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천년이 넘도록 전통 학문으로 전해 내려온 풍수지리에 대해 불신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풍수지리는 신앙도 아니고 전설도 아닌 최고급 실용학문이다. 특히 현공풍수는 중국 당나라의 국사 양균송 선생이 창안한 이기풍수비법으로 형기풍수의 공간을 기본으로 하고 시간과 좌향을 적법하게 배합하는 시공의 풍수법이다.
현공풍수는 보이지 않는 氣의 정체를 1∼9의 숫자조합으로 환산하여 디지털방식으로 길흉화복을 판단하는데, 그 방법이 쉽고 간단하면서도 적중률이 뛰어나 ‘人力勝天’ 하는 기묘한 풍수비법으로 역학계의 최고급 실용학문이다.
출판사 리뷰
시간과 공간의 철학
최고급 실용학문 현공풍수
천년이 넘도록 전통 학문으로 전해 내려온 풍수지리에 대해 불신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풍수지리는 신앙도 아니고 전설도 아닌 최고급 실용학문이다. 특히 현공풍수는 중국 당나라의 국사(國師) 양균송(楊筠松) 선생이 창안한 이기풍수비법으로 형기풍수의 공간을 기본으로 하고 시간과 좌향을 적법하게 배합하는 시공(時空)의 풍수법이다.
현공풍수는 보이지 않는 氣의 정체를 1∼9의 숫자조합으로 환산하여 디지털방식으로 길흉화복을 판단하는데, 그 방법이 쉽고 간단하면서도 적중률이 뛰어나 ‘人力勝天’ 하는 기묘한 풍수비법으로 역학계의 최고급 실용학문이다.
• 하도와 낙서, 선후천 팔괘와 구성의 순역비포, 3원9운.
• 하괘(체괘), 왕산왕향, 쌍성회향, 쌍성회좌, 상산하수.
• 반(복)음, 방분법, 성문결, 지운의 쇠왕, 생극제화법.
• 삼반괘, 합십법, 현공나경사용법, 대소공망의 원리.
• 현공풍수이론은 음택과 양택에 적용하는 법이 같기 때문에 동시에 음·양택을 알게 된다.
• 7운(1984-2003년)에 甲, 庚, 乾, 亥, 巽, 巳 6개 좌향
• 8운(2004-2023년)에 艮, 寅, 坤, 申, 戌, 辰 6개 좌향으로 건축을하거나 묘를 쓰면 패가망신하는 이치와 원리를 알게 된다.
• 9운(2024-2043년)에 子, 癸, 丙 3개 좌는 雙星會坐의 反伏吟으로 위의 7운, 8운의 上山下水의 伏吟에 비하여 凶의 정도는 약하지만 역시 조심하여야 한다.
• 현공풍수법은 기존의 포태이론(일명 4대 수구법)이나 동(서)사택법과는 전혀다른이론이다.
형기(形氣)풍수가 공간개념을 위주를 하는 분야이고, 이기(理氣)풍수가 시간개념을 위주로 하는 분야라면, 현공풍수법의 기본 원리는 공간과 시간을 배합한 풍수학문이다. 공간에 시간이란 개념이 더하면 변화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다. 따라서 현공풍수는 시기에 따라, 즉 운(運)에 따라 길흉화복(吉凶禍福)이 항상 변화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삼합풍수와는 근본적으로 전혀 다른 이론이다.
吉地의 三大 조건으로 산수(山水), 좌향(坐向), 시기(時期)가 있다.《葬書(장서)》에 이르기를『天光下臨(천광하림), 地德上載(지덕상재)』라고 하여 천광(天光)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고
地德(지덕)은 밑에서 위로 실어준다고 하였다.
「天光」은 천체(天體)의 운행에 따른 時運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기풍수의 의미이고,「地德」은 용혈사수(龍穴砂水)인 형기풍수를 의미한다.
고추 모종은 아카시아꽃 필 무렵에 심어야 되듯이 모든 일에는 적절한 시점[timing]가 있다. 시간[time]은 體가 되고 시점(時點; timing)은 用이 된다. 형기풍수로 龍穴砂水가 뛰어난 吉地라도 이기풍수의 坐向에 따른 時期가 적합하여야 發福을 받는다는 논리이다.
목차
서 문
증보판을 내면서
제1부 풍수지리의 개요
1. 「풍수지리」란?
- 장풍득수(藏風得水)와 영생피살(迎生避殺)
- 장풍과 방풍의 차이는?
- 사람은 죽어도 뼈는 살아있다
2. 풍수지리의 분류
- 형기풍수와 이기풍수
- 삼합풍수의 오류
- 현공풍수의 이치는 변화에 있다
3. 명당의 5가지 조건
- 용(龍), 혈(穴), 사(砂), 수(水), 향(向)
4. 현공풍수의 원리와 역사
- 현공풍수는 동양철학의 종합학문이다
- 현공풍수의 역사와 전파
제2부 현공풍수학의 이론
1. 河圖(하도): 體
2. 洛書(낙서): 用
3. 선천복희팔괘도(先天伏羲八卦圖)
4. 후천문왕팔괘도(後天文王八卦圖)와 洛書
5. 20년을 주기로 운이 바뀐다.
6. 24坐의 음양(陰陽)과 순역(順逆)
7. 3元 9運 24坐向 陰陽圖
8. 하괘(下卦)와 체괘(替卦)의 구분
9. 하괘(下卦) 산출법
10. 4국의 종류
11. 4국 이해(1): 왕산왕향(旺山旺向)
12. 4국 이해(2): 쌍성회향(雙星會向)
13. 4국 이해(3): 쌍성회좌(雙星會坐)
14. 4국 이해(4): 상산하수(上山下水)
15. 4局의 배합(配合)과 불배합(不配合)
16. 山水의 분류
17. 체괘구결(替卦口訣)
18. 체괘산출법(替卦算出法)
19. 기국(1): 합십(合十)
20. 기국(2): 연주삼반괘(連珠三盤卦)
21. 기국(3): 부모삼반괘(父母三盤卦)
22. 성문결(城門訣)
23. 地運法(1): 小地의 地運계산법
24. 地運法(2): 大地의 地運계산법
25. 수부주(囚不住)
26. 복음(伏吟)의 大凶
27. 대문(大門)
28. 1-9運別 쇠왕표(衰旺表)
29. 북두칠성타겁(北斗七星打劫)
제3부 7~9운 해설집
1. 7운 24坐向 해설집
2. 8운 24坐向 해설집
3. 9운 24坐向 해설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