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홍양호
1955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70년 2월 대구중학교를, 1973년 2월 경북고등학교를, 1977년 2월 경북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이어서 동 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 전공을 수료하였다. 1985년∼1986년 미국 University of Georgia에서 정치학 석사(M.A.)를, 1998년 2월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2년 3월부터 1년간 Washington, D.C.에 소재한 Hudson Institute에서 Visiting Fellow로 있었다. 그리고 2006년 하반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63기)을 이수하였다. 1977년 10월 제21회 행정고등고시를 합격하여 대부분의 공직생활을 1983년 5월부터 통일부(과거 국토통일원)에서 근무하였다. 통일부에서 교류협력국 심의관, 인도지원국장, 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 정책조정부장, 기획관리실장, 상근회담대표를 거쳐 2008년 3월∼2010년 3월 통일부 차관을 재임한 후 퇴직하였다. 그 이후 2011년 10월∼2014년 12월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으로 근무하였다. 방송위원회 남북방송교류추진위원회 위원(2006년∼2007년), 법제처·기상청·KBS 남북관계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정치남북대화위원장(2011.7∼2013.6), 한국·독일 정부 간 ‘한독통일자문위원회’ 한국 측 위원(2011년∼2017년), 한국전기공사협회 ‘전기분야 통일위원회’ 공동위원장(2014년∼2016년), 세이브더칠드런 이사(2015.3∼2024.3), IKIS통일포럼 상임(공동)대표(2015.6 ~2020.6),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2016.2∼2018.1), 통일신문사 회장(2016.9∼2020.6),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장(2017.4∼2020.3), 북한인권정보센터 남북사회통합교육원장(2020.6∼2024.2) 등을 역임하였다.학회 활동으로 한국정치학회 이사, 서울행정학회 부회장, 한국행정학회 통일특별위원회 위원장을 했다. 경북대(국제대학원), 이화여대(북한학협동과정), 서울대(행정대학원), 중앙대(북한개발협력학과), 성균관대(국가전략대학원), 국민대(정치대학원, 법무대학원)에서 초빙(객원·특임)교수로 대학원 강의를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기관, 단체에서 통일강좌 특강을 하였다.현재 통일부의 평화경제특구위원회 위원, 민간영역에서 남북사회통합연구원 이사장, 북한연구소 석좌연구위원,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고문, 한민족통일여성협의회 고문, 남북청소년중앙연맹 고문, 한반도개발협력연구원 고문, 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고문, 새삶 고문, IKIS통일포럼 고문,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이사, 북한인권정보센터 이사, 미래한국재단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상훈으로 1990년 대통령표창, 2000년 홍조근정훈장, 2012년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추천의 글
책을 내면서
1부 젊은 시절, 통일 화두 잉태와 통일 인생
2부 정부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통일 업무를 위해 북한 공부부터
통일부 조직 역량 강화가 필요
1990년대 초 교류협력국 신설과 남북 교류 진전
남북 여성 교류 행사
남북 교류협력 관련, 남북한 접근 방법의 차이
남북 이산가족 교류와 한계
남북고위급회담, 합의 사항 이행의 무산
북한의 협상 행태
김영삼 정부에서의 남북 관계 딜레마
비전향장기수, 납북자·국군포로 문제
북한이탈주민 문제와 통일정책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경수로 사업
경수로 현장에서의 사건·사고의 사례들
경수로 사업의 촉진 요인과 억제 요인
나의 경수로 사업 마지막 활동, 사업 중단과 소회
대북 인도적·경제적 지원과 정책 논쟁
워싱턴 D.C.에서의 객원연구원 생활
미국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
상근회담대표로서의 활동
남북 군사회담의 이슈들
나의 기획관리실장 시절 3대 업무 과제
남북 체육회담 대표
노무현 정부 말, ‘남북정상회담’과 ‘적십자회담’ 등 경험
통일부 차관으로서의 첫 한 달
통일부 폐지론
차관 재임시 남북 관계 전개 과정과 분석
차관 재임 시 발생한 잊을 수 없는 사례들
남북정상회담 추진 관여
3부 공공 기관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겸 관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면서
우리 기업, 주재원들과의 협력 체계 구축
개성공단에서의 북측의 입장·태도
개성공단 ‘잠정 중단’ 위기 상황의 전개 과정
개성공단 생산품 반출과 진풍경의 수송 행렬
우리 측의 개성공단 전면 철수 조치
개성공단 재가동
4부 민간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공직 생활 마감과 대학에서 강의로 새 출발
나의 통일 강의록
독일 통일 과정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교훈
분야별 남북 통합 과제 연구
민간 통일단체 참여 활동
5부 끝 맺음: 새로운 통일 화두 모색
김정은의 두 개 국가론
최근 통일 환경의 진단과 우리의 자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