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큐큐퀴어단편선은 일 년에 한 권 국내 작가들과 함께 엮어 내는 한국 퀴어 문학 시리즈다. 2018년 고전을 퀴어 서사로 풀어 낸 <사랑을 멈추지 말아요>, 2019년 다양한 이력의 작가들이 참여해 문학의 장르적 재미와 고유한 색채를 느낄 수 있는 <인생은 언제나 무너지기 일보 직전>을 출간했다. 2020년 <언니밖에 없네>는 '큐큐퀴어단편선'의 세 번째 책으로 한국문학의 현재이자 미래인 김지연, 정소연, 정세랑, 조우리, 조해진, 천희란, 한정현 작가가 참여했다.
여성 작가로 구성된 이번 작품집에는 각자의 삶을 지탱하며 서로의 곁을 살피는 인물들이 그려내는 따뜻하고 사려 깊은 일곱 편의 이야기가 수록됐다. 가족이 되고 싶은 퀴어 커플, 노년기의 비혼 여성의 삶, 인터섹스가 보편적인 젠더가 된 세상 등 현재의 한국 사회와 문학에서 꼭 필요한 여성, 퀴어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출판사 리뷰
김지연, 정세랑, 정소연, 조우리, 조해진, 천희란, 한정현
믿고 읽는 언니들의 불행 따윈 없는 퓨처 팝픽션
“아직 오지 않은 세계에 대해 쓰면 그 세계가 오는 속도가 조금은 빨라지지 않을까?
실패를 알면서도 나아가는 이야기 속 친구들처럼 끝내는 연결될 수 있으면 좋겠다.
당신과 연결되고 싶다.”
-정세랑
큐큐퀴어단편선은 일 년에 한 권 국내 작가들과 함께 엮어 내는 한국 퀴어 문학 시리즈다. 2018년 고전을 퀴어 서사로 풀어 낸 《사랑을 멈추지 말아요》, 2019년 다양한 이력의 작가들이 참여해 문학의 장르적 재미와 고유한 색채를 느낄 수 있는 《인생은 언제나 무너지기 일보 직전》을 출간했다. 2020년 《언니밖에 없네》는 ‘큐큐퀴어단편선’의 세 번째 책으로 한국문학의 현재이자 미래인 김지연, 정소연, 정세랑, 조우리, 조해진, 천희란, 한정현 작가가 참여했다. 여성 작가로 구성된 이번 작품집에는 각자의 삶을 지탱하며 서로의 곁을 살피는 인물들이 그려내는 따뜻하고 사려 깊은 일곱 편의 이야기가 수록됐다. 가족이 되고 싶은 퀴어 커플, 노년기의 비혼 여성의 삶, 인터섹스가 보편적인 젠더가 된 세상 등 현재의 한국 사회와 문학에서 꼭 필요한 여성, 퀴어의 이야기를 담아냈다.《언니밖에 없네》가 정말 우리의 삶을 불행 따위 없는 미래로 이끌게 될까? 《언니밖에 없네》를 읽는 것만으로 우리가 꿈꾸는 미래가 우리가 발 딛는 오늘이 되진 못할지라도 이 소설들은 용감하고 다정하게 나와 또 다른 나, 나와 당신의 삶을 연결해줄 것이다. 당신과 연결되고 싶다.
“정말 결혼은 안 할 거야?”
가족들은 서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김지연 <사랑하는 일>
“그래도 평생 혼자 사는 건 너무 외로운 일이야. 마음에 맞는 친구라도 찾아서 같이 살아.” 엄마가 다 이해한다는 듯한 표정으로 그렇게 말했기 때문에 결심이 섰다. (...) 실은 1년 사귄 여자친구가 있다고 엄마에게 말했다. 엄마가 내 베스트프렌드라고 알고 있는 대학 동기, 사실은 애인이라고. 여건이 되면 걔랑 같이 살겠다고 쉬지 않고 말했다. (...) 그게 벌써 5년 가까이 된다. 다시 그 이야기를 하게 될 일은 없었다. 엄마는 그날의 대화를 기억 속에서 삭제해버린 듯했다. 그 비슷한 언급을 하는 것조차 피했다. 그건 참 이상한 일이었다. 마음에 맞는 동성 친구와 함께 사는 건 권장할 만한 일이고 동성 애인과 함께 사는 것은 부정해야 하는 일인가.
“나는 떠나지 않는 삶을 상상해본 적이 없어.”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없어도 사랑은 계속될 수 있을까? - 깃발 <정소연>
유나가 하정을 처음 보았던 날. 같은 전차로 퇴근한다는 것을 알고 시간을 맞춰 다니며 지켜보았던 날. 둘이 탄 전차가 마침 고장 났던 날. 하정이 그 전차에서 내리지 않았던 날. 유나가 하정에게 용기 내어 말을 걸었던 날. 함께 퇴근을 시작한 날. 함께 처음 차를 마신 날. 하정이 유나에게 가방을 선물한 날. 가방의 유래를 말해준 날. 소중히 가꾼 작은 박물관 같은 온실을 열어 보여주었던 날. 그 모든 날들에 이미, 유나의 이주는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일이었다. 유나의 세계에서는. 반드시 일어날 일이 아니었던 것은, 사랑에 빠진 것밖에 없었다.
“우리는 그럼 지러 가는 거야?”
이보다 더 퀴어한 SF 전쟁소설이 있을까? - 정세랑 <아미 오브 퀴어>
“드디어 진군이네, 아미 오브 아이에스.”보람이 여행을 떠나는 사람처럼 상쾌해하자 한빛이 뜨악해했다.“야, 아이에스는 안 돼.”“왜?”“너 현대사도 공부 안 했냐? 이미 선점됐어. 최악의 집단에게.”“아, 그럼 아미 오브 퀴어?”“그건 좀 낫지만…… 전부 다 퀴어는 아닐 거야.”
“사랑하는 나의 조카, 혜주에게.”
비혼 퀴어 여성으로서 이보다 멋진 유언을 할 수 있을까? - 조우리 <엘리제를 위하여>
성희에게 유산이랄 게 정말 있기는 한지, 있다고 한들 얼마나 대단한 것일지는 몰라도 지금껏 혜주가 미션을 수행하고 얻은 보상들은 충분히 부족함 없이 가치 있는 것들이었다. 난생처음 바다를 보았고, 그 바다에서 수영을 배웠고, 함께 세종문화회관에 가서 오페라를 보았다. 태권도 학원도, 컴퓨터 학원도, 운전면허 학원도, 모두 성희가 수강료를 내주었다. 지금의 혜주를 이루고 있는 많은 부분들이 성희 덕분에 개발되었다. 그러니 성희의 유산이 알사탕 하나라고 해도, 혜주는 자신에게 이 놀이를 완성시킬 의무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식을 전했는데 아무런 연락이 없으면?” / “그래도 시도해줘.”
퀴어로서의 행복은 다를까? - 조해진 <가장 큰 행복>
몇 년, 혹은 몇십 년이 지난 어느 날, 내 몸의 심상치 않은 변화를 감지하며 그에게 소식을 전할지 말지 고민하게 될 그 순간에 나는 오늘을 후회하며 떠올릴 것인가, 아니면 깊이 안도하며 되새기게 될 것인가. 알 수 없었다. 아무것도 알 수 없었으므로 나는 그에게 확답하지 않았고, 대신 행복했다고, 함께하는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행복했다고 대꾸했다. 그가 웃었다. 아니, 거의 웃는 듯했다. 나는 그가 어떤 감정 상태로 우는 듯 웃는 건지 이해할 수 있었다. 웃고 싶고 울고 싶은 마음이 한데 섞일 수도 있는 거니까, 하나의 마음으로만 한 사람을 겪지는 않을 테니.
“언니는 내가 챙겨야지.”
60대 해옥과 70대 정해의 연대와 사랑 - 천희란 <숨>
그러게 너는 왜 결혼도 안 하고, 애도 안 낳았냐. 여자가 좋아서 그랬지.정희는 그 질문을 기다렸던 것처럼 순영에게 털어놨다. 30여 년 만에 하는 고백이었다.
“여자로 사는 게 너 뭐 쉬운 줄 아냐?”
트렌스젠더 퀴어로 살아가기로 한 전 남자친구를 나는 계속 사랑할 수 있을까?
- 한정현 <나의 아나키스트 여자친구>
나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내가 수호를 놓지 않을 거라 여겼는데 전혀 아니었다. 수호는 여전히 나를 사랑할 수 있었지만 나는 아니었던 거다. 나는 남성을 사랑하는 헤테로 여성이었던 것이다. 수호가 성별을 바꾸었다고 수호가 아닌 사람이 되는 건 아닌데 난 왜 수호를 받아들이지 못할까. 이 두 가지는 끝없이 나를 괴롭혔다.
“정말 결혼은 안 할 거야?”
가족들은 서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김지연 <사랑하는 일>
“그래도 평생 혼자 사는 건 너무 외로운 일이야. 마음에 맞는 친구라도 찾아서 같이 살아.”
엄마가 다 이해한다는 듯한 표정으로 그렇게 말했기 때문에 결심이 섰다. (...) 실은 1년 사귄 여자친구가 있다고 엄마에게 말했다. 엄마가 내 베스트프렌드라고 알고 있는 대학 동기, 사실은 애인이라고. 여건이 되면 걔랑 같이 살겠다고 쉬지 않고 말했다. (...) 그게 벌써 5년 가까이 된다. 다시 그 이야기를 하게 될 일은 없었다. 엄마는 그날의 대화를 기억 속에서 삭제해버린 듯했다. 그 비슷한 언급을 하는 것조차 피했다. 그건 참 이상한 일이었다. 마음에 맞는 동성 친구와 함께 사는 건 권장할 만한 일이고 동성 애인과 함께 사는 것은 부정해야 하는 일인가.
“나는 떠나지 않는 삶을 상상해본 적이 없어.”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없어도 사랑은 계속될 수 있을까? - 깃발 <정소연>
유나가 하정을 처음 보았던 날. 같은 전차로 퇴근한다는 것을 알고 시간을 맞춰 다니며 지켜보았던 날. 둘이 탄 전차가 마침 고장 났던 날. 하정이 그 전차에서 내리지 않았던 날. 유나가 하정에게 용기 내어 말을 걸었던 날. 함께 퇴근을 시작한 날. 함께 처음 차를 마신 날. 하정이 유나에게 가방을 선물한 날. 가방의 유래를 말해준 날. 소중히 가꾼 작은 박물관 같은 온실을 열어 보여주었던 날. 그 모든 날들에 이미, 유나의 이주는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일이었다. 유나의 세계에서는. 반드시 일어날 일이 아니었던 것은, 사랑에 빠진 것밖에 없었다.
“우리는 그럼 지러 가는 거야?”
이보다 더 퀴어한 SF 전쟁소설이 있을까? - 정세랑 <아미 오브 퀴어>
“드디어 진군이네, 아미 오브 아이에스.”
보람이 여행을 떠나는 사람처럼 상쾌해하자 한빛이 뜨악해했다.
“야, 아이에스는 안 돼.”
“왜?”
“너 현대사도 공부 안 했냐? 이미 선점됐어. 최악의 집단에게.”
“아, 그럼 아미 오브 퀴어?”
“그건 좀 낫지만…… 전부 다 퀴어는 아닐 거야.”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소연
2005년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에서 수상하며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는 소설집 《옆집의 영희 씨》와 중편소설 《이사》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어둠의속도》, 《다른 늑대도 있다》, 《허공에서 춤추다》 등이 있다.
지은이 : 조해진
2004년 《문예중앙》에 작품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소설집 『천사들의 도시』 『목요일에 만나요』 『빛의 호위』 장편소설 『한없이 멋진 꿈에』 『로기완을 만났다』 『아무도 보지 못한 숲』 『여름을 지나가다』 『단순한 진심』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젊은작가상, 이효석문학상, 김용익소설문학상, 백신애문학상, 형평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여름을 지나가다』로 제17회 무영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정세랑
2010년 《판타스틱》을 통해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소설집 『옥상에서 만나요』 『목소리를 드릴게요』, 장편소설 『덧니가 보고 싶어』 『지구에서 한아뿐』 『이만큼 가까이』 『피프티 피플』 『보건교사 안은영』 『재인, 재욱, 재훈』『시선으로부터』가 있다.
지은이 : 천희란
2015년 《현대문학》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영의 기원》, 경장편소설 《자동 피아노》가 있다. 2017년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한정현
1985년 출생. 201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줄리아나 도쿄』로 제43회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지연
2018년 문학동네 신인상 수상. 지은 책으로는 장편소설 <빨간 모자>가 있다.
지은이 : 조우리
2011년 제10회 대산대학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경장편소설 『라스트 러브』와 소설집 『내 여자친구와 여자 친구들』이 있다.
목차
사랑하는 일 - 김지연 7
아미 오브 퀴어 - 정세랑 45
깃발 - 정소연 75
엘리제를 위하여 - 조우리 107
가장 큰 행복 - 조해진 143
숨 - 천희란 175
나의 아나키스트 여자친구 - 한정현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