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이주노동자, 장애인, 미혼모, 희귀·난치병 환자, 병역거부자, 청소년, 노숙인, 쪽방사람들, 신용불량자, 비정규직 노동자, 영세 어민들, 성소수자, 독거노인, 탈북 새터민까지 이 땅에서 차별받고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소수자들. 저자 이수현은 우리 옆에 살고 있으며 우리가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을 찾아 현장취재를 하고, 르포 형식으로 글을 담아냈다. 우리 사회 약자와 소수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일상의 고통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또한 매 꼭지마다 전문가 기고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저자는 일하면서 더욱 가난해지는 신빈곤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빈익빈 부익부가 더 심화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 소수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 시대 약자와 소수자 문제에 천착하는 것은 진보의 과제이고, 소수자 문제를 외면하고서는 진보를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나 혼자 잘 사는 사회가 아닌, 더불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도 소수자와의 연대는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준다.
출판사 리뷰
▶ 우리가 살피지 못했던 소수자의 삶
그들과 함께 아파하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
이주노동자, 장애인, 미혼모, 희귀·난치병 환자, 병역거부자, 청소년, 노숙인, 쪽방사람들, 신용불량자, 비정규직 노동자, 영세 어민들, 성소수자, 독거노인, 탈북 새터민까지 이 땅에서 차별받고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소수자들. 저자 이수현은 우리 옆에 살고 있으며 우리가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을 찾아 현장취재를 하고, 르포 형식으로 글을 담아냈다. 우리 사회 약자와 소수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일상의 고통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또한 매 꼭지마다 전문가 기고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추천사를 쓴 박노자는 ‘우리 모두 소수자다!’라고 하였다. 지배계급이 사회적 자원을 독점하는 사회에서 피지배 계급의 대다수가 이런저런 측면에서 ‘소수자’의 신세라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만 850만 명인 사회에서 우리는 언제 소수자의 처지로 떨어질지 모르는데 우리 사회의 의식은 아직도 그들을 차별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의식이 존재를 배반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일하면서 더욱 가난해지는 신빈곤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빈익빈 부익부가 더 심화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 소수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 시대 약자와 소수자 문제에 천착하는 것은 진보의 과제이고, 소수자 문제를 외면하고서는 진보를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나 혼자 잘 사는 사회가 아닌, 더불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도 소수자와의 연대는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준다.
이제는 혼혈인, 이주노동자, 기지촌 여성 등 이 땅에서 살고 있는 소수자들에 대해 깊은 이해가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한다. 아울러 4월 20일은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인데 장애인들은 아직도 장차법 제정과 교육권, 이동권을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지만 반향 없는 메아리이기 일쑤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 옆의 약자에 대한 조금의 관심이라도 기울일 수 있기를 희망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수현
1968년 인천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으며, 20대 후반 3년여 동안은 부산에서 자동차 정비사로 일 하기도 했다. 1997년부터 서울에서 취재기자로 일하고 있는 지은이는 <서울전자신문> 등 정보통신 매체를 거쳐 민주노동당 기관지 주간 <진보정치>에서 취재기자로 일했다.2004년 4월 총선 이후에는 <매일노동뉴스 www.labortoday.co.kr>에서 취재기자로 일했으며, 현재는 객원기자로 있다. 지역의 풀뿌리 민주주의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필자는 <은평시민신문> 시민기자로 활약하며 노동과 진보와 관련한 다양한 기사를 싣고 있다.
목차
추천사
들어가는 말
1장. 하인스 워드와 토비 도슨, 그리고 단일민족의 신화
이주노동자와 그 아들, 딸들의 소박한 꿈
이주노동자 활동가들이 꿈꾸는 세상
양육과 입양 사이 흔들리는 미혼모들
2장. 누구라도 장애인이 될 수 있다
차별금지법 제정 외치는 장애인들
노동하는 장애인들의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시설을 거부하는 중증장애인들
3장. 사회적 약자, 소수자들 이야기
종교·양심적 사유의 병역거부자들
이 땅에서 성소수자로 살아가기
고통 속에 살아가는 희귀, 난치병 환자들
늙고 병든 것만도 서러운 독거노인들의 삶
학습 노동에 시달리는 우리 청소년들
4장. 주거의 소외, 끝없이 쫓겨나는 삶
빈 집 점거에 나선 노숙인들의 반란
소외된 사람들의 마지막 거처, 쪽방
충남지역 부도 임대아파트를 가다
5장. 유전무죄, 무전유죄
생활고 때문에 자살하는 사람들
목사, 불교신자의 신용불량 탈출기
파산, 면책 여성들 이야기
6장. 비정규직 노동자, 어민의 삶
이 땅에서 비정규직 맞벌이 부부로 산다는 것은
울산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찾아
부산 중소영세사업장 노조탄압, 고용불안에 시름
어선 빼앗긴 부산남항 중소어민들
삼천포항 영세어민들의 시름과 좌절
7장. 탈북 새터민 이야기
새터민 수용도 못하면서 통일하자고?
부록: 와인과 음식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