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아 > 4-7세 > 창작동화 > 4-7세 외국그림책
엄마 이미지

엄마
여유당 | 4-7세 | 2025.05.23
  • 정가
  • 17,000원
  • 판매가
  • 15,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50P (5% 적립)
  • 상세정보
  • 22.3x22.3 | 0.463Kg | 48p
  • ISBN
  • 979119410006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언제 들어도 뭉클한 이름 엄마, 김완하 시인의 감동적인 시 「엄마」가 이명애 작가의 아름다운 그림에 담겨 시 그림책으로 태어났다. 첫돌 지나 말문을 트기 시작한 아기는 만나는 모든 것을 ‘엄마’라 부르며 세상과 연결되기 시작한다. 아빠 보고 엄마, 길 보고도 엄마, 산과 들, 나무와 바람, 바위를 보고도 ‘엄마’라 부르니, 그 모두가 아이를 키운다고 노래하는 시는 ‘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진리를 상기시키며 ‘엄마’의 의미를 확장한다.

아기의 맑은 눈으로 보면, 세상 모든 것은 실로 두 팔 벌려 반기는 ‘엄마’이고 그 따스한 품이다. 시 텍스트를 넘어 또 하나의 서사를 담은 그림은, 일상 속에서 자연과 교감하고 공동체와 연결되는 따뜻한 순간을 재치 있게 펼쳐낸다. 점점 단절과 대립으로 치닫는 사회에, 그림책 『엄마』는 온 세상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사랑으로 돌볼 때 아이도 사회도 온전히 성장한다는 사실을 가슴 벅차게 일깨운다.

시인의 섬세한 언어와 화가의 아름다운 그림이 만나 아기와 엄마로 관계 맺는 세상은 사랑과 신뢰로 가득함을 보여 주는 이 그림책을 아이를 키우는 양육자는 물론 우리 모두에게 권한다.

  출판사 리뷰

소월시 문학상 우수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을 수상한 김완하의 시 「엄마」,
BIB 황금사과상, 대한민국 그림책상 등을 수상한 이명애의 그림으로 다시 태어나다!

■ 언제 들어도 뭉클한 이름, 엄마!
-아기의 맑은 눈으로 보면, 세상 모든 것이 ‘엄마’


“첫돌 지난 아들 말문 트일 때
입만 떼면 엄마, 엄마
아빠 보고 엄마, 길 보고도 엄마
산 보고 엄마, 들 보고 엄마”


위는 이 시의 첫 연이다. 시에서처럼 아기가 말을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말하는 낱말은 ‘엄마’일 것이다. 김완하 시인은 첫돌 지난 아들이 입만 열면 ‘엄마’라고 부르던 것을 떠올리고 이 시를 지었다. 아빠인 자신을 보고도 ‘엄마’라고 하고, 길을 보고도 산과 들, 바위, 나무, 구름, 시냇물을 보고도 ‘엄마’라고 부르니 아기에게는 마주하는 세상 모든 것이 ‘엄마’였다. 시인의 섬세한 감성과 통찰력은 이를 지나치지 않고 아기의 언어처럼 단순하나 깊은 사유가 담긴 시 「엄마」를 낳았다. 아기는 보는 것마다 ‘엄마’라고 부르며 세상과 연결되고, 그 세상 속으로 점점 나아감을 노래한 것이다.

1995년 발표한 이 시는 시인의 시집 『그리움 없인 저 별 내 가슴에 닿지 못한다』(1995, 문학사상사)에 실렸고, 10년 뒤인 2005년에는 구성주 감독, 고두심 주연 영화 <엄마>의 표제시로 쓰이며 마지막 장면에서 낭송되었다. 30년이 흐른 지금도 많은 이들이 감동 속에 ‘엄마’의 깊고 큰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는 시다.

그런데 한 편의 시가 잊히지 않고 30년 동안 꾸준히 애송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명을 품고 낳고 기르는 ‘엄마’라는 존재 자체가 주는 울림 덕분이기도 하겠지만, ‘시’ 자체가 주는 즐거움, 감동과 여운이 없다면 어림없을 것이다. 문현미 시인은 이 시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논했다.

“어찌 보면 단순한 시인 듯하다. 하지만 ‘엄마’를 시적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화려한 수사보다 소박성과 진정성에 시적 묘미가 깃들어 있다. 시어의 반복을 통해 경쾌한 리듬이 살아나고 있어서 소리 내어 읽는 재미도 있다. 오랜만에 시를 읽고 난 뒤 마음이 편안해진다.” - 문현미(시인, 백석대 교수, 《기독교한국신문》, 2022.5.10)

책 뒤의 면지에 시 전문을 실었으니 시를 읊으며 오롯이 감상해 보면 좋을 것이다.

■ 모두가 아이를 키운다!!
-시인의 통찰, 자연과 교감하며 아이는 자란다

“아이를 키우는 것이 어찌 사람뿐이랴
저 너른 들판, 산 그리고 나무
패랭이풀, 돌, 모두가 아이를 키운다”


단순 소박하고 정겨운 시어, 경쾌한 리듬은 읽는 이를 즐겁고 편안하게 한다. 그러나 시인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묵직하고 뭉클한 감동을 안겨 주며 ‘엄마’의 근본적인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위는 시의 마지막 연으로, 만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을 엄마라고 칭하는 아기에게서 얻은 통찰이다. “모두가 아이를 키운다”는 문장은 ‘엄마’, 곧 생명을 품고 성장시키는 존재는 비단 한 사람의 엄마에 그치지 않고, 아이가 마주하는 산, 들, 바람, 나무 등 자연과 아이를 둘러싸고 있는 공동체 전체로 나아간다.

아기의 맑은 눈으로 본다면, 세상 모든 것은 실로 두 팔 벌려 반기는 ‘엄마’이고 엄마의 따스한 품이다. 그 모두가 아이를 키운다고 노래하는 시는 ‘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진리를 상기시키며 ‘엄마’의 의미를 확장하고, 생명을 대하는 우리 태도 또한 돌아보게 한다. 반칠환 시인의 비평을 보자.

“천지 만물을 엄마로 호명하는 저 아이로부터 새삼 깨우친다. 누구나 천지 만물을 ‘엄마’로 부를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져 있을 것인가? 우리는 그동안 얼마나 많은 엄마를 잊어버리고, 엄마의 가슴을 어지럽히며 살아왔는가? 이젠 정말 우리 모두의 ‘엄마’를 찾아야 할 때 아닌가.” -반칠환(시인, 《동아일보》 2014. 4. 25)

점점 단절과 대립으로 치닫는 사회에, 시 「엄마」는 온 세상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사랑으로 돌볼 때 아이도 사회도 온전히 성장할 수 있음을 가슴 벅차게 일깨운다.

■ 평범한 일상 속 반짝이는 순간들!
-산책길에 펼쳐 놓은 화가의 마음, 연결과 평화의 서사


30년 세월이 깃든 시 「엄마」를 시각화한 그림작가 이명애는 따뜻한 파스텔 톤으로 그린 그림 속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일련의 상황을 부여하고 또 하나의 서사를 실어 시 세계를 풍부하게 구현했다. 아기를 돌보거나 옆에서 지켜본 사람이라면 금세 공감할 만한 장면으로 그림의 서사는 시작된다.

가방과 장난감, 아기 신발이 보이는 면지를 넘기면, 엄마와 아기가 곤히 잠자고 있는 속표제지가 나온다. 아기는 엄마의 배 위에서 잠들어 있고, 엄마의 안경은 바닥에 놓여 있다. 이 평화로운 장면에 잠시 머물렀다 책장을 넘기면, 먼저 깬 아기가 엄마 얼굴에 안경을 씌워 주려는 장면이 펼쳐진다. 이어서 엄마, 엄마를 연발하며 노는 아기, 자신의 작은 가방을 들고 엄마 다리를 붙잡은 채 엄마! 하고 부르는 모습이 나온다. 이쯤 되면 독자들은 시 텍스트에 없는 말들을 알아차리고 둘의 다음 행보를 기대하게 된다.

역시나 엄마는 가방과 유모차 등을 챙기고 둘은 외출한다. 물론 아기는 자신의 가방을 메었다. 이렇게 집을 나선 엄마와 아기는 마을을 빙 둘러 구석구석 산책한다. 노란 꽃이 만발한 들판과 길옆 소나무를 지나고, 햇살과 바람을 느끼고, 도랑물에 발을 담그고, 지나가는 황소도 보고, 구름을 보며 아기는 그 모든 것을 ‘엄마’로 부르며 자연과 교감한다. 그리고 황홀한 노을 아래 아빠 품에 안겨 돌아와서는 푹 잠든 모습으로 그림의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아기 옆에는 무엇이 놓여 있을까?

독자들은 엄마, 엄마 소리를 들으며 아기와 함께 산책하면서 아름다운 자연을 만나고 평화로움에 젖어들다가 때로는 웃음 짓고 때로는 뭉클한 순간을 맞게 될 것이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자연을 호흡하고 공동체와 연결되는 따뜻한 순간을 담아낸 화가의 재치를 놓치지 말자.

★누리과정
예술경험> 아름다움 찾아보기
의사소통>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

★교과 연계
1학년 2학기 국어 2. 소리와 모습을 흉내내요
2학년 1학기 국어 1. 시를 즐겨요
2학년 1학기 통합(여름2) 2. 초록이의 여름 여행
2학년 2학기 통합(가을2) 1. 동네 한 바퀴

첫돌 지난 아들 말문 트일 때
입만 떼면 엄마, 엄마
아빠 보고 엄마, 길 보고도 엄마
산 보고 엄마, 들 보고 엄마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완하
1987년 『문학사상』 신인상을 받으며 시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한남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2002년 계간 『시와정신』을 창간했고, 2023년 시와정신아카데미를 열어 시의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집 『마정리 집』 『그리움 없인 저 별 내 가슴에 닿지 못한다』 『길은 마을에 닿는다』 등과 연구서 『신동엽의 시와 삶』 『김완하의 시 속의 시 읽기』(전9권) 등을 지었습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