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조선 후기 민화 가운데에서도 가장 독창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회화 장르인 ‘호도(胡圖)’, 즉 이국적 상상과 상징이 결합된 민화의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한 연구서이다.
‘호(胡)’는 예로부터 중국과 서역(西域)을 상징하는 말로, 조선시대 회화에서 ‘호도’는 현실의 동물이나 인물을 넘어선 이국적 신화의 세계, 상상의 공간을 의미했다. 이 책은 그러한 호도의 개념적 기원에서부터 조선 민화 속에 나타난 다양한 표현 양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조선인의 세계 인식과 예술적 상상력을 탐구한다.
저자 이영수 학장은 40여 년간 민화의 조형언어와 상징체계를 연구해온 권위자로, 본서에서 호도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호랑이도, 봉황도, 기린도, 용호도, 사자도, 수호신상도 등 수십 점의 도상을 직접 분석하고, 색채·구도·문양·기법을 상세히 해설한다.
또한 회화 속에 담긴 유교적 도덕관, 불교의 수호사상, 도교의 신선사상, 민간의 길상 신앙을 통합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민화가 단순한 민속화가 아니라 철학과 미학이 깃든 예술임을 밝혀낸다.
출판사 리뷰
《조선시대 민화 호도(胡圖)》는 조선 후기 민화 가운데에서도 가장 독창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회화 장르인 ‘호도(胡圖)’, 즉 이국적 상상과 상징이 결합된 민화의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한 연구서이다.
‘호(胡)’는 예로부터 중국과 서역(西域)을 상징하는 말로, 조선시대 회화에서 ‘호도’는 현실의 동물이나 인물을 넘어선 이국적 신화의 세계, 상상의 공간을 의미했다. 이 책은 그러한 호도의 개념적 기원에서부터 조선 민화 속에 나타난 다양한 표현 양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조선인의 세계 인식과 예술적 상상력을 탐구한다.
저자 이영수 학장은 40여 년간 민화의 조형언어와 상징체계를 연구해온 권위자로, 본서에서 호도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호랑이도, 봉황도, 기린도, 용호도, 사자도, 수호신상도 등 수십 점의 도상을 직접 분석하고, 색채·구도·문양·기법을 상세히 해설한다.
또한 회화 속에 담긴 유교적 도덕관, 불교의 수호사상, 도교의 신선사상, 민간의 길상 신앙을 통합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민화가 단순한 민속화가 아니라 철학과 미학이 깃든 예술임을 밝혀낸다.
특히 이 책은 민화에 내재된 ‘조선의 상상력’과 ‘미의식’을 단순한 전통의 유물로 보는 시각을 넘어, 현대 시각예술·디자인·콘텐츠 산업에서의 창의적 자산으로 재해석한다. 고서화 복원 사진, 고문헌 도판, 민화 비교 이미지 등을 풍부하게 수록해 미술사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 예술대학 학생, 전통디자인 연구자들에게도 생생한 자료가 된다.
《조선시대 민화 호도》는 단순히 옛 그림을 소개하는 책이 아니라, 조선인의 마음에 깃든 상상의 지도를 펼쳐 보이는 책이다.
그림 한 점 한 점이 전해주는 상징과 염원, 그리고 인간과 자연, 신성과 현실이 어우러진 조선의 미학을 통해, 우리는 잊고 있던 한국적 상상력의 뿌리를 다시 만날 수 있다.
출판사 서평
《조선시대 민화 호도》는 ‘조선의 상상력’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는 미술사적 자료다.
호도 속에는 단순한 그림 이상의 것이 담겨 있다.
그것은 이국적 세계에 대한 호기심, 자연과 신성의 조화, 그리고 민중의 해학과 염원이다.
저자 이영수 학장은 오랜 기간 실물 조사와 고문헌 연구를 병행하여 호도의 실체를 밝혀냈다.
민화의 전통을 오늘의 미감으로 다시 해석하는 이 책은, 한국 미술사 연구자뿐 아니라 전통문화와 디자인, 일러스트, 시각예술 종사자들에게도 깊은 영감을 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영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국전 추천작가와 초대작가, 심사위원과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을 역임하 였으며, 충청남도 문화상과 안견미술상을 수상하였다.전시기획개인전1983 미도파화랑1994 공평아트센터2004 경향갤러리등단체전1981 한국미술 81전(국립현대미술관)1985 현대미술40년전(국립현대미술관)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국립현대미술관)1995 시멘트와 미술의 만남전(성곡미술관)1998 대전공간확산전(대전시립미술관)등수상경력통일미술대전 국회의장상1965-1974 국전 특선 3회·입선 4회1968 백양회 공모전 국립공보장관상1975 국전 문화공보부장관상2009 옥조근정훈장등[약력]·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연세대학교 경영 대학원 수료·러시아 하바로스코프국립사범대학 명예 예술학 박사·경남대학교, 국립부산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세종대학교,·강남대학교, 홍익대학교 교수 및 강사 역임·단국대학교 예술대학장, 산업디자인 대학원장 역임[현재]·단국대학교예술대학 종신명예 교수·(사)한국역술인협회, 한국풍수지리 연구협회, 한국작명연구협회, 한국역리뉴스, 관인 한국역학대학 철학학원·(사)한국역리학회 상임고문, 한·중협회 문화예술 상임고문
목차
축사 ---- 5
안순철 단국대학교 총장
민화는 조선시대의 해학과 풍자로 한시대의 사회상을 그대로 ....
이길여 가천대학교 총장
수십년에 걸쳐 산실되어가던 민화를 모으고 직접 책으로 편찬해내는 ....
정창덕 나주대학교 총장
민화에는 우리민족의 희노애락의 감정과 그 속에 스며든 정서가 ....
김순옥 한국미술진흥원 대표
민화는 조선시대에 살았던 서민들의 의식세계와 잠재된 ....
이영수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종신명예교수 / 저자
한국민화전집을 발간하며 ....
서문 ---- 10
이영수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종신명예교수 / 저자
한국민화전집을 발간하며 ....
민화의 전개 ---- 11
도판 ---- 20
도판목록 ---- 105
부록 ---- 107
편집자문 ----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