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육조시대 불교조상이 한반도와 일본에 미친 영향 이미지

육조시대 불교조상이 한반도와 일본에 미친 영향
예문서원 | 부모님 | 2025.08.28
  • 정가
  • 40,000원
  • 판매가
  • 38,000원 (5% 할인)
  • S포인트
  • 1,200P (3% 적립)
  • 상세정보
  • 18.8x25.7 | 1.100Kg | 440p
  • ISBN
  • 978897646499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중국과 해동 지역 간 불교조상의 연원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특히 동진 · 남조 시대 불상 양식의 특징과 이것이 한반도의 삼국시대, 일본의 아스카시대와 하쿠호시대 불교조상에 미친 영향 및 전파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육조시대가 동아시아 불교예술사에서 차지한 선구적 지위를 규명한다. 저자는 오랜 시간 심혈을 기울여 국내외 관련 불교석굴, 사원유적, 박물관 등을 찾아다니며 연구하고, 최근 출토된 실물 자료와 신뢰할 수 있는 문헌에 근거하여, 마침내 연구 가치가 풍부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

  출판사 리뷰

육조시대는 불교와 그 조상이 중국에서 해동 지역으로 전래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동안에는 발굴된 불교 유물이 부족하여 옛 문헌에 기록된 육조시대 불교 문명의 번성함을 증명할 방법이 없었고, 이로 인해 한반도와 일본의 초기 불상은 북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여겨졌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남조의 불교조상이 새롭게 발굴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학자들이 이 방면의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니, ‘한전불교문화권 형성 과정에서의 남조의 주도적인 역할’을 논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육조의 불교조상은 한반도와 일본의 불교예술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남방 육조 불교조상의 발전 맥락과 위치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건강建康(남경) 양식’의 확립이다. 남조 불교조상은 ‘수골청상’, ‘포의박대식’에서 ‘면단이염’, ‘변화된 포의박대식’의 형식적인 전환을 드러내 보이고, ‘육조의 미소’, ‘쌍계’, ‘고사리 형 모양의 수발’ 등 남방 불교조상의 요소 및 ‘변화된 포의박대식’ 불의를 주체로 하는 ‘남방식 불교장엄조상 루트’의 형성 등을 포함한다. 5세기 말과 6세기 중반 중국 불상의 조형적인 변화는 모두 남조에서 기원하였고, 남조 불교조상의 양식과 조형적인 특징은 중국 동부 연해 지역에서 여전히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는데, 이것으로 한반도 삼국시대와 일본의 아스카시대 불상이 전반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이렇듯 육조시대 남조의 불교조상예술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이 책은 최초로 중국과 해동 지역 간 불교조상의 연원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특히 동진 · 남조 시대 불상 양식의 특징과 이것이 한반도의 삼국시대, 일본의 아스카시대와 하쿠호시대 불교조상에 미친 영향 및 전파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육조시대가 동아시아 불교예술사에서 차지한 선구적 지위를 규명하였다. 저자는 오랜 시간 심혈을 기울여 국내외 관련 불교석굴, 사원유적, 박물관 등을 찾아다니며 연구하고, 최근 출토된 실물 자료와 신뢰할 수 있는 문헌에 근거하여, 마침내 연구 가치가 풍부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
그러나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고문헌 중에 기록된 남방 육조 불교의 우수성에 비해 정작 남방에 현존하는 실물이 무척이나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해동 지역 초기 불교조상의 출처를 검토할 때 아직도 많은 학자들이 중국 북방의 역할과 위상을 중요시하고 남방 육조 시기를 소홀히 하고 있는 부분은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불교철학, 미학, 불교예술 분야 연구자 및 관심 있는 모든 독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페이융
南京예술대학 교수, 박사생 지도교수. 중국 미술사 및 불교예술 연구에 줄곧 매진하고 있다. 중국사회과학기금 예술학프로젝트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다. 2019년에는 중국 교육부로부터 ‘장강학자 장려계획’ 특별 전문교수로 선정되었다. 관련 저술로는 『중국 불교예술의 불의 양식 연구』, 『한당 불교조상 예술사』 등이 있고, 『돈황연구』, 『고궁박물원원간』 등 전문 학술지에 40여 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다.

지은이 : 김세영
용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불교미술사)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송광사성보박물관 학예연구원과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연구원을 거쳐 현재 용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용인대학교 강사와 불교미술사학회 편집위원을 겸하고 있으며, 논저로 「順天 松廣寺 佛祖殿 佛像과 浮休門中의 思想」(『미술자료』 92, 2017), 「朝鮮 後期 華嚴 佛事의 地域的 流行과 僧侶門中 交流: 송광사 화엄전 불사 중심으로」(『美術史學』 40, 2020)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역자 서문
일러두기
머리말

제1장 삼국·서진 불교조상의 특징과 일본으로의 전파
1. 남방 장강 유역에 처음 전래된 불교조상
2. 삼국·서진의 불교조상과 일본으로의 전파

제2장 동진 불교조상의 특징과 한반도로의 전파
1. 현존하는 동진의 불교조상
2. 동진 불교조상의 시대적 특징
3. ‘대규·대옹 부자의 불상 형식’ 출현
4. 고개지 회화에 보이는 불교 주제
5. 「죽림칠현과 영계기」에 나타난 ‘수하인물’ 형식의 기원
6. 여성화된 중국 보살상의 출현
7. 중국에서 한반도로 전파된 불교 관련 문헌 기록
8. 고구려와 백제에 전래된 불교조상에 대한 초보적 인식

제3장 남경 서하산棲霞山석굴 남조 불상에 대한 새로운 견해
1. 서하산 「강총잔비江總殘碑」의 발견
2. 서하산석굴과 유송 시기의 감상(석굴)의 존재 여부 문제
3. 서하산 쌍불굴(하019굴) 불상의 내용과 조성 시기 문제
4. 서하산 무량전(하020굴) 대불의 조성자
5. 남제 경릉왕 조성 미륵입상과 서하사의 현존 불두와의 관련성 문제
6. 서하 1호 불상과 서하 삼불굴(하024굴) 법의의 양식 문제

제4장 남경 덕기광장에서 새로 발견된 남조 금동불상과 그 원류
1. 남경 덕기광장에서 발굴된 남조 불교조상
2. 남경박물원 소장 남조 금동불상 2존
3. 덕기 출토 불교조상의 조성 시기의 초보적인 고증
4. 덕기 출토 남조 금동불상의 특징과 그 원류

제5장 ‘건강建康 양식’의 형성과 해동에 미친 영향
1. ‘건강 양식’의 형성 및 불상 양식의 특징
2. 건강 불교조상의 내용
3. 남조 능묘의 ‘벽돌 모자이크화’의 출현
4. 육조 도성의 건축재료(와당) 속의 불교적 요소
5. 건강·성도·청주·맥적산을 연결하는 ‘남방식 불교장엄조상 루트’

제6장 성도 지역의 남조 불상 및 그 원류
1. 성도 지역 남조 불교존상의 석각부조 경변 도상
2. 법의 양식의 변화
3. 성도 지역 ‘포의박대식’ 법의의 연원
4. 조상 주제와 불상 모습의 변화
5. 남조 불교조상에 표현된 박산로와 쌍사자
6. 조상 구성 형식의 변화
7. 보살의 영락, 보관, 지물의 변화

제7장 한반도 삼국시대 불교조상에 보이는 남조의 영향
1. 한반도 삼국시대 불교조상의 일본 전파
2. 중국 전래 가능성이 있는 한반도 불상 몇 존
3. 한반도 삼국시대와 중국 남조 불교조상의 밀접한 관련성
4. ‘남방식 불교장엄조상 루트’의 해동 지역으로의 전파
5. 한반도 삼국시대 불상 양식의 지역성

제8장 일본 아스카, 하쿠호 불교 조각에서의 남조, 한반도의 영향
1.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불입상
2.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가부좌한 불좌상
3. 구 야마다데라 불두와 ‘야마다덴노조’명 아미타삼존상의 약간의 문제
4. 불상의 ‘좌단식’ 내의의 착의법
5. 호류지 다치바나 부인 불감 주자 주존 불의 양식
6. 아스카, 하쿠호 시대 보살입상
7. 아스카, 하쿠호 시대의 반가사유상 및 원류 고찰
8. 아스카, 하쿠호 시대 불교회화의 원류

제9장 육조 불교조상의 해동 전파 경로 분석
1. 육조와 한반도 및 일본의 왕래와 관련된 문헌 기록
2. 중·일 해상 항로
3. 중국과 한반도 삼국의 교통
4. 불교조상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달된 경로

맺음말
후기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