저자의 말을 빌려오자면, “글쓰기는 곧 생각하는 힘이며, 표현하는 힘”이다. 좋은 글을 쓰는 친구들의 머릿속에는 반드시 좋은 논리구조가 있기 때문이다. 짜임새 있게 글을 적을 수 있다면 절대로 눌변일 수 없다.
먼저 1장에서는 설명하는 글을 배운다. 아이들이 많이 헷갈리곤 하는 설명과 의견의 차이는 무엇인지, 복잡하거나 낯선 것을 처음 만났을 때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상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2장은 주장하는 글이다. 일상 속 문제들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문장을 꺼낼 수 있도록 돕는다. 3장은 제안하는 글이다. 좁은 공간에서 벗어나 사회 속 이슈로 자기 생각을 또렷하게 정리할 수 있다. 마지막은 토의와 토론이다. 지금까지 배운 것으로 만든 단단한 생각 근육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운다.

글쓰기는 곧 ‘생각하는 힘’이며, ‘표현하는 힘’입니다. 이 책을 통해 더 많은 아이가 자기 생각과 주장을 당당하게, 멋지게 글로 펼쳐 내기를 바랍니다. 글쓰기는 절대 특별한 몇몇 아이들만의 것이 아닙니다. 모든 아이들을 위한,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표현의 도구입니다.
「머리말」 중에서
설명하는 글은 지식이나 정보를 사실에 근거해 전달하는 글입니다.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이 아닌, 사실을 중심으로 읽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낱말과 문장으로 써야 합니다.
「설명하는 글쓰기」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안상현
서울교육대학을 졸업하고, 교육전문대학원 교육 행정석사 과정을 마쳤다. 현재 초등학교 15년 차 교사로 서울신길초등학교 에서 아이들과 함께 행복한 학교 생활을 이어 나가고 있다. ‘초등교사안쌤’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초등 학습 내용뿐 아니라 생활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며 학생, 학부모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초등 맞춤법+받아쓰기 1, 2》, 《초등 완성 습관의 힘》, 《쌤이랑 초등수학 분수잡기 3~6학년》, 《초등학교 입학 전 학부모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90》 등을 썼다.안쌤과의 소통 창구유튜브 : 초등교사안쌤TV인스타그램 : @goodteacherinkorea네이버카페 : 행복한 초등생활
목차
머리말
1장 설명하는 글쓰기
01 설명과 의견을 구분해요
02 물건의 사용법을 설명해요
03 스포츠의 종목을 설명해요
04 과학 실험 과정을 설명해요
05 날씨와 계절의 특징을 설명해요
06 요리 과정을 설명해요
07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요
08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 설명해요
09 기념일의 의미를 설명해요
10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설명해요
2장 주장하는 글쓰기
01 주장과 근거를 익혀요
02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03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려야 합니다
04 장소마다 정해진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05 교통 규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06 피부색으로 차별하면 안 됩니다
07 공동 주택에서는 예절을 지켜야 합니다
08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지 않습니다
09 용돈을 계획적으로 써야 합니다
10 공공질서를 잘 지켜야 합니다
3장 제안하는 글쓰기
01 선생님께 인사를 잘 합시다
02 음식물 쓰레기를 줄입시다
03 우리 명절을 소중히 지킵시다
04 물을 아껴 씁시다
05 공정한 선거를 합시다
06 우리 문화유산을 보호합시다
07 고령화로 인한 사회 문제를 해결합시다
08 지구의 온도를 낮춥시다
09 생태계를 보호합시다
10 전쟁 대신 평화를 선택합시다
4장 토의&토론하는 글쓰기
01 모든 것을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을까요?
02 남녀의 역할이 정해져 있을까요?
03 자유와 평등 중 무엇이 먼저일까요?
04 권리와 의무 중 무엇이 더 중요할까요?
05 반려동물은 행복할까요?
06 어린이에게 다이어트가 필요할까요?
07 인공지능 로봇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08 억지로라도 독서를 해야 할까요?
09 부자는 세금을 더 내야 할까요?
10 동물 실험이 꼭 필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