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고종과 메이지  이미지

고종과 메이지
다큐멘터리 19세기 韓日의 정치
휴먼필드 | 부모님 | 2019.09.25
  • 정가
  • 13,500원
  • 판매가
  • 12,150원 (10% 할인)
  • S포인트
  • 670P (5% 적립)
  • 상세정보
  • 22.4x15.2 | 0.426Kg | 224p
  • ISBN
  • 979119551108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역사의 변곡점에서 고종과 메이지는 어떤 차이를 보였을까? SBS 홍콩 특파원, 베이징 특파원, 논설위원을 역임한 저자는 120년 전 조선과 일본의 정치를 비교하면서 지난 역사를 반면교사 삼아 근래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한일 역사논쟁과 경제전쟁의 해법을 찾는다.

저자는 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운명을 짊어지고 있던 고종과 메이지의 통치력뿐만 아니라 조선의 대원군, 명성황후, 김옥균, 김홍집, 그리고 일본의 요시다 쇼인, 사카모토 료마, 소에지마 다네오미, 이토 히로부미 등 당대 양국 정치인들의 면면과 국내외 정치 무대에서의 비전과 활약상을 비교해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120년 전 고종과 메이지가 통치하던 시대의 국제 정세와 오늘날 중국과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 틈에서 일본과 경쟁하며 국가의 존망을 다투는 현실이 놀랍도록 닮아있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이다.

  출판사 리뷰

닮은 꼴 120년 전 한국과 일본― 과거를 복기하며 오늘의 해법을 찾는다!

역사의 변곡점에서 고종과 메이지는 어떤 차이를 보였을까? SBS 홍콩 특파원, 베이징 특파원, 논설위원을 역임한 저자는 120년 전 조선과 일본의 정치를 비교하면서 지난 역사를 반면교사 삼아 근래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한일 역사논쟁과 경제전쟁의 해법을 찾는다.
징용문제에 관한 한국 대법원판결과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 한국의 지소미아 연장 거부, 독도 영유권 문제 등 양국의 ‘전쟁’은 한 치 앞을 예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저자는, “일본이 보복성 반도체 부품 수출규제를 하자 한국은 분노하며 반일정서로 맞서고 있다. 사드(THAAD) 배치로 중국이 경제 보복을 가해왔을 때와는 사뭇 다른 결기를 보인다. 19세기나 지금이나 우리 속에는 여전히 중국 사대(事大)와 일본 하대(下待)의 경향성이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한국 사회는 자중지란에 빠졌다. 아베 일본 총리의 ‘한국 때리기’에는 모두 반발하면서도 공감과 질책이 혼재한다. ‘일본을 미워하는 부류’와 ‘정부를 못 미더워하는 부류’가 적전분열을 보인다.”며, “사익이나 진영논리보다 국익을 먼저 생각하는 정치인, 명분보다 실리를 살피는 정치, 그리고 국민의 마음을 얻는 진솔하고 공정한 리더십이 우리 사회와 국가의 희망”임을 역설한다.

나라의 운명을 바꾼 치열한 국가 경영의 파노라마

이른바 4차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총성 없는 전쟁이 전개되고 있는 21세기 국제 정치 무대의 새로운 물결에 대항하여 지속 번영을 위한 국가 경영 해법을 찾는 데 있어서 왜 고종과 메이지 시대인가?

“고종과 메이지. 19세기 한일 양국의 운명을 짊어졌던 두 인물은 후손들에게 각각 한쪽은 기억하기 싫은 이름으로, 다른 한쪽은 자랑스러운 이름으로 남았다. 한쪽은 무능과 탐욕 탓에 왕관의 명예를 더럽혔고, 다른 쪽은 절제와 사명감으로 왕관을 빛냈다. 그 차이가 지금껏 이어진다.” ―본문 중에서.

저자는 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운명을 짊어지고 있던 고종과 메이지의 통치력뿐만 아니라 조선의 대원군 명성황후 김옥균 김홍집, 그리고 일본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소에지마 다네오미(副島種臣)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 당대 양국 정치인들의 면면과 국내외 정치 무대에서의 비전과 활약상을 비교해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120년 전 고종과 메이지가 통치하던 시대의 국제 정세와 오늘날 중국과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 틈에서 일본과 경쟁하며 국가의 존망을 다투는 현실이 놀랍도록 닮아있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이다.




19세기는 전 세계에 걸쳐 변화의 바람이 거세게 불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두 단어로 규정된다. ‘산업화’와 ‘제국주의’가 그것이다. (중략) 청에 종속돼 있던 조선은 여전히 청에 대한 사대주의로 일관하며 나라 바깥의 사정에 무지한 채 국가 존망의 기로가 닥쳐오는 데도 내분만 일삼고 있었다. 일본은 19세기 중엽 미국에 개항 당한 후 짧게 혼란기를 거치며 빠른 속도로 산업화에 편승했다.
일본의 개항 이후 비슷한 상태에 있던 조선과 일본 양국은 불과 20년 만에 현격한 국력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 20년 동안 조선과 일본 두 나라에는 어떤 정치가 있었을까? 그 차이는 고종과 메이지 천황의 리더십 그리고 한일 양국의 국민성 차이에서 비롯됐을 것이 자명하다.
19세기가 끝나갈 무렵인 1894년 3월 동서양 각국의 정보 수집과 막후협상이 비밀리에 이루어지던 국제도시 상하이에서 우리 역사의 한 시기를 일단락 짓는 일대 사건이 발생한다. 상하이의 미국 조계에 있던 한 여관에서 총성이 울려 퍼진 것이다.
1894년 3월 28일,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이 상하이 동화양행 여관에서 자객 홍종우가 쏜 세 발의 총을 맞고 절명한 사건이다. 그 총성은 개혁을 이루려 했던 한 풍운아의 종말뿐 아니라 조선의 붕괴를 알리는 신호탄이 된다.

19세기 한국과 일본의 정치 차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본 정치인들이 국익國益을 도모한 반면, 조선 위정자들은 사익私益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국익 도모는 노선이 다르더라도 서로 손을 잡을 여지를 남기지만, 사익 추구는 개인적 이해관계가 작용해 서로를 적대시하게 만든다.
이 차이가 한쪽은 부국강병에 이르게 하고, 다른 쪽은 멸망으로 내몰았다.
19세기 말 조선이 경험한 시간은 안개 속에서 바늘을 찾는 격이었다. 바깥 세계의 사정에 대한 정보도, 이해도 모두 부족했다. 아무도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우물 안 개구리 신세였던 그때의 정치인들은 국가의 운명은 외면한 채 오직 권력 쟁탈에만 집중했다. 엉망인 내부를 개혁하지 않은 채 외세를 마구 끌어들여 멸망을 자초했다.
(중략)
정저지와(井底之蛙), 사면초가(四面楚歌), 속수무책(束手無策), 고립무원(孤立無援), 설상가상(雪上加霜)… 19세기 말 조선의 상황을 대변하던 표현들이어서 백 년 전과 지금이 놀랍도록 닮은 상황이라는 사실에 전율한다.
그때와 달리 지금은 바깥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나 이해가 차고 넘치지만, 여전히 한국호의 조타를 맡아 격랑을 피하고 헤쳐나가야 할 정치가 그때와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게 문제이다. 한국 정치는 여전히 급변하는 외부 흐름을 무시한 채 안의 논리에만 집착하려 든다. 막을 수 있는 위기를 경시하다 막상 눈앞에 닥치면 감당을 못해 대국에 중재를 부탁하고 국제사회에 호소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정치의 힘으로 위기를 예방하고, 국난을 맞더라도 내부를 단결시키는 정치력을 발휘해 대처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못을 시인하고 사과하는 자세가 선행돼야 한다.
(중략)
지금 국민은 19세기 말 조선 백성들과 다르다. 그때는 신민臣民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시민市民의 위치에 있다.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며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줄 안다. 정치는 국민을 다루거나 그 위에 군림하려 들지 말고 솔직하게 다가가야 한다. 19세기 말 조선은 국왕을 위시한 권력층이 사리사욕을 채우느라 국가와 국민을 뒷전에 두면서 망국을 초래했다. 미사여구가 아니라 믿음이 가는 정책으로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이 최선의 정치라는 게 조선이 우리에게 남긴 교훈이다. 국민이 지지하는 정부는 외세도 함부로 하지 못하는 법인 까닭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안상윤
1954년 경남 밀양 산가톨릭대 행정대학원 졸업SBS 홍콩 특파원, 베이징 특파원, 논설위원 역임청운대 중국학과 외래교수 역임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목차

서문

프롤로그
고종과 메이지
메이지의 탄생
고종 탄생
흥선대원군의 섭정
대원군의 쇄국
나가사키
흑선
요시다 쇼인
‘빈사의 사자’ 청 제국
메이지 시대의 개막
성리학의 조선과 양명학의 일본
메이지의 정치
이와쿠라 사절단
소에지마 다네오미
조선의 개항
젊은 그들
조선의 난맥상
임오군란
갑신정변
데카브리스트의 난과 이르쿠츠크
동학농민봉기
을미사변
아관파천
대한제국
대한제국의 해체
을사늑약
한일합병
에필로그

발문/
국난을 극복하는 희망의 빛_ 김광웅

부록/
― 사진/그림 목록
― 주요사건/인물 연표
―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