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저자 오성민 작가의 신작! 영화와 드라마, 만화 같은 문화 콘텐츠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다룬다. 신학 덕후이자 이야기 덕후인 ‘다마스커스 TV’의 맛깔나는 리뷰 17편을 정주행할 수 있다. OTT 시대에 미디어의 홍수로부터 도망치기보다 콘텐츠를 분별할 수 있는 기독교적 안목을 길러 준다. ‘대중의 공감’과 ‘복음 서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보기 드문 기독교 문화비평서다.
출판사 리뷰
“넷플릭스를 보면서 예수님을 묵상할 수 있다고?
미디어 홍수 시대, 복음의 언어로 세상을 다시 읽어내는 법!”
‘미디어 금식’을 기억하시나요? 오래전, 교회에서는 고난 주간에 미디어를 끊고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자고 했습니다. 당시 이 단어는 세속 문화에 대한 신앙인의 경계 태세를 상징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넷플릭스, 유튜브, 웹툰이 일상이 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미디어 미식』은 영화와 드라마, 만화 같은 문화 콘텐츠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다루는 책입니다. 저는 이 책에서 기독교적 이야기와 비기독교적 이야기라는 대립구도를 넘어설 것을 제안합니다. 그래서 ‘금식’이 아니라, 신앙적으로 감상하고 음미하는 ‘미식’(美食)의 개념을 제시합니다.
미식이란 단순히 먹는 행위가 아니라, 음식의 재료와 맛, 문화적 의미까지 살피는 정교한 과정입니다. ‘미디어 미식’도 마찬가지입니다. 겉으로 기독교를 찬양하는 작품이라고 해서 반드시 훌륭한 것은 아니며, 비판적 시각을 담았다고 해서 무조건 피해야 할 것도 아닙니다. 다양한 콘텐츠를 분별력 있게 소화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의 세계관은 더욱 성숙해질 것입니다.
미디어 작품들은 ‘인간은 왜 고통받는가?’와 같은 실존적 질문부터, 영웅에 대한 기대, 종교에 대한 의구심, 기술 발전이 그려내는 미래등 깊은 주제까지 담고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 기독교라는 숟가락을 더해 ‘미식’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제 해석이 정답이라고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이렇게 바라봤더니 많은 유익이 있더라, 그러니 여러분도 함께 미식해 보자’는 초대로 받아들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 책을 통해 ‘미디어 미식’의 의미를 깨닫는다면, 앞으로 만나는 콘텐츠들을 더 깊고 새로운 시선으로 보게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위대한 이야기이신 그리스도께서 모든 이야기 안에 어떻게 공명하고 계신지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두 드라마에서 구원이 베풀어지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납니다. 「나의 아저씨」에서는 모른 척해 주는 것, 「나의 해방일지」에서는 추앙하는 것이 그 방식입니다. 그렇지만 이 두 가지는 본질적으로 비슷한 것입니다. 미정이 구 씨를 추앙하는 방식도 모른 척해 주는 일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입니다. 술을 마셔도 뭐라 하지 않고, 호빠 선수였다는 이야기를 들어도 모른 척하며, 그 이상 캐묻지 않습니다. 과거에 어떤 사람이었는지, ABC도 모르고 한글도 몰라도 괜찮다고 말해 주며, 그 어떤 것도 개의치 않는다고 말합니다. 이처럼 미정은 모든 조건에서 벗어나 상대를 있는 그대로 봐주는 추앙을 합니다. 마치 하나님이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지 않고 중심을 보는 것처럼 말입니다.
_ ‘03 나의 해방일지’
조커는 일종의 모형이며 아서 플렉은 그 모형을 구현하는 개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페르소나나 이중인격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조커라는 모형은 아서플렉으로부터 처음 태어났지만, 전편과 후속편 사이의 2년이라는 시간 동안 아서조차 통제할 수 없는 독립적 존재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조커라는 모형 자체가 애초에 대중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작품에서 조커는 ‘하층민의 분노와 염원을 담아 기득권을 처단하는 영웅’입니다. 그러나 아서는 이러한 정체성을 의도한 적이 없고, 딱히 정의로운 기준에 맞춰 기득권을 처단한 적도 없습니다. 그가 저지른 모든 살해는 단순히 분노에 의한 우발적 범죄일 뿐입니다. 대중들이 그의 불우한 배경과 살인 행위를 엮어 조커라는 멋들어진 모형을 그에게 덧입힌 것뿐입니다. 「폴리 아 되」는 이렇게 필요에 의해 탄생된 조커의 모형이 아서를 넘어 모든 시민에게 스스로를 퍼뜨려 나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 때문에 결국 조커를 처음 가능케 한 아서마저 그것의 피해자로 전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_ ‘05 조커: 폴리 아 되’
많은 기독교인은 악의 원인을 외부에서 찾습니다. 종교 내부, 더 나아가 자신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욕망이라는 악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이 영화를 보는 관객이 ‘누가 사탄인가?’라는 질문에만 집중하는 모습과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가수가 일루미나티의 손동작을 했다거나, 어떤 노래가 악마에게 빙의되어 쓰였다고 하거나, 심지어 정신 질환자를 귀신 들렸다며 병원에 데려가는 대신 기도로만 대처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잘못을 사탄의 유혹 탓으로 돌리거나, 이성애자인 자신은 선하고 동성애자들은 무조건 악하다고 여기거나, ‘누군가가 적그리스도다’라는 근거 없는 낭설을 퍼뜨리기도 합니다.
_ ‘06 사바하’
작가 소개
지은이 : 오성민
온라인 선교단체 ‘On the road to Damascus’의 대표이며 별칭 ‘랜선선교사’로 불린다. 세인트존스 대학에서 약학을 공부한 후(Pharm.D) 현재 뉴욕에서 약사로 일하고 있다. 20대 초반에 하나님을 위해 살겠다는 소명을 받아 본업과 별개로 기독교 변증과 관련된 미디어 선교 활동을 해왔으며, 미주 KOSTA와 GSM 컨퍼런스 등에서 전도를 주제로 강의했다. 현재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 ‘Damascus TV’에서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로 신학 및 신앙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기독교 안팎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기독교 변증 서바이벌 프로그램 「홀리컴뱃」 시리즈를 제작했다. 저서로는 『교회 구석에서 묻는 질문들』(복 있는 사람)이 있으며, 『복음주의 변증학』(CLC)을 공역했다.
목차
서문
1부. 기독교가 바라보는 인간
01 「기생충」 이 영화의 찝찝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02 「나의 아저씨」 ‘불쌍하다’로 시작한 사랑은 ‘행복하자’로 끝난다
03 「나의 해방일지」 그들은 무엇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했는가?
04 「조커」 평범한 소시민은 어떻게 악이 되었는가?
05 「조커: 폴리 아 되」 악은 어떻게 상징이 되었는가?
2부. 세상의 악과 신의 침묵
06 「콘스탄틴」 루시퍼는 왜 세상의 멸망을 막았는가?
07 「사바하」 기독교로 낚고 불교로 건지는 영화?
08 「당신의 과녁」 현대적 시각으로 욥기를 다시 쓰다
09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곳’에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3부. 우리들의 일그러진 종교
10 「삼체」 삼체교와 기독교는 어떻게 다른가?
11 「지옥」 의미의 독점은 어떻게 사회를 망가뜨리는가?
12 「미나리」 그들은 왜 한인 교회로부터 도망친 걸까?
4부. 기독교가 그리는 비전
13 「천국에 다녀온 소년」 성경은 천국 체험담을 긍정할까?
14 「그녀」 AI가 자아를 가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15 「반지의 제왕」 신화적 이야기를 신앙적으로 묵상하기
16 「원피스」「슬램덩크」 꿈 없는 시대에도 소년 만화가 필요한 이유
17 「다크 나이트」「매트릭스」 메시아와 반메시아 서사 구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