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사유진
서울예전 영화과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한 뒤, 충무로에서 5~6년 동안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과 감독을 거쳐, 현재는 춤과 영화를 결합한 ‘시네-댄스 Cine-dance’라는 예술영화를 만들고 있는 25년 차 영화감독이다.또한 자연을 사랑하고, 인생의 지혜를 담은 짧은 시를 쓰는 하이진(하이쿠 시인)이기도 하다. 한 지방신문에는 「문화 산책」이라는 칼럼을 기고한 적도 있다. 보름달이 뜬 밤이면 야외에서 ‘달빛명상춤’이라는 이름으로 명상과 춤을 이끌며 영적인 안내자 역할을 한다.한편, 문화예술 기획자로서 23명의 예술가와 함께 쓴 수필집 『숲길, 숲에서 길을 찾다』는 2021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한 ‘코로나19, 예술로 기록’ 공모에서 3,222편 중 11개의 우수작에 선정되기도 했다.이외에도 ‘제주어린이평화순례길’, ‘난민 어린이 후원회’, ‘제주4·3어린이평화음악회’, ‘박기순 열사 장학사업’, ‘문화 역사 기행’, ‘춤영화 인문학’ 등 여러 강의와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철학으로 영화 보기’ 시리즈도 집필 중이다. 저서로는 『드라이브의 칼날』이 있다.
크랭크 인
오프닝 씬
꿈과 현실의 미로 속으로
#1. <멀홀랜드 드라이브>, 끝나지 않는 질문
#2. 왜 철학으로 <멀홀랜드 드라이브>를 읽어야 하는가?
#3. 이 책에서 만날 철학자들
SCENE 1 고대와 중세
#1. 고대 그리스 철학의 태동: 존재와 변화의 근원
· 파르메니데스: 존재의 불변성, 진리의 길
· 헤라클레이토스: 만물은 유전한다, 대립의 조화
#2. 고대 그리스 철학의 완성: 이데아와 현실
· 플라톤: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진리의 탐구
· 아리스토텔레스: 형상-질료론, 목적론적 세계관
#3. 고대 후기 및 중세의 형이상학: 신과 세계의 질서
· 플로티노스: 일자, 유출, 영혼의 회귀와 정화
· 토마스 아퀴나스: 신앙과 이성의 조화, 존재의 이해
SCENE 2 근대
#4. 근대 합리론: 이성과 실체의 탐구
·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혼란스럽다
· 바뤼흐 스피노자: 신 즉 자연, 이성적 자유
· 라이프니츠: 조화로운 우주, 단자론
#5. 근대 경험론: 인식의 주관성과 감각의 역할
· 존 로크: 경험론의 아버지, 자연권과 사회 계약
· 조지 버클리: 존재는 지각되는 것이다, 비물질주의
· 데이비드 흄: 회의주의적 경험론, 인과성의 비판
#6. 독일 관념론: 이성과 정신의 변증법
· 임마누엘 칸트: 비판 철학, 선험적 종합 판단, 정언 명령
· 프리드리히 헤겔: 변증법적 정신, 절대정신
※ 비하인드 씬: 헤겔의 사상은 서양 철학의 흐름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7. 19세기 의지 철학: 고통과 삶의 긍정
·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염세주의
· 프리드리히 니체: 힘에의 의지, 초인과 가치 전복
SCENE 3 20세기 전반
#8. 정신분석학: 무의식과 주체의 형성
· 지그문트 프로이트: 무의식의 발견, 정신분석학의 창시
· 자크 라캉: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 거울 단계와 타자
#9. 실존주의: 존재의 불안, 자유, 그리고 선택
· 쇠렌 키르케고르: 실존의 역설, 신앙의 도약
· 장 폴 사르트르: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자유와 책임
#10. 20세기 현상학: 의식과 몸의 지각
·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의 창시자, 의식의 지향성
· 모리스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몸의 존재론
#11. 20세기 존재론의 심화: 존재와 타자의 물음
·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 물음과 현존재 분석
· 에마뉘엘 레비나스: 타자의 얼굴, 무한한 책임의 윤리
SCENE 4 20세기 후반
#12. 20세기 구조주의 및 포스트구조주의: 언어, 권력, 욕망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구조주의의 창시자, 신화와 친족의 보편 구조
#13. 구조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 구조와 이데올로기
· 카를 마르크스: 자본주의 비판, 계급 투쟁과 공산주의
·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주체화(호명테제)
#14. 포스트구조주의: 주체의 해체와 권력/욕망의 미시적 작동
· 미셸 푸코: 권력, 지식, 담론의 계보학
· 자크 데리다: 해체와 차연, 의미의 불안정성
· 질 들뢰즈: 차이와 생성, 욕망하는 기계
※ 비하인드 씬: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의 시대
#15. 포스트모더니즘과 시뮬라크르: 현실의 복제와 소멸
·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과 하이퍼리얼리티, 현실의 소멸
※ 비하인드 씬: 장 보드리야르와 질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SCENE 5 멀홀랜드 드라이브, 끝나지 않는 질문
· <멀홀랜드 드라이브>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불교의 공(空) 사상
· 독자에게 던지는 성찰의 메시지: 영화, 철학, 그리고 나 자신을 향한 여정
크랭크 업
· 사유진: ‘환원의 철학’
디렉터스 컷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