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좋은 관상 나쁜 관상 따로 없다! 내 얼굴 형상에 맞는 삶의 모습으로 살아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인생 가치와 복덕의 크기가 달라질 뿐이다. 얼굴의 복덕은 마음에서 비롯되고, 마음은 점·주름·털 등의 모양새로 인생 여정을 알려준다.
얼굴 형상의 부조화를 현대적 관점에서 직업적 선택을 통한 발현을 도모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여성의 상을 토대로 관상을 살피는 관점을 살피는 계기로 삼는다. 점·주름·털 등은 살아가면서 생기거나 변화하는 모양새(상모)로 인생여정을 알려주고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크고 빛나는 점은 해당 부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가지런한 주름은 복록의 흐름을 원만하게 하고, 부드러운 털은 복록의 가치를 크게 한다.
출판사 리뷰
도화음란성 = 섹시어필 = 인기사회성 = 종교철학성
좋은 관상 나쁜 관상 따로 없다! 내 얼굴 형상에 맞는 삶의 모습으로 살아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인생 가치와 복덕의 크기가 달라질 뿐이다. 얼굴의 복덕은 마음에서 비롯되고, 마음은 점·주름·털 등의 모양새로 인생 여정을 알려준다. 이 책에서 얼굴 형상의 부조화를 현대적 관점에서 직업적 선택을 통한 발현을 도모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여성의 상을 토대로 관상을 살피는 관점을 살피는 계기로 삼는다.
점·주름·털 등은 살아가면서 생기거나 변화하는 모양새(상모)로 인생여정을 알려주고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크고 빛나는 점은 해당 부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가지런한 주름은 복록의 흐름을 원만하게 하고, 부드러운 털은 복록의 가치를 크게 한다.
관상의 주요관점은 얼굴형상의 균형·조화에 있는데, 점·주름·털은 균형·조화를 깨뜨리는 요소가 된다. 얼굴 형모(形貌)가 균형·조화를 잃으면 도화·음란성을 발동시키고, 도화·음란성은 인기·사회성을 발현시킨다. 현대사회에서 성공여부는 인기·사회성에 기인하고, 인기·사회성은 도화·음란성에서 나온다. 도화·음란성 또는 인기·사회성의 발현은 직업적 선택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된다. 이것이 고대의 관상법칙을 현대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이유이다.
고대의 관상기법은 남자 특히 관료를 위주로 하여 전개·발전해왔다. 고대의 관법을 현대인의 삶에 그대로 반영하여 관상을 살피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특히 부부관계에서는 3:7 정도로 부인의 상이 우세하고 가정의 부귀와 남편의 성공을 지배한다. 그래서 여인은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여자의 변신은 무죄라는 말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가꾸지 않는 여인은 유죄이다.
얼굴에 크고 선명한 점이 1~2개 있으면 자신을 드러내고 인기·사회성을 위주로 하거나 자신만의 특별한 능력을 발휘하는 직업성으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좋다. 벼슬보다 재물활동을 위주로 하는 직업이 좋고, 월급 형태보다는 자유직업인이 좋으며, 예술·예능 계통에 어울린다. 검사보다는 변호사가 좋고, 초등학교 교사보다는 대학 교수가 좋고, 선생보다는 강사가 좋다.
볼 점, 보조개, 볼보조개의 공통점은 인기와 재물을 위주로 하는 직업에서 발달하지만 벼슬·재물의 성취가 지나치면 배우자·자식인연을 약하게 만든다. 어떤 일을 하든지 덕을 베푸는 마음가짐이 중요하고, 더불어 덕행을 생활화해야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름은 ‘근심·걱정’을 의미하고 ‘사건·사고’를 뜻한다. 주름이 많은 사람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부모·배우자·자식 등으로 인한 근심·걱정이 있거나 근심·걱정을 자초하여 사는 경향이 있다. 사건·사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애정적인 측면에서는 주름의 숫자만큼 바람기가 있고 외도하기도 한다. 주름의 수(數)만큼 애환이 있고, 주름의 깊이만큼 애환의 정도가 크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윤훈근
경남 진주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진유(盡洧)이고, 법명은 경공(憬空)이다.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사주.풍수.관상.점성학 등)과 기학(氣學)을 전공하여 철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동양철학 일반에 대한 기본을 익힘으로써 동양술수학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고 해석에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석사학위논문으로 「合沖刑害破가 사주분석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박사학위논문으로 「相學의 도교수련적 접근」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얼굴지도로 인생을 여행하다』 · 『19이상만 보는 관상』 · 『귀눈입코』 · 『기상명리』 · 『합충형파해 강론』 등이 있다. 한전 등 기업체 특강과 순천향대학교 인제대학교 등 평생교육원과 자치단체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현재는 경남대학교 원광대학교 등에서 사주, 명리, 관상, 작명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대승종 교육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특히 사주와 관상을 접목한 기상명리(氣相命理)를 창안하여 상표출원등록(제2017-003073호)을 하여 ‘명리상담사’ 민간자격증을 운영(사주.관상.점성.작명 등)하고 있으며, 천지(天地)의 기운을 통한 작명법을 고안하여 실전에 사용하고 있다.
목차
《점點》 점·반점·보조개
이마의 점/ 천창의 점/ 인당의 점/ 눈썹의 점/ 눈두덩의 점/ 눈꼬리의 점/ 와잠·누당의 점/ 눈동자의 점/ 산근 점/ 콧대·준두의 점/ 콧방울 점/ 관골의 점/ 법령의 점/ 인중의 점/ 식록의 점/ 입술 점/ 입꼬리 점/ 승장 점/ 혀의 점/ 볼(뺨) 점/ 보조개/ 턱 점/ 귀 점/ 목 점/ 몸 안의 점
《주름》 추皺&문紋
이마의 주름/ 인당의 주름/ 눈꼬리 주름/ 쌍꺼풀·홑꺼풀/ 눈 밑 주름/ 산근 주름/ 콧등 주름/ 준두·콧방울의 주름/ 관골 주름/ 인중/ 식록의 주름/ 입술 주름/ 입꼬리 주름/ 승장 주름/ 법령/ 혀 주름/ 턱 주름/ 목 주름/ 귀 주름/ 윤곽
《털》 발·빈·자·수·염·호
머리털/ 눈썹/ 구레나룻/ 콧수염/ 귀밑 수염/ 승장 수염/ 턱 수염/ 코털과 귀털/ 음모/ 몸 안의 털
《균형과 조화》
오성의 의미/ 오행의 생극관계/ 이마-턱의 조응/ 좌우 귀의 상응/ 육요의 음양 조화
《도화·음란성》
눈의 음란성/ 입의 음란성/ 남녀의 관점/ 눈빛과 음성의 발현
《여인상》
남편:부인=3:7/ 여인상의 관점 포인트/ 부드러움/ 살·피부·머리털/ 여인상에서 남편의 모습/ 여인의 이마·인당/ 여인의 코·관골/ 여인의 법령/ 여성성(입·인중)/ 여인의 치아와 인중/ 여인의 눈·눈썹/ 좋지 않은 여인상/ 음란지상/ 박복한 여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