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진기환
도연 진기환은 중국의 문학과 사학, 철학에 관련된 고전을 우리말로 국역하거나, 저술하였다. 서울의 대동세무고등학교 교장 역임.- 주요 저서 -중국 고전소설 《儒林外史》 국내 최초 번역.《史記講讀》, 《史記 人物評》,《中國의 土俗神과 그 神話》,《中國의 신선이야기》,《上洞八仙傳》,《三國志 故事成語 辭典》,《三國志 故事名言 三百選》,《三國志의 지혜》,《三國志 人物評論》,《精選 三國演義 原文 註解》,《中國人의 俗談》,《水滸傳 評說》,《金甁梅 評說》,《논술로 읽는 論語》,《十八史略 中(下)·下(上)·下(下)》,《唐詩三百首 上·中·下》 共譯 ,《唐詩逸話》,《唐詩絶句》,《王維》,《漢書》 全 15권 ,《後漢書》全 10권 외
머리말
일러두기
참고도서
제1부 수대의 풍운
1) 수나라 황제 일람
2) 《수서(隋書)》
1. 남북조시대의 종결
(1) 오호십육국 시대
(2) 남북조시대
1) 남조의 개국 군주
2. 수나라의 건국
(1) 수(隋) 역사의 대략
(2) 양견의 건국
1) 양견의 출생
2) 양견의 득세
3. 수 문제의 정치
(1) 수 건국 주체ㅡ관농집단
(2) 문제의 내정
1) 문제(文帝)의 선정
2) 수 문제의 폐정(弊政)
(3) 통치제도
1) 중앙관제
2) 군사제도ㅡ부병제
3) 법제(法制)
4) 균전제(均田制)
5) 학교 교육과 선거(選擧, 인재등용)
4. 중국의 통일
(1) 수 건국 당시의 형세
(2) 진(陳)의 멸망
(3) 나라 멸망의 공식
1) 망국(亡國) 군주에게 술이란?
2)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ㅡ망국지음(亡國之音)
3) 파경중원(破鏡重圓)
5. 문제文帝의 독고황후獨孤皇后
(1) 운명의 전기
(2) 질투 살인
(3) 태자 폐출
(4) 태자 양광(楊廣)
(5) 부친 시해(弑害)
(6) 문제(文帝)의 치적과 평가
6. 양제煬帝 정치
(1) 공유할 수 없는 권력
(2) 수(隋)의 토목공사
1) 화려한 궁궐
2) 대운하 개통
3) 강도(江都) 유람
(3) 고구려 원정
(4) 농민 봉기
1) 민중의 고초
2) 와강 영웅
(5) 양제의 최후
1) 양제의 폭정
2) 치욕적 시호(煬)
3) 양제 사후
제2부 당(唐)의 건국과 융성
1. 당 전반기 역사 개관
2. 《구당서》와 《신당서》
(1) 《구당서》
(2) 《신당서》
3. 국호 당唐
(1) 당과 수의 관계
(2) 국도 장안
4. 고조 이연
(1) 당의 건국
1) 이연의 내력
2) 이연의 황후 두씨
3) 진양 기병
4) 당조의 개국
5) 종실 출신의 공신
6) 장안 도읍
(2) 현무문의 변
1) 고조의 아들
2) 고조의 어정쩡한 처사
3) 여러 가지 복합 원인
4) 골육상잔
5) 형제 살육도 생존 경쟁인가?
6) 이건성의 실패 원인
5. 정관의 치
(1) 당의 전성기
1) 천책상장부
2) 태종 즉위
3) 장손황후의 도움
4) 정관지치의 바탕
5) 태종의 선정
6) 능연각의 공신
7) 납간과 임현
8) 태종의 고구려 원정
9) 고선지의 실패와 죽음
(2) 통치제도
1) 중앙행정조직
2) 지방제도
3) 토지ㅡ균전제
4) 부세ㅡ조·용·조
5) 군역ㅡ부병제
6) 사법제도
(3) 태종의 문치 정책
1) 이세민의 문사 애호
2) 문학관 18학사
3) 국자감 융성
4) 공영달의 《오경정의》
(4) 태종의 공과
1) 태자 자리를 둘러싼 암투
2) 이세적을 시험하다
3) 멧돼지 사냥
4) 태종의 말년
5) 창업과 수성(守成)
6. 고종의 치세
(1) 고종의 즉위
(2) 황후 왕씨(王氏) 폐위
(3) 고구려와 당의 전쟁
1) 고구려 정벌
2) 당의 영역
(4) 고종의 치적
7. 측천무후 시대
(1) 무미랑의 입궁
(2) 국정 전담 무(武)황후
(3) 황제 즉위(周)
(4) 과거 활성화
(5) 지식인 우대, 인재등용
(6) 밀고 권장과 혹리 등용
(7) 측천문자
(8) 남성 편력
(9) 측천무후의 죽음
8. 중종과 예종
(1) 무후의 권력욕
(2) 중종의 즉위와 폐위
1) 중종(中宗)의 복벽(復)
2) 위황후와 안락공주
3) 상관완아
(3) 예종의 즉위
1) 모친 위세에 눌린 아들
2) 당륭지변
3) 태평공주
9. 현종의 치세
(1) 현종 즉위
(2) 개원의 치
1) 요숭과 노회신
2) 위지고
3) 한휴
4) 장구령
(3) 천보 연간의 정치
1) 재상 이임보
2) 양국충
3) 양국충의 오국
4) 환관 고력사
(4) 안록산
1) 안록산의 대두
2) 안록산의 가면
3) 충직하고 멍청한척하기
4) 이임보의 죽음
(5) 양귀비
1) 양귀비의 등장
2) 내명부와 외명부
3) 현종과 양귀비의 결합
4) 현종의 사랑
(6) 안사의 난(755-763)
1) 안록산의 반란
2) 마외파
3) 반군 토벌
4) 명필 안진경의 의기
(7) 안록산 난 이후의 혼란
1) 병약한 숙종
2) 현종 퇴위, 숙종 즉위
3) 현종과 숙종의 죽음
4) 대종, 안사의 난 종결
5) 환관 어조은
6) 안사의 난 영향
제3부 당(唐)의 쇠락과 멸망
1. 당 후반기 시대 개관
2. 정치적 혼란
(1) 내재적 모순의 표출
1) 국가운영 제도의 변질
2) 번진 세력의 대두
(2) 덕종의 정치
1) 경원병변
2) 노기ㅡ추악한 재상
3) 배연령ㅡ아첨의 명수
(3) 환관의 발호
1) 영정 혁신 좌절
2) 원화 중흥
3) 환관의 권력
4) 환관의 행패ㅡ오방사
5) 감로지변
6) 환관과 신책군
7) 문생천자
(4) 무종ㅡ우이당쟁
1) 무종의 불교탄압
2) 무종의 환관 세력 제거
3) 우이당쟁
3. 당의 석양
(1) 선종ㅡ석양의 명군
(2) 의종ㅡ방훈의 난
(3) 희종ㅡ황소의 난
1) 황소ㅡ실패와 불평
2) 황소 반란 경과
3) 황소 난의 진압
4) 황소의 난 실패 원인
(4) 소종ㅡ주전충의 대두
(5) 애제ㅡ사라진 제국
(6) 당조의 역사적 의의
(7) 당 이후 오대십국의 혼란
1) 오대 정권의 개략
2) 십국(十國)의 경제적 안정
제4부 당의 경제와 사회
1. 군현과 인구
2. 상업 발달
(1) 도시와 상업의 발달
1) 장안성
2) 국내 상업
3) 동시와 서시
4) 궁시(宮市)
5) 양주의 번영과 쇠퇴
6) 화폐 정책
7) 비전
8) 술의 전매
(2) 해외 무역
1) 시박사
3. 생활과 습속
(1) 출사
1) 과거의 종류와 기회
2) 과거시험 교과목
3) 사재(四才)ㅡ석갈시(釋褐試)
4) 50세 진사
(2) 작위
(3) 생활 모습
1) 적전례(籍田禮)
2) 명절
3) 오락
4) 차의 보급
5) 다신 육우
제5부 당 문화의 융성
1. 당의 문화
(1) 당 문화의 특성
(2) 문화교류의 특징
2. 불교와 도교
(1) 도교의 성립
(2) 노자의 지위
(3) 도교 수련ㅡ연단
(4) 불교와 도교의 대립
1) 불교와 도교의 논쟁
2) 노자 존중
3) 현장의 구법 활동
4) 대자은사와 대안탑
5) 회창의 법난
3. 과학의 발달
(1) 건축ㅡ조주의 석교
(2) 의학
1) 이순풍ㅡ인덕력
(3) 역법
1) 이순풍ㅡ인덕력
2) 장수의 대연력
(4) 역사학
1) 서당의 역사 교과서ㅡ《통감》
2) 사관 설치
(5) 사학 명저
1) 이백약ㅡ《북제서》
2) 요사렴ㅡ《양서》, 《진서》
3) 안사고ㅡ《한서》주석
4) 유지기ㅡ《사통》
5) 두우ㅡ《통전》
(6) 기타 명저
1) 이수소의 보학
2) 이길보ㅡ《원화군현도지》
3) 당 행정법전ㅡ《대당육전》
4. 예술의 발전
(1) 서예
1) 태종의 서예 애호
2) 명필ㅡ우세남과 저수량
3) 구양순
4) 안진경
5) 유공권
(2) 회화
1) 염입본
2) 오도자(오도현)
3) 이사훈
(3) 음악
1) 이원제자와 노랑신
2) 조효손ㅡ아악 정리
3) 악기
4) 태공묘
5. 문학의 융성
(1) 당대의 문풍
(2) 당시의 융성
1) 당시 융성 원인
2) 당나라의 시ㅡ문학의 중심
3) 고체시와 근체시
(3) 당시의 시대 구분
6. 시인 열전
(1) 초당의 시인
1) 초당의 시풍
2) 문장사우
3) 초당사걸
4) 초당의 다른 시인
(2) 성당의 시인
1) 성당의 시풍
2) 맹호연
3) 왕유ㅡ시불
4) 하지장
5) 이백
6) 고적
7) 왕창령
8) 두보
9) 잠삼
10) 최호
(3) 중당의 시인
1) 중당의 시풍
2) 위응물
3) 설도
4) 유우석
5) 백거이
6) 원진
7) 이하
(4) 만당의 시인
1) 만당의 시풍
2) 두목
3) 이상은
4) 온정균
5) 피일휴와 육구몽과 두순학
6) 화예부인의 슬픔
7. 산문散文과 고문古文운동
1) 한유
2) 유종원
8. 민간 문학
9. 전기소설
부록
수당 대사 연표(隋唐 大事 年表)
(1) 수조(隋朝)
(2) 당조(唐朝)
1) 당조唐代, 이당(李唐) 황제 일람
2) 당조 대사 연표(唐朝大事年表)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