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서려군
화동사범대학교 중국문자연구응용센터 조교수이며, 중국훈고학연구회 회원이다. 주요 연구방향은 중국문자학, 갑골문(甲骨文), 고문자 디지털화이다. <언어과학(語言科學)>, <중국문자연구(中國文字研究)>, <갑골문과 은상사(甲骨文與殷商史)> 등의 학술지에 논문 다수를 발표하였으며, 주요 저서 및 편저성과로는 <한자소사(漢字小史)>, 고문자구형류찬(古文字構形類纂)·금문권(金文卷)>, <고문자고석제요총람(古文字考釋提要總覽)·제5책> 등이 있다. 상해시 사회과학기획 연간 프로젝트 등의 과제를 주관하고, 다수의 국가사회과학 중점 프로젝트 수행에 참여하였다.
“한자문화사상총서” 한국어판 출판에 붙여
“한자문화사상총서” 출판설명
제1장 원시시기, 시간관념의 발생 (상) 3
제1절 ‘태양 속 까마귀’와 ‘일(日)’자의 조자원리 6
제2절 ‘일(日)’의 본의(本義)와 파생의미 13
제3절 ‘일(日)’과 은상시기 시간관념 17
제4절 ‘일(日)’의 원시시기 ‘대낮’에 대한 관념 44
제2장 원시시기, 시간관념의 탄생 (하) 53
제1절 ‘석(夕)’과 ‘월(月)’의 구별 54
제2절 ‘석(夕)’의 의미범주 66
제3절 ‘석(夕)’과 고대중국의 시간개념 79
제4절 ‘석(夕)’과 원시시기 ‘밤’의 관념 92
제3장 민시천수(民時天授): 세부적 문자분류와 왕권 관념 97
제1절 기년(纪年)계열 문자 속의 고대 세시제도 100
제2절 계절 관련 문자와 사시구분 119
제3절 고대 세시제도와 왕권 135
제4장 월령(月令)계열 문자와 천문 시간관념 147
제1절 월령(月令)계열 문자와 월상(月相) 용어 149
제2절 월령(月令)계열 문자와 천문 역법관념 173
제5장 농시(農時)계열 문자와 시간의 순리를 지키는 예제(禮制) 관념 189
제1절 농시(農時)계열 문자와 농경사회 시간관념 191
제2절 절기(節氣) 표현과 농업생산 주기관찰 210
제3절 천시(天時)에 순응하는 농본사상 213
제4절 시간의 질서를 따르는 봉건예제 관념218
제6장 시진(時辰)계열 문자와 세밀한 시간관념 225
제1절 시간대 구분 관념의 형성 226
제2절 시진과 시간대 계열 문자의 시간표현 232
제3절 시간대 구분과 세밀한 시간관념 254
제7장 추상적 시간개념과 진화하는 사유 의식265
제1절 구체사물을 통한 추상 시간개념의 표현 267
제2절 추상적 시간순서 관념 276
제3절 시대와 함께 변하는 시간표현 관념 281
결론 295
참고문헌 303
저자후기 313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