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권효
대구가톨릭대학교 프란치스코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명대의 융합형 유학자 이탁오의 『분서(焚書)』를 재해석한 연구로 동양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간 신문 기자로 24년 일했다. 저서로 『대학생의 탁월함』, 『뉴스의 비유 왜곡』, 『공자의 일상 공경: 논어 향당 편』,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내 삶의 뉴스메이커』, 『류성룡 징비력』, 『논어신편: 새로 편집한 논어』, 『뉴스메이커 공자』, 『논어로 읽는 퇴계 언행 100구: 올바름이 이치입니까』, 『한글로 통하는 논어』, 『헤드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있다.논문은 「매스미디어 뉴스에 나타난 유교의 인식과 이미지 연구」, 「위기 의식과 철학의 정체성 검토」, 「호학의 관점에서 본 이지 분서의 문제 의식」, 「이탁오에 관한 신문 기사의 분석과 평가」, 「현상학적 판단중지의 의의와 철학적 태도」 등이 있다.
서론 / 매스미디어 뉴스 헤드라인을 넘어
매스미디어에 갇힌 헤드라인
헤드라인의 수단적 성격
헤드라이너 대학생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는 헤드라인
뉴스 헤드라인의 유인(誘引) 욕심
헤드라인의 부분성
현실 vs 현상
뉴스 헤드라인의 피상성
사이비 헤드라인 우려
현실이 부분으로 드러나는 현상
뉴스가 아쉽지 않은 인터넷 시대
헤드라인의 정명(正名)을 성찰해야 할 시대
1장 / 인터네터(Interneter)는 지민(知民)이고 지중(知衆)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누리꾼’
알맹이 없는 ‘네티즌’
인터네터(Interneter)
인터넷 세상의 주인공 인터네터
수동적 독자의 종료
인터네터는 올드미디어 킬러
인터네터는 새로운 ‘민’(民)과 ‘중’(衆)
대중은 막연한 불특정 다수
인터넷은 민주(民主) 기반
군중 시대의 종말
지민과 지중의 시대
2장 / 헤드라인은 곧고 올바름을 드러내는 제목(題目)이다
라인(line)은 실마리
헤드(head)는 신체의 상징
머리는 으뜸
제목은 올바른 판단의 결과
헤드라인은 윤리적 가치
3장 / 서양의 레토릭(rhetoric)과 동양의 수사(修辭)는 다르다
‘레토릭’에 대한 부정적 인식
헤드라인의 레토릭 유혹
언어 수사와 범죄 수사
히틀러의 수사 왜곡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의 ‘레토릭’ 고민
과학의 레토릭
언어는 중간(中間) 세계
언어는 문식(文飾)
대언(大言)과 소언(小言)
수신(修身)을 위한 수사(修辭)
수업(修業)을 위한 수사(修辭)
수사(修辭)는 윤리(倫理)
4장 / 공자 “일언이폐지, 사무사(思無邪)”는 헤드라인의 본보기다
논어 500구절은 헤드라인 묶음
공자의 헤드라인 감각
시삼백은 공자학단의 중심 교재
‘사무사’는 시 공부를 위한 유인어
‘사무사’는 시삼백의 실마리
학기(學記)의 통찰
사무사 = 순수함
‘사무사’는 말(馬)이 달리는 모습
불문마(不問馬) 아닌 ‘불(不), 문마(問馬)’
‘사무사’는 순수한 정서
‘사무사’는 뉴스 헤드라인의 거울
5장 / 뉴스 헤드라인에는 서둘러 강요하려는 욕망이 꿈틀거린다
일상에서 멀어진 언론 개념
언론은 보통사람의 의사소통
인터넷으로 풀리는 언론 족쇄
헤드라인의 새로운 가능성
뉴스는 이중(二重) 가공품
팩트 = 선택 + 해석
흥미는 이익
더 조급해지는 뉴스
포털 사이트의 압박
가치 떨어지는 뉴스 밸류
로컬(local) 미디어는 좁게 갇힌 미디어
국수주의(國粹主義) 헤드라인
우려스런 책 소개 헤드라인
‘편집’(編輯, 偏執, 褊執)의 세 가지 수준
언론, 뉴스, 헤드라인 성찰 기회
6장 / 유언(遺言)은 삶을 주체적으로 요약하는 헤드라인이다
유언은 깊고 그윽한 유언(幽言)
공자
안중근
이종학 - 독도고증(考證)실천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