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전통색명의 상징의미』는 옛 문헌 속 430종의 전통 색이름을 분석해 색의 상징과 문화적 의미를 해석한 인문서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명예교수 정시화가 수십 년간 쌓아온 전통색명 연구를 한 권으로 정리했다.
색은 오래도록 한국인에게 음양오행 사상과 사회 질서, 미의식을 담은 총체적 언어체계였다. 궁중 음식 신선로와 구절판 역시 흑·적·청·백·황의 오색으로 조화를 이루었다. 조정 신하의 관복은 품계에 따라 색이 달랐고, 품이 높을수록 붉은빛을 띠었다. 2021년 인기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의 제목은 한자어 “홍수(紅袖, 붉은 소매)”에서 왔다. 홍수는 ‘아름다운 여인’ ‘궁에서 일하는 여인’을 뜻한다.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함께해 온 정시화 교수는 한국 색채·디자인 연구의 산증인이다. 그는 1970년대부터 전통색채론, 디자인론 등을 가르치며 한국 디자인 교육의 기반을 다졌다.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이 처음 실시한 전통색 연구에도 연구위원으로 참여했다. 정시화 교수는 40여 년간 『삼국사기』에서 『승정원일기』에 이르기까지 주요 고문헌에 등장한 색이름 400여 종을 추적했다. 그의 연구를 집약한 이 책은 역사 속에서 실제로 쓰인 ‘진짜’ 전통색명을 다시 불러내 우리의 오랜 삶과 문화를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출판사 리뷰
오방색의 오해를 바로잡다오늘날 오방색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색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전통색명의 상징의미』의 저자 정시화 교수는 “한국사 어디에도 ‘오방색’이라는 용어는 없다”라고 지적한다. 문헌에는 모두 “방색(方色)”으로 기록돼 있는데, 이는 단순한 흑·적·청·백·황의 오색이 아니라 동·서·남·북·중앙의 오방과 결합할 때 비로소 완성되는 색채 체계다. 색은 눈으로 보는 현상을 넘어 자연과 인간의 질서가 얽힌 문화의 언어였던 셈이다. 하지만 오늘날엔 다섯 가지 색만 사용하면 전통적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이런 오해를 바로잡으며, 우리 색이름을 통해 옛 삶의 흔적을 다시 읽어낸다.
색으로 드러난 사회, 색으로 유지된 질서오랫동안 전통색은 신분과 예절, 계절과 의례를 구분하는 질서의 언어였다. 홍(紅)은 생명력과 권위를, 청(靑)은 청렴과 안정을, 황(黃)은 중심과 조화를 상징했다. 관복의 주홍색은 높은 품계를 드러냈고, 궁궐의 단청은 붉은색(양)과 푸른색(음)을 짝지어 음양의 조화를 표현했다. 사계절 또한 청춘(靑春)·주하(朱夏)·백추(白秋)·현동(玄冬)으로 구분되어 색으로써 자연의 순환을 나타냈으며, 궁중 음식에 담긴 오색 재료 역시 오행의 원리를 시각화했다. 도자기와 공예에서도 색은 상징적이었다. 청화백자의 청화(靑花)는 흰 바탕 위 푸른 무늬로 청정·절제·기품을 상징하며, 물총새의 깃 남색인 취람(翠藍)은 생명의 활력과 고결함을 의미했다. 이처럼 옛사람들의 일상에서 쓰인 색이름은 언제나 자연과 인간의 조화, 사회 질서를 나타냈다. 색은 곧 신념이자 권위였다.
정시화 교수는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주요 문헌을 탐독하며 400여 종의 전통 색이름을 추적했다. 그는 각 이름의 상징체계와 한자 조합, 은유적 의미를 정리해 전통색이 단순한 시각 현상을 넘어 사상과 감정이 결합된 복합적 체계임을 밝혀냈다. 사회 질서와 유교적 가치, 일상 미감 속에서 작동한 문화의 언어, 전통색명⋯. 이 책은 실제 사료에 기록된 일련의 이름들을 통해 색으로써 사유하는 한국 문화의 또 다른 면을 보여준다.

전통색명은 정통 한국사에 기록된 색명만 전통색명이라고 불러야 마땅하다. 정통 한국사의 원본에 기록된 전통색명은 불변하는 것이다. 기록에도 없는 색명을 한자로 표기했다고 해서 전통색명이라고 말할 수 없다.
―「머리말」
“채색은 비록 만여 가지가 있으나 그 근원을 요약하면 오색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광해 2년, 이항복)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시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과 명예교수. 1976년부터 30여 년간 그래픽 디자인 창작실기, 디자인론, 색채계획, 전통색채론 등을 가르치며 교육자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에 추천작가·초대작가로 선정됐으며,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한국시각디자인협회 국제부회장을 지냈으며, 88서울올림픽위원회 중 디자인전문위원회의 주요 일원으로 활동했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제1차 시안」에 연구위원으로 참여했고, 서울시립미술관 개관전 〈한민족의 빛과 색〉에는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국제디자인협의회(ICoD, 전 세계그래픽디자인협의회), 국제색채심포지엄, 바우하우스 답사 연구 등 다양한 국제 활동을 통해 세계 그래픽 디자인의 동향을 한국 디자인계에 반영하는 데 일조했다.지은 책으로 『현대 디자인 연구』 『한국의 현대 디자인』 『산업 디자인 150년』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디자인론』 『포스터 디자인사』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덴마크 디자인의 에센스」 「한국―호주 디자인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바우하우스 디자인 교육의 현대적 재조명」 등이 있으며 일본, 독일, 스위스 간행물에 한국 디자인을 소개하는 글을 다수 기고했다.
목차
머리말
1부 전통색명의 종류
전통색명표
색의 의미
전통색명의 용도
전통색명과 한자색명
2부 전통색명의 상징의미
흑책정사 【黑冊政事】
기복칙몽흑 【起復則蒙黑】
탐묵지풍 【貪墨之風】
포저영문 【苞盈門】
적지천리 【赤地千里】
적각행주 【赤脚行酒】
주자지서 【朱紫之序】
주자지분 【朱紫之分】
단사위한 【丹砂危漢】
거승비옥 【遽陞緋玉】
면정배한 【面背汗】
청의행주 【靑衣行酒】
청청고죽 【靑靑孤竹】
남천저본색 【藍沮本色】
백징 【白徵=白地徵稅】
백의불유령 【白衣不踰嶺】
백의종사 【白衣從事】
백지주출 【白地做出】
회사후소 【繪事後素】
시위소찬 【尸位素餐】
조식연화 【藻飾鉛華】
황의늠식 【黃衣食】
황포가신 【黃袍加身】
적구소금 【積口銷金】
구절자황 【口絶雌黃】
자적란주 【紫的亂朱】
만조청자 【滿朝靑紫】
분홍방 【粉紅榜=紅粉榜】
홍부 【紅腐】
거석홍안 【擧石紅顔】
초록대장 【草綠大將】
남색위초록 【藍色爲楚綠】
녹의황상 【綠衣黃裳】
화벽지한 【化碧之恨】
표영결수지계 【纓結綬之計】
변여황위목 【辨驪黃爲目】
3부 전통색(컬러)의 상징
오행 색 【五行之色】
방색 【方色】
경복궁의 색채
1 흑 黑
북현남주 【北玄南朱】
현의훈상 【玄衣裳】
상현하훈 【上玄下】
흑청불심상원 【黑靑不甚相遠】
2 적 赤
단청음양 【丹靑陰陽】
3 청 靑
청의훈상 【靑衣裳】
청색숭상 【靑色崇尙】
청자 【靑磁】
4 백 白
호착백의설 【好着白衣說】
백자 【白磁】
5 황 黃
금색 와형소아 【金色 蛙形小兒】
6 자 紫
고자비비 【考紫緋】
7 홍 紅
군신동복 【君臣同服】
육색선염 【肉色渲染】
8 녹 綠
심염초록 【深染草綠】
9 벽 碧
표묘 【渺】
비색 【翡色】
10 유
전통색명의 이해
전통색의 오해와 남용
한국 전통 색채 문화의 특성
저자 약력
참고 문헌
도판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