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수상한 식모들』과 『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로 각각 ‘문학동네소설상’과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한 박진규 작가에게는 소설가 말고 또 다른 직업이 있다. 바로 40년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 유일의 수사 전문지 『수사연구』의 편집장이라는 것이다. 일반인 중에 월간지 『수사연구』에 대해 알고 있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이 비밀스러운 잡지는 수십 년간 경찰 관계자들의 손에서 손으로 전해 내려오며 명실상부한 살인 사건 교재이자 참고 자료가 되어왔다. 이 잡지에는 안에 담긴 사체 사진과 기사의 내용이 너무나 적나라해서 아예 밀봉된 페이지도 있었다. 대중에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수사연구』는 강력반 형사들과 국정원 요원들이 아끼는 잡지, 나아가 <그것이 알고 싶다>나 <용감한 형사들> 같은 프로그램의 제작진도 손에 넣고 싶어 하는 ‘범죄 수사의 보고’였다.2017년 프리랜서 기자로 『수사연구』와 인연을 맺은 박진규 작가는 지금은 편집장과 취재 기자를 겸하며 매달 새로운 사건, 새로운 형사들을 만나고 있다. 이 책에는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이 특수 잡지의 히스토리부터 그가 취재한 12건의 살인 및 강력 사건의 수사 과정과 비하인드 스토리, 형사들의 피·땀·눈물을 생생히 담았다.

추리소설 마니아는 아니지만 어쩌다 보니 소설가, 시인, 평론가보다 형사들의 연락처를 더 많이 알게 됐다. 그리고 사람 만나기 싫어하는 내가 『수사연구』의 편집장이자 기자로 매달 섭외, 취재, 기사 작성, 원고 독촉, 잡지 마감을 반복하고 있다. 아마 2000년대에 등단한 소설가 중에 경찰서를 나보다 더 많이 드나든 사람은 없을 것 같다.
사체는 변사 현장에 있는 주검이지만 사건을 재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증거자료 역할도 한다. 일단 사체를 관찰해 변사와 자살, 타살을 어느 정도 구분한다. 사체의 부패 정도를 살피면 사망 시기 또한 유추할 수 있다. 만약 살인 사건이라면 사체의 상처 등을 통해서 살인의 이유는 물론 살인자의 심리 상태까지 예측이 가능하다. 그러니 형사들은 수사라는 창문을 통해 현장의 사체를 다시 보는 셈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생강
2005년 장편소설 《수상한 식모들》로 문학동네소설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2017년 《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로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장편소설 《에어비앤비의 청소부》 《빙고선비》, 청소년 장편소설 《환상박물관 술이홀》 《나의 아메리카 생존기》 등을 출간했다. 수사전문지 <수사연구>의 책임편집자, 엔터미디어에 <소설가 박생강의 옆구리TV>를 연재하는 대중문화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