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정만진
대구시 교육위원, 역사진흥원 초대 이사장, 대구한의대 문화콘텐츠학부 외래교수, 대구외고 교사를 역임했다.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전 10권)> <김유신과 함께 떠나는 삼국여행> <대구 여행> 등의 역사여행 안내서와 <딸아, 울지 마라> <백령도> <기적의 배 12척> 등의 장편소설을 썼다. ‘국경’ 등 개인 사진전도 10여 회 열었다.
조선 후기-1945년 약사 311
독립운동사 연표 343
01. 일제 동굴 조선인을 강제 동원해서 판 10기의 군사 동굴 11
02. 심검당 사명대사 유적지에 깃든 학승들의 독립정신 16
03. 팔공산 산남의진 이끌고 왜적과 싸운 ‘대한광복회’ 우재룡 26
04. 여봉산 대구 유일의 마을 단위 독립만세 운동 장소 38
05. 채충식 집터 사회주의자는 독립운동가로 인정 못한다? 49
06. 손양윤 생가터 18년을 감옥에서 보낸 독립지사의 생가터 53
07. 구찬회 생가터 최연소 신민회 회원의 애달픈 20세 순국 60
08. 침산 대구읍성을 부순 ‘이등박문의 양자’ 박중양 64
09. 채기중 순국 기념비 대한광복회 경상도 지부장 69
10. 장윤덕 기념비 이토 암살 계획 실패 후 의병 투쟁 중 순국 70
11. 신암선열공원 우리나라 유일의 독립운동가 전용 국립묘지 76
12. 금전 고택 임시정부 경북 지역 군자금 모집 책임자 최종응 100
13∼14. 안동농림 학생 의거지, ‘위안부’ 강제 수용소 추정지 106
15∼16. 조양회관, 이경희 공적비 한적한 곳에 앉아 있네 107
17. 우강헌 미국에서 독립 운동을 한 광문회 회원 118
18. 서상돈 묘소 너무나 초라한 국채보상운동가의 무덤 123
19. 수기임태랑 묘소 ‘빼앗긴 들’에 남은 ‘개척 농민’의 무덤 126
20∼24. 가창면 독립운동 유적 동맹휴학, 파리장서, 소작쟁의 144
25. 대구형무소 터 수많은 독립투사들이 순국한 핏빛 유허 153
26. 다혁당 투쟁지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의 독립투쟁 유적 166
27.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터 동맹휴학으로 일제에 맞서다 178
28. 태극단 투쟁지 대구상업학교 학생들의 젊은 의열 180
29. 이상호 생가터 고문 후유증으로 타계한 태극단 단장 180
30. 김상길 생가터 태극단 주도자의 한 사람, 사라진 생가 180
31. 서상교 생가터 태극단 활동으로 인천소년형무소 수감 180
32. 이종암 집터 대구에 의열단 유적 있다는 말, 처음 듣네 187
33. 이육사 집터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을 기다린 민족 시인 194
34. 남산교회 예배당 벽에 독립지사들의 얼굴을 새겨둔 교회 199
35. 보현사 동화사 청년 승려들이 태극기를 제작한 곳 205
36. 남문밖시장 서문시장에 이은 2차, 3차 만세운동지 206
37. 김진만 집터 광복회 단원이 되어 무장 투쟁에 앞장서다 209
38. 최제우 유적 ‘사람이 곧 하늘’이라고 목청껏 외쳤지만 211
39. 진골목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의 국채보상운동 활동지 212
40. 교남YMCA 대구3·8만세운동 주도 인물들의 기독 단체 214
41. 서상한 생가터 영친왕 결혼식에 폭탄 투척 계획 220
42. 허무당 선언 터 암살 등 무력 투쟁을 독려하는 유인물 222
43. 이상화 집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민족시인 225
44. 최해청 집터 우리나라 최초의 야간 대학을 설립한 교육자 227
45. 서상돈 집터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기부 운동 228
46. 이상정 고택 만주를 누빈 장군, 부인은 여류 비행사 229
47. 3 · 1운동길 90계단 만세운동 학생들이 이동한 독립의 길 231
48. 신명여고 3 · 1운동 기념탑 10대 여학생들의 “독립만세!” 231
49. 블레어 선교사 주택 독립운동의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 231
50. 계성학교 대구3 · 8만세운동의 중심 232
51. 3 · 8독립만세운동 시발지 서문시장은 본래 이곳에 있었다 237
52. 이상화 생가터 민족 저항 시인의 초라한 생가 239
53∼58. 달성 대한광복회와 ㄱ당이 태어난 독립운동의 성지 241
54. 서동균 비 55. 상화 시비 56. 이상룡 비 57. 허위 비 58. 신사 터
59. 순종 동상 망국의 무기력한 왕을 동상 세워 기념 254
60. 조양회관 터 8·15를 가장 먼저 맞이한 사람들 254
61. 광문사 터 국채보상운동 발원지 256
62. 우현서루 터 민족교육기관 형태의 개인 도서관 258
63. 북성로 이 길을 걷는 것이 ‘다크 투어’인가? 260
64. 이일우 고택 우현서루를 운영한 이상화의 큰아버지 264
65. 이종암 모금지 대구은행 직원, 의열단 부단장이 되다 265
66. 대구 경찰서 터 일제의 본거지에 자리잡은 중부 경찰서 266
67. 종로 초등학교 교문 안 담장에 독립운동 이야기가 가득! 270
68. 희움 박물관 강제 ‘위안부’의 역사가 증언하는 일제 271
69. 김석형 집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함흥 형무소 투옥 274
70. 이육사 문학관 내 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279
71. 북후정 터 국채보상운동의 첫 공식 출범지 279
72. 장진홍 의사 유적지 우리의 진면목을 세계에 떨친 의거 280
73. 동척 대구지점 터 우리나라 경제 침탈의 본거지 286
74.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채보상공원 민중의 나라사랑 286
75. 일본 보병 80연대 본영 터 예나 지금이나 외국군 주둔지 286
76∼78. 임용상 동상, 이시영 순국 기념탑, 송두환 흉상 287
79. 안일사 조선국권회복단이 결성된 앞산의 암자 290
80∼83. 윤상태 집 터, 우병기 비, 우하교 비, 파리장서비 292
84. 태극단 기념탑 학교는 옮겨졌지만 투쟁 정신은 영원하리 294
85∼90. 두류공원 인물동산 독립투사들을 기려 조성된 동산 295
91. 서상일 동상 조양회관을 건립한 대구의 인물 296
92. 김병욱 송덕비 걱정 없는 세상을 꿈꾼 사범학교 학생들 297
93. 이상화 이상정 묘소 두 형제가 나란히 누워있는 곳 298
94. 정학이 동상 21세에 일본에서 옥사한 독립지사 299
95. 문영박 유적지 임시정부로부터 감사장을 받은 후원자 301
96. 이현수 부자 생가터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3부자의 이산 303
97. 문석봉 집터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 최초의 의병장 305
98. 비슬산 조기홍 지사가 무기를 숨겨두고 기다린 곳 307
99. 삼가헌 순종 장례일을 맞아 기획한 6 10만세운동 308
100. 이윤재 묘터 조선어학회와 허무당 선언 사건 309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