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허북구
순천대학교 원예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정1급 학예사이다. 원예경제신문 편집국장, 플라워저널 편집국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강사,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강사, 동신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 원광대학교 원예학과 겸임교수,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강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및 동서보완의학대학원 강사를 역임했다.2014년에 타이완 박물관 근무자 하계연수 강사, 2015년에 타이완디자인엑스포 조직위로부터 해외 명사로 초청받아 강연했으며, 2018년에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교 초청, 2019년에 유네스코 자카르타 사무국 초청 2회, 2023년 타이완 아시아대학 초청, 2024년 타이완 타이중시섬유공예물관 초청 강의 등 해외에서 27회에 걸쳐 강연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 광주전남중소기업청장상, 제6회 미래전남 혁신리더상(2020)을 수상했으며, 타이완 타이중시와 유네스코 자카르타 사무국으로부터 감사장을 받았다.현재 한국명인명장연구소장으로 근무하면서 전주기전대학 치유농업과 겸임교수, (사)한국농어촌관광학회 수석 부학회장, 광양뉴스·담양뉴스·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칼럼위원, 전남인터넷신문 농업칼럼위원,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임이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이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저서로는 《미래를 바꾸는 탄소 농업》, 《지역문화를 살리는 박물관 경영 마케팅 길잡이》 등 국내외에서 130여 권을 출판했고, 특허 등 지적 재산권 100여 건이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350여 편의 논문과 2,500여 회의 칼럼을 게재했다.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대한민국수공예대전, 대한민국압화대전 심사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타이완 타이중시정부 및 타이난시정부의 초청을 받아 6회의 지화(紙花) 개인전을 가졌다.
머리글
1장 궁시공예
1. 활쏘기와 광양 궁술
2. 광양 궁시
2장 금속공예
1. 장도
장도와 패도|패도 종류와 용도
2. 광양 장도
광양 장도장의 전승|광양 패도와 장도장의 수도권 진출|성남의 공예품이 된 광양 패도
3. 곡성 낙죽장도
3장 도자기공예
1. 도자기
역사적인 도자기 산지, 전남|영암 시유도기와 해남의 녹청자|강진 고려청자|고흥과 무안의 분청사기|목포와 무안의 도자기|곡성군 죽곡면 하한리 도자기
2. 옹기
옹관과 전남의 옹관묘|옹기 문화와 옹기장|전남의 옹기와 쳇바퀴태림|전남 각지 옹기와 지명|광양의 옹기|보성의 옹기|강진 칠량면 옹기
4장 목공예
1. 강진 목상여
2. 소반과 나주반
소반의 뜻과 종류|소반의 주요 산지|소반의 양식|나주반의 변죽과 다리의 연결|소반의 재료|일제 강점기 나주반 장인
3. 화순 동복 소목
5장 석공예
1. 옥공예
옥과 비취|마한의 옥공예
2. 해남 옥공예
옥의 산지, 해남 옥매산과 옥동리|납석 세공의 명산지, 해남|해남 옥공예 거리
6장 섬유공예
1. 나주세목과 샛골나이
나주 샛골의 세목|명품 무명, 나주 샛골세목
2. 베개와 베갯모의 자수
베개의 기원과 종류|베개의 구성|베갯모 자수와 상징|전남의 육골베개|나주 공산면 딸기 문양 베개|나주 반남면 쪽염색 베개
3. 전통 신발, 화혜
전통 신발|순천의 화혜
7장 염색공예
1. 감물염색
전남의 감물염색|근대 전남의 감물염색 방법|진도에서 감물염색의 활용|진도에서 감물을 들였던 방법|근대 진도에서 행해졌던 감물진흙염색
2. 그물과 뜰망염색
어구 염색 문화|전남의 그물과 뜰망염색 문화|영산강 어부의 그물 염색 방법
3. 목본류를 이용한 천의 염색
밤나무를 이용한 염색|상수리나무를 이용한 염색|소나무 속껍질을 이용한 염색
4. 삼베 짜기용 치자풀과 염색
5. 쪽물염색
전남과 쪽염색|나주의 쪽염색|나주의 쪽염색 시기와 방법|나주의 쪽염료 가격과 판매처|쪽염색 직물의 거래와 염색 비용|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쪽염색
6. 황토염색
8장 완초와 인초공예
1. 왕골과 골풀
왕골과 완초|골풀과 인초|골풀과 왕골의 용도
2. 나주의 골풀과 왕골공예
왕골과 화문석 명산지, 나주|일본인의 나주 영산포 유입과 인초공예|국내 최대 골풀 공예촌이었던 나주 영산포
3. 함평 왕골 돗자리
9장 지공예
1. 지화공예
지화의 뜻과 유래|전남에서 농악 고깔에 사용된 지화|전남에서 상여에 사용된 지화
2. 한지
광양시 지곡리와 장성 구사진혜현|일제 강점기 조선지 산지, 장성|제지용 뽕나무 껍질|일제 강점기의 장성 한지 작업장|광복 이후의 장성 한지
10장 죽공예
1. 나주 죽공예
전남 죽공예품|나주 죽공예품|나주공예품제작소|나주의 염선목물
2. 담양 죽공예
담양 죽공예품|담양 죽물시장과 죽공예품|담양의 죽렴
3. 낙죽
낙죽과 낙화|담양 낙죽
4. 담양 채상장
5. 부채
고문헌 속의 부채와 산지|《별건곤》 속 부채 명산지, 나주와 담양|나주 금성선|나주 부채의 쇠퇴|나주 부채 산지, 남평과 석정리|나주 부채 전업 장인|도쿄국립박물관의 나주 부채|대영박물관의 조선 시대 나주산 부채|담양 부채
6. 진소(참빗)
진소, 죽즐 및 참빗|전남의 진소|담양의 진소|영암의 진소
11장 칠공예
1. 나주 옻칠
2. 황칠
12장 전남 근대 공예품을 만날 수 있는 곳
1.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 무안전통생활문화테마파크
3.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4. 여수민속전시관
5. 장흥 방촌유물전시관
6. 전라남도농업박물관
7. 한국대나무박물관
8. 한국천연염색박물관
9. 함평생활유물전시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