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초등 과학 영재를 위한 STEAM 융합 사고 훈련 교재다.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사고를 구조화하는 데 초점을 둔 학습 시스템이다. STEAM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을 융합적으로 사고하는 교육 접근법이다. 학생이 과학 개념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도록 돕는 ‘생각 설계형 플랫폼’으로 설계되었다.
이 교재는 지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루는 60개 주제를 중심으로 ‘문제 인식 → 기능 설계 → 시나리오 구성 → 설계도 작성 → 만들기 → 발표 → 피드백’의 사고 과정을 반복 훈련하게 한다. 각 활동에는 설계도, 말풍선, 교사 질문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이 글쓰기의 부담 없이 사고의 흐름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표현하며, 입으로 설명할 수 있게 돕는다.
출판사 리뷰
『지오몽의 지구 이야기 1~4권』 사용 설명서
1. 교재의 성격[사고를 설계하는 플랫폼]
『지오몽의 지구 이야기』는 초등 과학 영재를 위한 STEAM 융합 사고 훈련 교재다.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사고를 구조화하는 데 초점을 둔 학습 시스템이다. STEAM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을 융합적으로 사고하는 교육 접근법이다. 학생이 과학 개념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도록 돕는 ‘생각 설계형 플랫폼’으로 설계되었다.
이 교재는 지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루는 60개 주제를 중심으로 ‘문제 인식 → 기능 설계 → 시나리오 구성 → 설계도 작성 → 만들기 → 발표 → 피드백’의 사고 과정을 반복 훈련하게 한다. 각 활동에는 설계도, 말풍선, 교사 질문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이 글쓰기의 부담 없이 사고의 흐름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표현하며, 입으로 설명할 수 있게 돕는다.
2. 학습자 중심 구조[생각의 전 과정을 스스로 설계]
이 교재의 핵심은 학생이 사고의 시작과 끝을 스스로 설계하는 데 있다.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기능을 고안하며, 이야기를 구성해 설계도를 완성한 뒤 반입체로 구현하고 친구 앞에서 발표한다. 그리고 피드백을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를 완성한다.
이러한 순환적 구조를 반복하면 ‘문제 인식 → 전략 구상 → 구조적 설명 → 피드백 수용 → 자기 점검 → 표현력 강화’로 이어지는 자기 주도적 사고 패턴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은 단순한 학습을 넘어 “나는 지금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가?”, “이 과정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와 같은 메타 인지적 사고를 이끌어 낸다. 학생은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하고, 사고의 흐름을 스스로 점검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3. 열린 활용 구조[누구나 수업 가능한 설계]
『지오몽의 지구 이야기』는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교사, 학부모, 학원 강사, 교육 기관 모두 수업 목적에 맞게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교사는 정규 수업, 창체 활동, 방과후 프로그램에서 별도 연수 없이 운영 가능하다. 학부모는 아이와 함께 설계도를 그리고 만들고 말풍선을 꾸미며 놀이처럼 사고를 훈련할 수 있다.
교육 기관은 프로젝트형 융합 수업이나 영재 수업, 창의성 평가 수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미술 수업에서도 사고를 시각화하는 조형 훈련의 도구로 확장할 수 있다. 이처럼 교재는 ‘전문 교재이되 누구나 가르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4. 2차시 완결형 수업 구조[집중과 몰입의 균형]
모든 단원은 2차시 안에 완결되며, 한 차시가 약 50~60분으로 구성된다. 1차시에는 교재 읽기, 개념 대화, 기능 고안, 시나리오 구성이 이루어진다. 2차시에는 설계도 완성, 제작, 발표, 응답, 평가로 이어진다. 이 구조는 과학 개념의 이해와 표현을 한 흐름에서 완성하게 해 준다.
1~3인 수업에서는 집중 피드백과 자기 주도 훈련이 용이하다. 4~6인 수업에서는 질문과 토의를 통한 비판적 사고가 촉진된다. 7~12인 수업은 역할 분담과 협력 중심 프로젝트 운영에 적합하다. 즉, 이 교재는 수업 인원에 따라 사고 훈련의 깊이와 협력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지닌다.
5. 통일된 사고 프레임[모든 주제를 하나의 언어로]
『지오몽의 지구 이야기』는 주제가 달라도 사고의 구조가 동일하다. 어떤 단원에서도 학생은 ‘문제 인식 → 기능 설계 → 시나리오 구성 → 설계도 작성 → 만들기 → 발표’의 과정을 밟는다. 예를 들어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온도·가스·진동을 감지하는 장치에 필요한 기능은 무엇일까?’를 고민하고, 이를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설계도에 표시한다. 그런 뒤 실제로 장치를 만들고 친구에게 설명하며 사고를 정리하는 구조다. 이 같은 일관된 구조는 어떤 주제든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는 언어 체계를 형성시켜 준다.
6. AI 루브릭 평가[사고의 깊이까지 측정]
평가 기준은 단순한 결과물이 아니라 사고의 과정과 구조, 표현력, 참여 태도까지 포함한다. 루브릭은 과학 개념 이해, 기능 흐름 완성도, 시각 표현력, 발표력, 협력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사 평가와 상호 평가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학생의 시나리오, 설계도, 발표 사진 등을 AI에 입력하면 정량 평가가 가능하다. 이 결과는 학생의 사고력 성장 과정을 시각적으로 피드백해 준다. 이 시스템은 단순한 성취도 측정이 아니라, 사고 발달의 경로를 기록하는 평가 모델이다.
7. 활동지와 해설지[교사와 학생을 연결하는 두 축]
활동지는 문제 제기에서 발표까지의 과정을 따라 구성되고, 해설지는 준비물과 진행 요령을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교사는 이를 토대로 학년 수준이나 수업 목표에 맞게 활동을 조정할 수 있다. 학생은 활동지를 통해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루브릭을 보며 자기 학습을 점검한다.
제작을 어려워하는 학생은 스토리 읽기나 설계도 그리기로 참여할 수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선택에 따라 수업이 유연하게 변형되고 확장된다. 결국 교사는 수업의 자율성을, 학생은 창의적 탐구의 기회를 얻게 된다.
8. 결론[AI 시대의 새로운 학습 모델]
『지오몽의 지구 이야기』는 과학적 사고에서 기능 설계, 시나리오 구성, 만들기, 발표와 피드백에 이르는 전 과정 사고 설계 시스템이다. 교사는 손쉽게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은 생각을 구조화해 표현하는 힘을 기른다.
이 교재는 인공 지능 시대의 핵심 역량인 문제 인식, 사고 구조화, 창의적 해결 능력을 길러 주는 학습 도구다. 정답을 외우는 공부에서 벗어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구조를 만들어 가는 공부로 전환하는 길 위에 이 교재가 있다.『지오몽의 지구 이야기』는 단순한 교재가 아니라,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사고 설계 지침서다.
목차
Chapter 1 인간의 기원과 문명
01 인류는 지금까지 얼마나 태어났을까 10
<STEAM 활동> 인구 1300억 명 시대 도시 만들기 14
02 왜 사람만 지능이 발달한 거지 16
<STEAM 활동> 나만의 생각머리 만들기 20
03 네안데르탈인의 손도끼가 왜 거기서 나와 22
<STEAM 활동> 생존 손도끼 만들기 26
04 거대 유인원의 슬픈 멸종 28
<STEAM 활동> 유인원의 생존 전략 선택하기 32
05 성큼 다가온 영원히 사는 꿈 34
<STEAM 활동> 디지털 vs 휴머노이드 인간 38
Chapter 2 환경 문제와 인류의 실천 40
06 소의 트림과 방귀에 왜 세금을 물릴까 42
<STEAM 활동> 메테인 제로 농장 설계하기 46
07 엄마가 버린 약이 사람과 지구 건강 망쳐요 48
<STEAM 활동> 약물 없는 싱크대 만들기 52
08 새우 많이 먹으면 온실가스가 늘어난다고? 54
<STEAM 활동> 기후를 살리는 식단 만들기 58
09 시베리아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몰려온다 60
<STEAM 활동> 좀비 바이러스 차단 장치 만들기 64
10 똥 천지가 된 에베레스트 66
<STEAM 활동> 고산 똥 압축기 만들기 70
11 무인도에서 플라스틱 화석이 발견된 까닭 72
<STEAM 활동> 플라스틱 추적·수거 장치 만들기 76
12 미국 최대 동굴을 위험에 빠뜨린 ‘치토스’ 78
<STEAM 활동> 동굴 생태계 지킴이 만들기 82
13 이산화탄소 잡아먹는 슈퍼 나무 84
<STEAM 활동> 탄소 잡아먹는 슈퍼 나무 만들기 88
Chapter 3 우주의 과학적 원리-1
14 태양은 영원히 빛날까 92
<STEAM 활동> 태양의 생애 지도 그리기 96
15 달에서는 소리가 들릴까 98
<STEAM 활동> 소리 전달 실험 설계 102
부록 STEAM 활동 지침서(1~15번 주제 교과 연계) 10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