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땅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은 그림책입니다. 땅콩의 생태 지식을 배우고, 땅콩 버터를 비롯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얼마나 다양하게 쓰이는지 알게 됩니다. 콩은 견과류가 아닌 콩과식물로 땅 밑에서 열매가 맺습니다. 땅속줄기의 일부인 감자나 땅속뿌리의 일부인 당근과는 어떻게 다른지도 알 수 있습니다. 땅콩을 수확하는 과정, 전 세계에서 얼마나 생산되는지 등 땅콩이 인류와 함께 해 온 역사가 쉽고 재미있게 펼쳐져 있습니다.
출판사 리뷰
개미와 꿀벌, 땅콩의 역사와 생태를 충실하게 담아낸 백과사전!
《개미의 일생과 역사》《꿀벌의 일생과 역사》와《땅콩의 일생과 역사》는 인간보다 오랫동안 지구에서 살아온 개미와 꿀벌, 땅콩의 역사와 생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쓰임새까지 폭넓게 다루는 정보그림책 시리즈이다.
개미와 꿀벌, 그리고 땅콩은 서로 다른 종이지만, 그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지 않고 따르면서, 인간과 자연계에 유익한 친환경적 존재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꿀벌의 침을 무서워하면서도 달콤한 꿀을 원했기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듯 꿀벌을 키워 꿀을 얻으려고 했고, 더 많은 꿀을 얻기 위해 산업으로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꿀은 필요할 때마다 인위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게 아니라, 꿀벌과 식물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얻게 되는 결과물이다. 꿀벌은 식물 간의 꽃가루받이를 해주면서 동시에 식물로부터 양분을 얻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땅콩도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그 어떤 농작물보다 쓰임새가 많아, 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연의 선물이다. 콩과식물인 땅콩은 비가 적당히 내리는 모래땅에 뿌리를 내린 뒤 뿌리혹에 사는 작은 박테리아들의 도움을 받아 풍부한 영양이 든 콩을 키워낸다. 콩 꼬투리 안에 든 2, 3개의 땅콩에는 단백질과 지방, 비타민B가 들어 있어서 전 세계인들이 즐겨 먹는 간식거리이지만, 짜서 기름으로 쓰거나 비누와 폭탄 같은 물건도 만들 수 있는 재료가 되기도 한다. 이 책을 통해 땅콩을 이용하여 얼마나 많은 것들을 만들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미는 작은 몸집에도 불구하고 공룡이 살던 1억 년 전부터 극지방만 빼고 어디서든지 살아가면서 해충을 잡아먹거나 죽은 동물을 분해하여, 생태계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각 권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개미의 일생과 역사》은 개미의 형태와 일생만을 설명하는 정보그림책들과 달리, 개미의 일생부터 개미가 이루는 사회, 그리고 그 사회를 이루는 개미들의 역할과 지위까지 자세히 다루고 있다. 더 나아가 개미끼리 의사소통하는 방법, 먹이를 구하는 방법, 자연의 질서에 따르면서 현명하게 자연을 이용하는 방법, 1년 동안 개미가 생활하는 모습을 유쾌한 그림과 함께 보여준다. 또한 개미의 신체를 이루고 있는 각 기관들의 이름과 기능을 빠짐없이 알려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살고 있는 개미들의 종류와 모습도 수록되어 있다.
작가 소개
저자 : 찰스 미쿠치(Charles Micucci)
어린이 책 작가이며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작품으로는『꿀벌의 일생과 역사』『개미의 일생과 역사』가 있습니다. 뉴욕에 살고 있습니다.
역자 : 연진희
1972년 울산에서 태어났습니다.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공부했습니다. 클래식 음악잡지『그라모폰』을 비롯하여 여러 잡지에서 번역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옮긴 책으로는『아버지와 나』『안녕, 난 개미야』『안녕, 난 개구리야』『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우리 삼촌은 앤디 워홀』등이 있습니다. 만화를 동화로 고쳐 지은 책『카이참비』와『꼬꼬댁』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감수 : 김승태
곤충학과 거미학을 공부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곤충 전문가입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곤충생태학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많은 어린이 책을 기획하고 썼습니다. 지은 책으로『열려라! 거미나라』『거미의 세계』등이 있습니다.
목차
땅콩의 고향
인기 많은 땅콩의 특징
신비한 식물, 땅콩
땅콩은 어떻게 자랄까요
땅콩을 거둬들이는 과정
땅콩의 왕국
땅콩으로 만들 수 있는 것들
땅콩에서 땅콩 버터가 되기까지
땅콩 버터의 3,000년 역사
땅콩을 기른 최초의 농부들
바다를 건너간 땅콩
땅콩의 마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