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호 스님은 많은 경전을 두루 섭렵하여 추려 모은 게송들과 부처님 재세 시 있었던 여러 교훈적인 일화들을 한 단락에 모아 실었다. 게송명상 실습을 하면서 동시에 여러 일화들을 통해 자신을 되비추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단번에 통독하는 것도 좋지만, 매일 정해진 시간에 홀로 조용히 자리하고 앉아 한 단락 씩 찬찬히 읽고 월호 스님이 이끄는 대로 게송명상을 행하는 방법 또한 좋지 않나 싶다. 하루하루 반복이 되면서 게송명상이 일상일과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하도록 말이다.
출판사 리뷰
책의 1장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몸과 마음을 관찰하지 않고, 백년을 사는 것보다
몸과 마음을 관찰하며, 하루를 사는 것이 훨씬 더 값지다.
- 『법구경』
그리고, 바로 뒤를 이어 저자 월호 스님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인생의 목적은 해탈이다. 해탈의 인因은 명상이요, 해탈의 연緣은 게송이다. 명상을 하며 게송을 듣거나, 게송을 듣고 명상을 하는 것이 해탈의 지름길이다.
앞의 것은 금구설(金口說) 즉 부처님의 말씀이다. 어찌하여 몸과 마음을 관찰하며 하루를 사는 것이 그렇지 않으면서 백 년을 사는 것보다 훨씬 더 값지다고 하셨을까.
이에 대해, 월호 스님은 인생의 목적은 곧 해탈이고, 해탈에 이르는 여러 수행법 중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고, 그 효과 또한 뛰어난 “게송 명상”을 소개하고 있다. 해탈의 과(果)를 얻기 위해 명상의 인(因)을 짓는데, 해탈과 명상은 게송의 연(緣)으로 이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어, 부처님께서 아들 라훌라가 15세가 되자 가르쳐 주신 명상법이 나온다.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이다. 코밑에 마음을 집중하고 들숨을 알아채고 날숨을 알아채며 모든 시비분별을 코밑 허공에 맡겨버리는 호흡수행법이다. 쉽고 간단하다. 월호 스님은 명상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부처님께서 아들 라훌라에게 가르치신 마음챙김 호흡수행법을 소개한 것이다. 해탈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명상이다.
월호 스님은 호흡을 시작으로 삼보(三寶)와 수행 정진, 자애와 무상,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주제의 게송 명상과, 조사선, 묵조선, 간화선, 정토선 등 우리나라에 전해져 꽃을 피운 여러 참선법을 알기 쉽게 일러준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각각 아바타일 뿐이며, 이 세상은 윤회게임이 벌어지는 가상현실이고, 극락은 해탈게임의 가상현실이라는 파격적인 개념의 아바타 명상과 아미타 명상을 설명한다. 마지막 장에선 아미타부처님의 극락정토로 이끄는 여러 보살님들과 우리나라 역대 4대 고승들을 “극락 가이드”라 이름 한다. 지극정성 마음을 모아 아미타불을 염하면 사후에 아미타 부처님을 따라 극락에 갈 수 있다고 일깨우는 분들이다. 살아생전 이루기 어려운 해탈이지만, 지극정성 아미타불을 염하여 사후에 극락에 가게 되면, 그곳에선 반드시 해탈을 이룰 수 있다는 부처님 가르침을 전하는 존재들이다.
이에 대해 월호 스님은 아래와 같이 말한다.
천당(천국)과 극락은 아예 차원이 다르다. 천당은 사바의 2진법으로 설정된 윤회게임 가상현실이기에, 삼선도와 삼악도를 오르락내리락 해야 한다. 극락은 진공묘유의 0空진법으로 설정된 해탈게임 가상현실이기에, 삼악도가 아예 없으며 퇴보가 없다. 가기만 하면 누구나 불퇴전 보살이 되어 마침내 성불한다.
이를 믿고, 가기를 원하고, 일심불란하게 ‘아미타바’를 열 번 만 염하면 누구나 갈 수 있다. 문턱은 턱없이 낮고, 혜택은 한없이 많다. 가기는 쉽건만 가려는 이가 없구나. 아미타바!
책의 마지막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방편이 없는 지혜는 속박이요, 방편이 있는 지혜가 해탈이다. 중생제도의 방편으로 장엄된 극락정토를 무시하면 공(空)에 떨어지고, 실체가 있다고 집착하면 상(相)에 떨어진다. 잘 활용해 야 한다. 또한 ‘본래 부처’를 ‘지금 부처’로 착각해서는 안 된 다. 중생은 다만 불성이 있을 뿐이지, 진짜 부처가 된 것은 아니다.
살아생전 ‘그대가 부처다. 밖에서 찾지 말라’는 법을 설하던 어떤 스님도 최근 필자의 정토법문을 듣고 감동해 말했다.
“고맙소! 정말 고맙소!”
월호 스님은 많은 경전을 두루 섭렵하여 추려 모은 게송들과 부처님 재세 시 있었던 여러 교훈적인 일화들을 한 단락에 모아 실었다. 게송명상 실습을 하면서 동시에 여러 일화들을 통해 자신을 되비추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단번에 통독하는 것도 좋지만, 매일 정해진 시간에 홀로 조용히 자리하고 앉아 한 단락 씩 찬찬히 읽고 월호 스님이 이끄는 대로 게송명상을 행하는 방법 또한 좋지 않나 싶다. 하루하루 반복이 되면서 게송명상이 일상일과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하도록 말이다.
◆ 들어가는 글
명상과 게송이 만났다
명상이란 ‘몸과 마음을 관찰하는 것’이다. 게송이란 쉴 게偈, 노래 송頌, 즉 ‘마음이 쉬는 노래’를 뜻한다. 그러므로 ‘게송 명상’이란 ‘게송을 듣고 몸과 마음을 관찰하는 것’이다. 석가세존 당시 대부분의 수행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깨달음의 과위果位를 성취했다.
사리자는 어느 날 길거리에서 앗싸지 존자의 범상치 않은 거동을 보고 따라가 묻는다. “당신의 스승은 누구십니까? 또한 그 분은 무엇을 설하십니까?”
이에 존자는 “저의 스승은 샤카무니 붓다이십니다. 그분은 이렇게 설하십니다.”라고 답하며, 게송을 읊는다.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네.
여래께서는 그 원인에 대해 설하신다네.
원인이 소멸한 결과에 대해서도
여래께서는 또한 설하신다네.
사리자는 이 게송을 듣고 수다원과를 얻어 곧바로 출가했다. 출가한 지 보름 만에 다시 부처님께서 설하시는 게송을 듣고 아라한과를 얻었다. 훗날 부처님께서는, ‘사리자 같은 지혜 제일의 제자도 붓다의 게송을 듣지 못했다면, 수다원과조차 얻지 못 했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급고독장자의 아들 깔라는 용돈을 받으려고 게송을 외우다 그 의미를 터득하여 수다원과를 얻었다. 이에 부처님께서 게송을 읊으셨다.
제국의 황제가 되는 것보다
천상의 신이 되는 것보다
우주의 지배자가 되는 것보다
수다원과를 얻는 것이 훨씬 더 값지다.
인생의 목적이 행복이라고 한다면, 진정한 행복은 해탈이다. 황제나 신이나 우주의 지배자가 대단하기는 하지만, 아직 해탈의 기약은 없다. 반면 수다원은 천상과 지상을 일곱 번 왕래하는 동안 해탈하는 ‘7왕래往來’의 경지다. 사다함은 한번 왕래하는 ‘1왕래’이며, 아나함은 정거천에 가서 돌아오지 않는 ‘불래 不來’의 경지다. 마지막으로 아라한은 다시 태어나지 않는 ‘불생 不生’의 경지다. 이러한 해탈의 경지는 명상과 게송이 만나야 성취된다.
명상은 해탈의 인因이요
게송은 해탈의 연緣이다.
인도 충실하고 연도 충실해야
과果가 충실하다.
석가 세존 가신지 2569년
작가 소개
지은이 : 월호
행불선원장, 불교신문 논설위원이며, 불교방송 BBS-TV 「월호스님의 게송명상」을 진행하고 있다.동국대 선(禪)학과에서 『고려 혜심의 간화선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동국대 겸임교수· 해인사 승가대학 교수· 쌍계사 승가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쌍계사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쌍계사· 봉암사· 동화사· 해인사 등 제방선원에서 참선수행을 하였으며, 고산대종사로부터 강맥을 전수받았다. 저서로 『가자, 가자, 건너가자』, 『이뭐꼬? 이것뿐!』, 『월호스님의 선가귀감 강설』, 『월호스님의 유마경 강설』, 『영화로 떠나는 불교여행』 등 30여권이 있다.
목차
1장
1. 호흡명상 1 : 명상이 처음이라면
2. 호흡명상 2 : 들숨 날숨을 관찰하라.
3. 붓다에 대한 명상 1 : 붓다의 챙김을 받고 싶다면
4. 붓다에 대한 명상 2 : 붓다에게 귀의하라.
5. 담마에 대한 명상 1 : 진리를 깨치고 싶다면
6. 담마에 대한 명상 2 : 담마에 대한 명상을 하라.
7. 승가에 대한 명상 1 : 진실한 수행자가 되고 싶다면
8. 승가에 대한 명상 2 : 승가에 대한 명상을 하라.
9. 정진명상1: 꾸준히 정진하려면
10. 정진명상 2 : 참고 견디라.
11. 자애명상 1 : 분노를 줄이고 싶다면
12. 자애명상 2 : 자애명상을 하라.
13. 무상명상 1 : 지혜를 얻고 싶다면
14. 무상명상 2 : 무상함을 관찰하라.
15. 웰다잉 명상 1 : 웰다잉을 바란다면
16. 웰다잉 명상 2 : 죽음에 대한 명상을 하라.
2장
17. 조사선 1 : 단박에 깨치고 싶다면
18. 조사선 2 : 자성을 보라.
19. 묵조선 1 : 몸가짐이 중요하다 생각하면
20. 묵조선 2 : 좌선을 하라.
21. 간화선 1 :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생각하면
22. 간화선 2 : 화두를 들라.
23. 정토선 1 : 참선과 정토를 함께 닦으려면
24. 정토선 2 : 아바타가 ‘아미따바’ 염할 뿐!
3장
25. 아바타명상 1(몸 보기) : 몸에 대해 몸을 보라.
26. 아바타명상 2(몸 보기) : 몸은 내가 아니다.
27. 아바타명상 3(느낌보기) : 다만 느낄 뿐!
28. 아바타명상 4(느낌보기) : 느끼는 자는 없다.
29. 아바타명상 5(마음보기) : 알아차려라
30. 아바타명상 6(마음보기) : 내보내라
31. 아바타명상 7(법보기) : 몸과 마음은 아바타
32. 아바타명상 8(법보기) : 산하대지는 허공의 꽃
4장
33. 아미타명상 1 : 사바는 윤회게임 가상현실
34. 아미타명상 2 : 극락은 해탈게임 가상현실
35. 아미타명상 3 : 여래는 일체 세간의 아버지
36. 아미타명상 4 : 정정취에 머무르네.
37. 아미타명상 5 : 불퇴전에 머무르네.
38. 아미타명상 6 : 일생보처 이른다네.
39. 아미타명상 7 : 크고 반듯하고 광대한 부처님 꽃
40. 아미타명상 8 : 자금광이 빛나리라
41. 아미타명상 9 : 극락정토 건너가리.
42. 아미타명상 10 : 금빛 연꽃 나타나네.
43. 아미타명상 11 : 아미타바 무량광명
44. 아미타명상 12 : 모두 성불 하여지다
45. 극락 가이드 1 : 관음·세지보살
46. 극락 가이드 2 : 문수·보현보살
47. 극락 가이드 3 : 원효·의상대사
48. 극락 가이드 4 : 나옹·서산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