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고민과 시대적 변화에 대해 숙고하는 사람들에게 철학사에 나타난 지혜와 식견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자유롭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지도와 나침반 역할을 하고자 하며 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철학이 어렵고 추상적인 이론이나 개념을 나열하여 어려운 학문이라는 선입견을 주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주제를 역사적 조망과 사회적 맥락에 결부시켜 서술하고 있다.
다양한 철학자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과 에피소드를 소개함으로써 딱딱하거나 지루한 인상을 주지 않고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철학의 필요를 느끼면서도 철학에 몰두할 시간적 여유나 예비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철학의 세계와 만나도록 의도하고 있는 것이다. 철학에 관한 입무서임에도 체계를 명확히 하고 있으면서도 적정한 깊이를 유지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철학의 본고장 독일에서 출간되어 60만부 이상이 팔렸고, 전 세계 20개국에서 번역된 세계 최고의 철학사!
1950년 초판 출간 후, 끊임없는 개정과 증보를 거듭해 1999년 17번째로 개정된 최종 결정판의 완역 출간!
가장 성공적인 철학서
독일의 한 저명한 철학교수는 철학과 신입생을 둔 아버지가 자신을 찾아와 상담한 에피소드를 전한 바 있다. “제 아들은 세상을 잘 알아나가며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러기에 철학은 이상적인 학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요즘 철학은 어려운 이론과 용어만 나열하고 정작 행복한 삶에 대한 가르침을 주지 않습니다. 교수님, 우리 아들이 행복한 삶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십시오.” 교수는 이 말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요즘 철학은 점점 세분화되어 이론에 대한 이해나 개념 해석에 집중한 나머지 정작 철학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을 ‘행복한 삶’, ‘정의로운 삶’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뒷전으로 돌리고 있는 게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한스 요아힘 슈퇴리히의 『세계 철학사』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듯 이 책은 “전문적인 철학 연구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것을 말해 줄 수 없다. 이 책은 - 학문적 교양이 있건 없건 간에 - 일상의 수많은 일거리와 근심거리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 우리 시대의 거대한 역사적 변화와 여러 재앙을 목도하면서 자기 나름의 생각을 가다듬어 보고 또 세상의 수수께끼와 인간 존재의 영원한 물음을 풀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 그리고 어느 시대에나 있었던 위대한 사상가들의 사유와 저작이 이 과정에서 도움과 실마리를 줄 수 있으리라는 가정을 처음부터 묵살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저자의 이러한 소박한 바람에 전 세계 독자들은 열띤 호응으로 화답했다. 이 책은 독일에서만 60만부 이상이 팔렸고, 전 세계 20개국에서 번역·출간되는 등 철학서로서는 보기 드문 성공을 거두었던 것이다. 저자 한스 요아힘 슈퇴리히 교수는 대략 10년에 1번꼴로 수정·보완 작업을 한 결과 1999년에 17번째로 개정 증보된 최종 결정판을 내기까지 자신의 반평생을 이 책에 바쳤다.
일반 독자를 위한 역사와 철학의 만남
이 책은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고민과 시대적 변화에 대해 숙고하는 사람들에게 철학사에 나타난 지혜와 식견을 통해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롭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지도와 나침반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어렵고 추상적인 이론이나 개념을 나열해 철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선입견을 주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주제를 역사적 조망과 사회적 맥락에 결부시켜 서술하고 있다. 다양한 철학자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과 에피소드를 소개함으로써 딱딱하거나 지루한 인상을 주지 않고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철학의 필요를 느끼면서도 철학에 몰두할 시간적 여유나 예비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철학의 세계와 만나도록 의도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피상적인 지식을 나열하는 겉핥기식의 철학사는 아니다. 체계를 명확히 하고 있으면서도 적정한 깊이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독일의 대학입학 논술고사인 아비투어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나 독일 대학에서 철학을 교양과목으로 이수하는 학생들이 필독서로 이 책을 참고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작가 소개
한스 요아힘 슈퇴리히 Hans Joachim Storig
1915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철학박사이자 법학박사이며 출판 편집인, 출판 편집장, 번역가로 일했으며 1963년부터 1983년까지 뮌헨에 소재한 사전 편집 연구소의 소장으로 봉직했고 은퇴 후인 1983년부터 1991년까지 뮌헨 대학에서 가르쳤다. 주요 저서로는 『세계 철학사』이외에도 『세계 학문사Kleine Weltgeschichte der Wissenschaft』, 『세계 언어의 이해Abenteuer Sprache. Ein Streifzug durch die Sprachen der Erde』 등이 있다.
역자 : 박민수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실러 미학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독일에 유학하여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바움가르텐, 람베르트, 칸트, 실러, 헤겔의 미학에서 미적 가상의 복안’이란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번역서로는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신의 독약 - 에덴 동산 이후의 중독과 도취의 문화사』, 『데리다-니체, 니체-데리다』, 『거짓말을 하면 얼굴이 빨개진다 - 윤리의 문제를 생각하는 철학 동화』, 『책벌레』, 『크라바트』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개정판에 관해서 - 네 가지 자기 비판적 언급 - 철학의 대상 - 몇 가지 주도적 관점
제1부: 동양의 지혜
제1장: 고대 인도의 철학
I. 베다 시대 II. 인도 철학의 비정통 학파 III. 인도 철학의 정통 학파 IV. 향후 발전에 대한 전망과 전반적 평가
제2장: 고대 중국의 철학
I. 공자 II. 노자 III. 묵가와 그 밖의 조류 IV. 공자의 위대한 제자들 V. 이후 발전 과정에 대한 조망과 평가
제2부: 그리스 철학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I. 밀레토스의 자연철학자들 II. 피타고라스와 피타고라스학파 III. 엘레아학파 IV. 헤라클레이토스와 기원전 5세기의 자연철학자들
제2장: 그리스 철학의 전성기
I. 소피스트 II. 소크라테스 III. 플라톤 IV. 아리스토텔레스 V. 소크라테스학파, 플라톤학파, 아리스토텔레스학파
제3장: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
I. 스토아학파 II. 에피쿠로스학파 III. 회의주의학파 IV. 절충주의학파 V. 신플라톤주의
제3부: 중세철학
제1장: 교부철학의 시대 I. 고대 사상과 그리스도교의 정신적 태도 차이 II. 그리스도교와 고대 철학의 최초 접목 - 초기 교부들 III. 그리스도교 내부의 위험 IV. 교회 통일의 확립 V. 후기 교부: 아우구스티누스 IV. 아우구스티누스 이외의 후기 교부들
제2장: 스콜라철학의 시대
I. 초기 스콜라철학(보편 논쟁) II. 중세의 아랍 철학과 유대 철학 III. 전성기의 스콜라철학 IV. 후기 스콜라철학 V. 독일 신비주의: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제4부: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시대
제1장: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철학
I. 중세에서 근세로의 정신적 전환 II. 과도기의 주요 사상가
제2장: 바로크 시대의 3대 체계
I. 데카르트 II. 스피노자 III. 라이프니츠
제5부: 계몽주의 철학과 이마누엘 칸트의 저작
제1장: 계몽주의시대
I. 영국 II. 프랑스 III. 독일 IV. 계몽주의에 대한 평가
제2장: 이마누엘 칸트
I. 생애, 인품, 저작 II. 비판철학 이전 시기 III. 순수이성비판 IV. 윤리와 종교 V. 판단력 비판 VI. 비판철학 이후의 저작 VII. 칸트에 대한 비판과 평가
제6부: 19세기 철학
제1장: 낭만주의와 독일 관념론
I. 칸트 철학의 계승과 발전 - 신앙 철학자들 II. 피히테 III. 셸링 IV. 헤겔
제2장: 실증주의, 유물론, 마르크스주의
I. 프랑스 실증주의: 콩트 II. 영국 실증주의 III. 독일: 헤겔학파의 붕괴와 유물론의 대두 IV. 마르크스
제3장: 쇼펜하우어, 키르케고르, 니체
I.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II. 쇠렌 키르케고르 III. 프리드리히 니체
제4장: 신칸트주의
I. 칸트 사상의 비판적 재성찰 II. 유사한 조류들 - 러시아를 중심으로
제7부: 20세기 철학 사상의 주요방향
제1장: 20세기 전반의 사상가와 학파
I. 생철학과 역사주의 II. 실용주의 III. 새로운 존재론과 새로운 형이상학 IV. 현상학 V. 실존철학 VI. 존재물음의 전개: 마르틴 하이데거 VII. 마르크스주의의 영광과 종말
제2장: 현대 철학의 주제와 문제
I. 인간의 모습 (철학적 인간학) II. 언어 III. 인식과 지식 IV.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V. 뇌, 의식, 정신
맺는 말
주석
옮긴이의 말
인명색인
사항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