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고성훈
대한민국 에너지 시장의 혁신을 이끄는 실무형 전문가 저자는 경제학과 도시계획의 깊이 있는 학술적 배경과 에너지 플랫폼 비즈니스를 개척해 온 실무 경험을 겸비한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현장 전문가입니다.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계획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다층적인 산업 분석과 미래 도시 시스템에 대한 통찰력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이후 한화에너지 에너지솔루션 LAB 센터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문성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태양광, ESS(에너지저장장치)와 같은 핵심 기술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에너지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했습니다.현재 한화신한 테라와트아워(TWh)의 대표이사로서, 기업의 RE100 이행을 위한 AI 기반의 전력 거래 시스템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PPA) 시장의 혁신을만들어가고 있습니다.그는 복잡하고 다양한 에너지 공급자와 수요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자립이라는 국가적 과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제 1 부 거인의 어깨 위에서 - 에너지 혁명과 문명의 진화
제1장 맬서스의 함정에서 벗어나다 - 농업사회의 한계와 전환의 씨앗
1.1. 1만 년 농업사회의 성취와 한계
1.2. 생산요소의 본질적 제약 : 토지와 인간 [ Deep Dive : 메소포타미아에서 배우는 정체의 교훈 ]
1.3. 산업혁명 전야 : 변화의 씨앗은 어디에 있었나?
제2장 검은 거인을 깨우다 - 제1차 산업혁명과 석탄의 시대
2.1. 장작에서 석탄으로 : 에너지 밀도의 혁명
2.2. 제임스 와트의 주전자, 세상을 움직이다
2.3. 철도와 전신 : 공간과 시간을 압축한 인프라
2.4. 공장 굴뚝 아래 모여든 사람들 : 도시화와 새로운 계급
2.5. ‘해가 지지 않는 나라’의 비밀 : 에너지 패권과 근대 국가
2.6. 근대 국가의 탄생 : 새로운 시대, 새로운 역할
제3장 황금빛 액체가 흐르자 모든 것이 바뀌었다 - 제2차 산업혁명과 석유의 시대
3.1. 석유, 자동차와 만나 교외를 창조하다
3.2. 에디슨의 전구, 밤을 낮으로 바꾸다 : 전력망의 탄생
3.3. 플라스틱과 나일론 : 석유화학이 만든 신세계
3.4. 페트로달러 시스템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완성
[Deep Dive:포디즘과 소비주의:대량생산, 대량소비 시대의 개막]
제4장 반도체, 디지털, 그리고 에너지의 제어 - 제3차 산업혁명
4.1. 에너지 생산에서 에너지 제어로 : 반도체의 역할
4.2. 디지털 인프라의 부상 : 인터넷, 데이터센터, 그리고 막대한 전력 수요
4.3. 사회 변화의 키워드 : 디지털화, 세계화, 자동화
제 2 부 보이지 않는 위협과 새로운 과제 -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시대
제5장 뜨거워지는 지구, 인류에게 보내는 경고
5.1. 기후변화는 정말 인간 때문일까? : IPCC의 과학적 증거들
5.2. 폭염, 홍수, 가뭄 : 숫자로 보는 기후재앙의 현실
5.3. 에너지 시스템의 역설 : 풍요의 원천이 위협이 되다
5.4. 기후변화 팬데믹과 ‘각자도생’의 시대
제6장 파리협정에서 RE100까지 - 피할 수 없는 글로벌 스탠더드
6.1. ‘1.5°C 를 지켜라’ : 전 세계의 약속, 파리협정
6.2. 유럽의 채찍과 미국의 당근 : 녹색 무역전쟁의 서막
6.3. 애플과 구글의 선언 : 시장이 만든 새로운 규칙 RE100
[ Deep Dive:탄소국경세(CBAM):이제 탄소는 비용이다 ]
제7장 전기화(Electrification) - 에너지의 최종 목적지
7.1. 왜 모든 에너지는 전기로 통하는가 : 압도적인 효율성
7.2. 120년의 여정 : 건물, 산업, 그리고 수송 부문의 전기화
7.3. 폭발적 성장의 동력 : 전기차, 히트펌프, 그리고 AI
7.4. 3D 에너지 혁명 : 탈탄소화, 탈중앙화, 디지털화
제8장 흔들리는 전력 시스템 - 변동성이라는 거대한 과제
8.1. 노후화된 혈관 : 전 세계 전력망의 현실
8.2. 변동성 재생에너지(VRE)의 역설 : 간헐성, 불확실성, 낮은 관성
8.3. 출력 제어의 딜레마와 대규모 정전의 공포
8.4. 변압기 대란과 공급망 위기
제 3 부 지정학의 귀환과 에너지 딜레마 - 대한민국은 어디에 서 있는가?
제9장 에너지, 다시 무기가 되다 - 트럼프 시대의 지정학과 에너지 안보
9.1. ‘미국 우선주의’ 에너지 정책의 귀환 [ Deep Dive : 셰일 혁명 : 바위를 깨뜨린 괴짜들의 이야기 ]
9.2. IRA의 좌초와 글로벌 공급망의 대혼란
9.3. 기후 리더십의 공백과 각자도생의 심화
9.4. 새로운 지정학적 리스크와 대한민국의 대응 [ Deep Dive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 ]
[ Deep Dive :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전광리(전기차·광전지·리튬전지)’ 전략 ]
제10장 에너지 식민지, 대한민국의 자화상
10.1. 92.9%라는 숫자의 무게 :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
10.2. 지정학적 리스크에 흔들리는 경제 : 에너지 섬의 취약성
10.3. 급등하는 에너지 수입액, 흔들리는 제조업 경쟁력
[ Deep Dive :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나리오와 비상 계획 ]
제11장 RE100과 전기요금, 피할 수 없는 이중의 덫
11.1. “재생에너지로 만들었습니까?”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규칙
11.2. 73% 폭등 : 기업의 비명을 외면할 수 없는 산업용 전기요금
11.3.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정책의 딜레마
제12장 만들수록 손해? 재생에너지의 역설과 전력망 병목 현상
12.1. 전남에서 만든 전기, 서울로 오지 못하는 이유
12.2. 출력 제한 183회 : 애써 만든 청정에너지를 버려야 하는 현실
12.3. 송전탑 건설, 10년의 기다림 : 인프라가 기술을 따라가지 못할 때
제 4 부 미래를 여는 기술과 비즈니스 - 차세대 에너지 포트폴리오
제13장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는 기술들
13.1. 스마트그리드와 디지털 트윈 : AI 기반의 전력망 운영
13.2.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양수발전)과 유연성 자원
13.3. 초고압직류송전(HVDC) : 대륙을 잇는 에너지 고속도로
13.4. V2G와 에너지 프로슈머 : 수요 관리의 혁신 [ Deep Dive : 나트륨 배터리의 조용한 반격 ]
제14장 원자력, 다시 답을 묻다
14.1. 안전과 폐기물, 원자력의 숙명적 과제
14.2. 소형모듈원자로(SMR)와 마이크로모듈원자로(MMR) : 안전성과 유연성
14.3. 파이로프로세싱-SFR 연계 : 사용후핵연료, 폐기물인가 자원인가
14.4.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공존 시나리오
제15장 미래 에너지 게임 체인저
15.1. 궁극의 청정에너지, 핵융합 : KSTAR와 민간 기업들의 도전
15.2. 땅속의 청정연료, 화이트 수소
15.3. E-fuel : 비행기와 배를 위한 친환경 액체연료
15.4. 차세대 태양전지 : 페로브스카이트의 잠재력
15.5. 좌초자산의 경고와 기업의 생존 전략
제 5 부 대한민국 2050 - 위기를 기회로, 새로운 성장 방정식
제16장 ‘에너지 고속도로’, 대한민국의 혈맥을 다시 잇다
16.1. HVDC와 AI : 전력망의 판을 바꾸는 기술들
16.2. 선(先)투자, 후(後)개발 : 전력망 패러다임의 전환
16.3. 님비를 핌피로 : 철도망, 고속도로망과 연계한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전략
제17장 기후변화가 여는 새로운 길, 북극항로
17.1. 1000년 만의 기회 :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 변화
17.2. 동북아 물류 허브, 제2의 싱가포르를 꿈꾸다
17.3. 에너지와 자원, 러시아와의 새로운 협력 가능성
17.4. 경제성, 환경 문제,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
제18장 대한민국 3축 성장 전략
18.1. 제1축(대수도권) : 첨단 제조업과 AI 산업 허브
18.2. 제2축(부·울·경) : 전통 제조업의 혁신과 북극항로 물류거점
18.3. 제3축(광주·전라) :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발전의 심장
18.4. 세 축의 유기적 연계 방안 : 에너지 고속도로와 스마트그리드
제19장 재생에너지 혁신 플랫폼 - 시장 실패를 극복하는 게임 체인저
19.1. 한국형 재생에너지 계획입지 제도 : ‘RE-Zone 2030’
19.2. 재생에너지 전담 공기업 설립 : ‘K-RE공사(가칭)’
19.3. 재생에너지 전력거래 플랫폼 : ‘Green Power Exchange’
[ Deep Dive : 시장을 선도하는 게임 체인저 - (주)한화신한 테라와트아워 ]
19.4. 재생에너지 금융 혁신 : ‘그린 인프라 뱅크’
19.5. 재생에너지 국민 투자 혁명 : ‘에너지 민주화’
결론
전환의 파도를 넘어 지속가능한 번영으로
에너지 대전환 시대, 위기인가 기회인가?
기술, 시장, 정책의 조화로운 리더십을 향하여
미래 세대를 위한 대한민국의 선택
[부록] 선구적 전환 : 대한민국 지역 RE100(R-RE100)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