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나라에 문화유산 답사 열풍을 일으켰던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어린이 만화로 엮은 책으로, 만화가 박재동 선생님의 기획과 감수를 거쳤다.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가슴으로 느낄 수 있도록 모든 장면을 사실적으로 표현, 문화유산 현장을 실제로 답사하는 듯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 문화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화재의 배경이 되는 문화 지식과 역사 등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불교,유교,민속과 관련된 역사와 일화, 지식을 추가해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재를 쉽고 흥미롭게 알 수 있도록 했다.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유산에 자부심을 갖게 하고 문화재에 관련된 역사 지식을 쌓고 문화재를 보는 안목을 키우는 데에도 좋을 학습 만화다.
출판사 리뷰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만화로 만난다!”
아는 만큼 보이는 우리 문화재
‘우리나라 전 국토가 박물관’, ‘아는 만큼 보인다’… 등의 명언을 남기며 우리 문화재에 전 국민적 관심과 사랑을 불러일으킨 유홍준 교수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어린이가 볼 수 있는 만화로 엮었습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전문가들의 일로만 생각하던 우리 문화재 답사를 보통 사람들도 즐길 수 있게 한 최초의 책이자, 지금까지 수백만 독자의 사랑을 받아 온 독보적인 명저입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문화유산 답사의 열풍을 일으켰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이러한 원작이 박재동 선생님의 기획과 감수, 김형배 선생님의 심혈을 기울인 작업을 거쳐 <만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유산에 자부심을 갖게 합니다. 또한 문화재에 관련된 역사 지식을 쌓고 문화재를 보는 안목을 키우는 데에도 더없이 좋을 것입니다.
눈으로 보고 가슴으로 느끼는 국토 박물관
<만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우리나라 만화계를 이끌어 온 중견 만화가인 김형배 선생님의 땀과 정성이 깃든 작품입니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 곳곳에 자리한 문화재의 진면목을 실물처럼 생생하게 볼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가슴으로 느낄 수 있도록 모든 장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책을 읽는 어린이 독자들은 문화유산 현장을 실제로 답사하는 듯한 즐거움을 누릴 것입니다.
우리 문화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화재의 배경이 되는 문화 지식과 역사 등도 알아야 합니다. <만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불교,유교,민속과 관련된 역사와 일화, 지식을 추가해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재를 쉽고 흥미롭게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만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시리즈는 유홍준 교수님의<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경주, 전라도, 충청도 등 각 지역별로 나누어 총 7권으로 발간할 예정입니다.
▣ 이 책의 특징
1. 문화유산의 길잡이, 유홍준 교수의 명쾌한 해설
2. 중견 만화가, 김형배의 사실적인 문화재 묘사
3. 불교,유교,민속 문화재와 관련된 역사와 일화 추가
4. 지방마다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별도로 수록
작가 소개
저자 : 유홍준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개설했으며,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문화재청장을 역임했다.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석좌교수로 있으며, 가재울미술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저서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8, 일본편 1~4), 평론집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미술사 저술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1·2) 『완당평전』(1~3)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3) 『석농화원』(공역) 『안목』 등이 있다.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저작상(1998),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목차
1장 사라진 자료
우리 땅 우리 사람 1 / 답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2장 한탄강이 품은 명승고적
한탄강과 명성산·삼부연·고석정·도피안사·궁예궁터
우리 땅 우리 사람 2 / 통일을 꿈꾸는 미래의 땅 철원
3장 낙산사의 영광과 상처
동해 낙산사!·낙산사 창건 설화·원효대사·의상과 원효·낙산사의 두 보물
우리 땅 우리 사람 3 /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세시 풍속
4장 관동지방 폐사지
답사의 급수·진전사지 삼층석탑·선종의 역사·도의선사·진전사지 부도
우리 땅 우리 사람 4 / 옛 사찰의 흔적, 폐사지
5장 ·메밀꽃 필 무렵·의 고향
강원도 금바우·이효석·메밀꽃 필 무렵
우리 땅 우리 사람 5 / 고도 700미터의 행복한 마을, 평창
6장 아리랑 고개를 넘고 넘어
정선 비행기재·아우라지강·정선 아리랑의 유래·사북·정암사·자장율사
우리 땅 우리 사람 6 / 강을 따라 전해지는 떼꾼들의 삶
답사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