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경제,경영
바이오와 헬스케어는 어디서 만나는가(Rethinking Cluster Strategies) 이미지

바이오와 헬스케어는 어디서 만나는가(Rethinking Cluster Strategies)
CapstoneBridge(캡스톤브릿지) | 부모님 | 2025.09.08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3x21.7 | 0.150Kg | 115p
  • ISBN
  • 979119944700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전국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있는 것’과 ‘작동하는 것’ 사이에서 멈춰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진단하고, 정부·연구소·병원·대학·기업이 함께 움직이는 융합 생태계 전략을 제안한다. 현장과 정책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찰을 통해, 바이오와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 공공의 재정의, 데이터 윤리와 제도화, 지방 클러스터의 가능성까지 한국 바이오·헬스케어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한다. 기술이 아닌 구조, 성장보다 공존을 이야기하는 이 책은 바이오와 헬스케어가 진정으로 만나는 지점을 묻는다.

  출판사 리뷰

– 클러스터 전략, 병원과 대학, 제도와 실행력이 교차하는 생태계 설계의 기록
전국 곳곳이 '바이오 클러스터'를 외친다. 병원은 있고, 연구소도 있다. 창업공간도 차려졌다. 그런데 왜 여전히 "클러스터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올까? 『바이오와 헬스케어는 어디서 만나는가』는 바이오와 헬스케어를 단지 산업의 이름이 아니라 융합적 생태계로 바라보는 시선에서 출발한 책이다.
이 책은 바이오헬스 정책과 클러스터 전략을 실제 컨설팅·기획 현장에서 경험한 저자가 전국의 바이오 클러스터 현황을 면밀히 진단하고, 정부·연구소·병원·대학·기업이 제대로 연결되지 못한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혁신을 낳는 시스템의 조건, 산업의 앵커가 되는 방식, 지역 특성화가 가능한 생태계 전략까지—단순한 현황 보고를 넘어, 우리나라 바이오·헬스케어 전략의 근본적인 재설계를 제안한다.
기술은 있지만 구조는 없고, 투자는 있지만 성장은 더딘 우리나라 클러스터의 현실. 이 책은 단기 육성책이 아닌, 사람과 제도, 데이터와 지역이 조화롭게 엮이는 통합형 클러스터 모델을 제시한다.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것은 기술보다 사람이 머무는 구조임을 강조한다.
이 책을 덮는 순간, 당신은 이제 클러스터를 지역개발의 수단이 아닌 생명의 미래를 설계하는 공간으로 바라보게 될 것이다. 바이오와 헬스케어가 만나는 접점은정책과 실행의 경계에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고주형
○ 바이오·헬스케어 경영컨설턴트 | 공인회계사(美) ○ 美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U.S.) 보건의료정책·의료경영학석사(M.H.A.) 졸업 ○ 현) 캡스톤브릿지(주) 대표이사 | 전) 美 FTI Consulting Inc., FTI Healthcare(Atlanta & New York, U.S.) | 전) 삼일회계법인(서울) ○ 경영컨설팅사 캡스톤브릿지(2014.10~) 개요 - 바이오․헬스케어 및 융합 부문 중앙정부․지자체, 공공기관, 병원, 연구소 대상 예비타당성 조사, 국가연구개발 연구기획, 중장기 전략 수립 컨설팅사 ○ 20여 년간 바이오·헬스케어 및 기술융합 분야 경영컨설팅 수행 - (국내 바이오) 광역자치단체 바이오 육성계획, 바이오 R&D 예비타당성조사, 인공지능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전략, 대학 바이오캠퍼스 신설 연구기획, 유휴부지 마스터플랜, 첨단재생의료연구센터 연구기획, 바이오클러스터 기능 고도화 연구기획, 국가R&D사업 연구기획, 바이오 시험·검사·분석 신사업 전략 수립,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인력양성센터 기획, 의료데이터 중심병원-바이오 활성화전략,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전략, 의료장비 기술사업화 협상전략, 백신산업단지 구축 전략, 건강기능식품지원센터 기본구상 등 다수 - (국내 헬스케어) 상급종합병원 발전전략, 공공병원체계 구축 전략, 상급종합병원 새병원 타당성조사, 지방의료원 운영 정상화와 예비타당성조사, 치과대학병원 경영전략, 의료시설용지 개발전략, 의료용중입자치료센터 활성화전략, 상급종합병원 중증질환·희귀난치성질환 의료협력체계 구축전략, 암전문병원 의료인재양성센터 전략, 경찰병원·보훈병원 등 특수병원 전략 등 다수 - (해외 바이오·헬스케어) 다병원체계(종합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의 중증질환 등 질환별 민간보험 재무전략, 종합병원 제약프로세스 개선, 종합병원 원가절감·구매 프로세스 개선 기획, 지역거점종합병원 수술기능 강화 전략 - (국내 기술융합) ICT 융합단지 마스터플랜, 종합환경연구단지 마스터플랜, 광역자치단체 창업생태계 구축 전략, 인공지능 EMR 해외시장 진출전략, 탄소소재 산업단지 고도화 전략, 기술경영 국내·외 시장진출 역량강화 사업, 디지털 신기술 활용 교류전략,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 전략 등 ○ 주요 외부 활동 현)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연구개발 자문위원(2023~) | 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본과 Elective Program 지도교수(2018~) | 전) 동아일보 동아비즈니스리뷰(DBR) 헬스케어 부문 객원 편집위원 ○ 저서 – 의대 본과생에게, What they didn’t teach you in med school(고주형)

  목차

◇ 프롤로그 ◇
◇ 저자 소개 ◇

Chap I. 클러스터, 과연 생태계 구축은 가능한가

1. 장소는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가, 클러스터를 둘러싼 공간의 의미
2. 전국이 바이오 클러스터 시대, ‘있는 것’과 ‘작동하는 것’은 다르다
3. 클러스터 기능 고도화, 벤치마킹이 과연 답인가?
4. 노벨상을 위한 나라는 없다 ; 노벨상, 시스템의 결과
5. ‘기다릴 수 있는’ 클러스터를 만들자

Chap II. 병원은 경계를 넘을 수 있는가

1. 대학병원은 다시 도시 전략의 핵심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2.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재해석 : 산업 거점으로
3. 병상 중심주의를 넘어… 예타 실패의 구조를 돌아본다
4. 양성자·중입자치료센터, 병원경영을 다시 설계할 기회
5. 공공의료의 범위, ‘재난 대응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6. 치과대학병원의 역량 강화 : 디지털 기술과 의료산업화의 교차점에서

Chap III. 대학이 빠진 클러스터는 뿌리가 없는 것이다

1. 의료의 ‘연구’와 바이오의 ‘연구’는 왜 따로 움직이는가
2. 소부장이야말로 대학이 해야 할 일이다
3. 인재양성의 역할 전환
4. 의사인력, 지역에 남는 구조가 되려면...
5. 대학, 역할의 나열을 넘어, 전략의 주체로

Chap IV. 작동의 조건, 정책과 시장 사이

1. 창업은 있고, 지원도 있다… 이후 성과점검은?
2. 스타트업, 글로벌 문 앞에서 멈추는 이유
3. 의료데이터 활용방안, 단순 저장소를 넘어

Chap V. 지역이 이끄는 클러스터 재설계

1. 경쟁과 클러스터 전략의 품위
2. 그들은 어떻게 유치했나
3. 행정구역에 매몰된 클러스터
4. 지방균형발전, 지역이 '이기는 전략'은 무엇인가
5. 좋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이끌어간다

◇ 에필로그 ◇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