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성경과 그리스 로마 신화는 서구 문화의 근본을 구성하는 두 축으로 여겨진다. 흥미로운 점은 둘의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이다. 성경은 유일신을 중심으로 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당연시한다. 반면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신들마저도 너무도 인간적인 면모를 지니며, 모든 자연에 신성이 깃들어 있다고 본다. 대립하는 두 정신은 갈등과 길항, 화합을 반복하며 서구 문명을 지탱하고 이끌어왔다.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이자 신화적 통찰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내는 데 탁월한 재능을 지닌 이디스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서구 문명의 한 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디스 해밀턴은 이미 널리 알려진 신화 이야기를 그저 수집하여 늘어놓기만 하지 않았다. 전승되는 신화에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에우리피데스,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 등이 남긴 위대한 이야기를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여과한 후 덧붙여 신화의 정수만 담은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이야기를 만들었다. 천지창조부터 로마 제국의 건설까지, 트로이 전쟁부터 오디세우스의 모험까지, 프로메테우스부터 오르페우스까지. 자연과 역사, 신과 인간을 망라하는 무한한 이야기 중 오늘날까지 울림을 주는 이야기를 엄선해 신화를 그저 옛이야기가 아닌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이야기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여타 무수한 그리스 로마 신화 도서 중에서도 유독 도드라지는 이유다.
출판사 리뷰
성경과 함께 서구 문명의 한 축을 이루는 그리스 로마 신화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 이디스 해밀턴이 들려주는
신과 영웅들의 장엄한 대서사시성경과 그리스 로마 신화는 서구 문화의 근본을 구성하는 두 축으로 여겨진다. 흥미로운 점은 둘의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이다. 성경은 유일신을 중심으로 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당연시한다. 반면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신들마저도 너무도 인간적인 면모를 지니며, 모든 자연에 신성이 깃들어 있다고 본다. 대립하는 두 정신은 갈등과 길항, 화합을 반복하며 서구 문명을 지탱하고 이끌어왔다.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이자 신화적 통찰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내는 데 탁월한 재능을 지닌 이디스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서구 문명의 한 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스 사람들은 신들이 세계를 창조했다고 믿지 않았다. 도리어 세계가 신들을 창조했다고 믿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신들은 절대자가 아니었고, 개별 신들은 특정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지하 세계의 왕 하데스에게 딸을 보낸 후 슬픔에 빠진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와 곡식이 자라지 않는 겨울을 연결한 이야기, 거친 파도나 천둥 번개를 포세이돈과 제우스의 분노로 이해하는 이야기는 신들의 인간적인 면모를 보인다. 나아가 고대 그리스인이 얼마나 치열하게 자연 현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려 노력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 얼마나 흥미로운 세계관이 탄생했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왜 지금 다시 신화를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장 탁월한 답변성경이 인간에게 참회와 회개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그리스 로마 신화는 인간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 노력한다. 당연히 인간성 그 자체의 내용이 풍성해질 수밖에 없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최고 영웅 헤라클레스는 엄청난 괴력을 닮은 불같은 성정으로도 유명했다. 헤라클레스의 어마어마한 모험담은 그의 그칠 줄 모르는 호기에서 비롯한 경우가 많았다. “아, 이제 쉴 수 있다. 이걸로 끝이다.” 독이 묻은 옷을 입고 괴로워하다 불에 타 죽은 헤라클레스가 최후로 남긴 말이다. 헤라클레스의 일화는 얼핏 무한해 보이는 힘도 그 힘의 소유자를 언제나 지켜주지는 않는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고, 힘을 절제하는 덕목의 사유로 우리를 이끄는 것이다.
이외에도 누가 가장 아름다운지를 두고 경쟁하느라 수십 년간 이어진 트로이 전쟁을 일으킨 세 여신 헤라, 아프로디테, 아테네의 이야기, ‘본래 남자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창조된 인류 첫 번째 여인 판도라의 이야기, ‘여자로서는 너무나 늠름하고, 남자로서는 너무 애잔’했던 여걸 아탈란테의 이야기 등은 성별과 권력이 얽혀온 불합리한 관계가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졌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천지창조부터 로마 제국의 건설까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정수를 모은 간결하고 힘 있는 이야기이디스 해밀턴은 이미 널리 알려진 신화 이야기를 그저 수집하여 늘어놓기만 하지 않았다. 전승되는 신화에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에우리피데스,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 등이 남긴 위대한 이야기를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여과한 후 덧붙여 신화의 정수만 담은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이야기를 만들었다. 천지창조부터 로마 제국의 건설까지, 트로이 전쟁부터 오디세우스의 모험까지, 프로메테우스부터 오르페우스까지. 자연과 역사, 신과 인간을 망라하는 무한한 이야기 중 오늘날까지 울림을 주는 이야기를 엄선해 신화를 그저 옛이야기가 아닌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이야기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여타 무수한 그리스 로마 신화 도서 중에서도 유독 도드라지는 이유다. 오늘날까지 소설, 영화, 드라마 등으로 재해석되는 신화에 관한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 이디스 해밀턴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두 시대 사이의 시차를 넘어 독자에게 격정적인 감동과 흥분을 안길 것이다.

그리스 사람들은 신들이 세계를 창조했다고 믿지는 않았다. 도리어 세계가 신들을 창조하였으며 신들이 있기 전에 이미 하늘과 땅은 형성되어 있었다고 믿었다.
데메테르도 바쿠스도 추수 때에는 쾌활하나, 겨울 동안은 황량한 대지 그대로 잠잠히 그저 슬퍼 보이기만 한다. 어째서 그처럼 서글퍼 보이는 걸까? 고대인이 그처럼 의아히 여겼을 때 이야기는 생겨났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디스 해밀턴
세계적인 신화 스토리텔러이자 교육자, 작가인 이디스 해밀턴은 1867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미국인 부모 밑에 태어나 미국 인디애나주 포트웨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는 해밀턴이 일곱 살이 되던 해부터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가르쳤다. 1884년 코네티컷주 파밍턴에 있는 미스 포터스 스쿨을 졸업하고, 1886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브린모어 대학교에 입학해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전공하며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893년 미시간 대학교에 들어가 의학을 공부했고, 장학생으로 독일로 건너가 뮌헨 대학교에 입학했는데, 그 학교에 들어온 최초의 여학생이었다. 이후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도 병리학을 공부했다.1896년 미국으로 돌아온 해밀턴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브린모어 예비학교의 교장직을 시작해 26년 동안 매년 약 400명의 학생을 지도했다. 1922년 교장직에서 은퇴한 뒤 그리스 희곡에 관한 학술 논문을 집필해 출간하기 시작했다. 63세인 1930년에 고대 그리스와 현대 세계의 유사점을 비교 분석한 『그리스의 방식』을 출간했는데,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고 대중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1932년에 출간한 『로마의 방식』도 큰 사랑을 받았다. 뒤이어 『이스라엘의 선지자들』(1936), 『진리의 증인: 그리스도와 그의 해석자들』(1949), 아이스킬로스와 에우리피데스의 번역본인 『세 편의 그리스 희곡』(1937), 『그리스 문학의 위대한 시대』(1943), 『신의 대변인』(1949), 『그리스의 반향』(1957) 등을 출간했다.1957년 90세의 나이에 그리스로 건너가 아테네 명예시민이 되었고, 자신이 번역한 그리스 희곡의 연극 공연을 아크로폴리스 앞에서 직접 관람하기도 했다. 고향에서도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회원으로서 그 권위를 인정받았으며, 수많은 명예 학위와 상을 받았다. 1963년 5월 31일 워싱턴 D.C.에서 9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목차
올림포스에 모이는 신들
대지에 뿌리박은 신앙
세계의 창조와 인간의 탄생
거인과 처녀의 이야기
꽃에 감추어진 비극
황금 양피를 찾아서
페르세우스와 메두사의 머리
위대한 영웅 헤라클레스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
여걸 아탈란테
트로이 전쟁
오디세우스의 대항해
로마의 시조 아이네이아스
신과 인간의 이야기
작품 해설
이디스 해밀턴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