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고려인, 카레이츠  이미지

고려인, 카레이츠
100년을 거슬러 만난 고려인
큐리어스(Qrious) | 부모님 | 2021.08.30
  • 정가
  • 50,000원
  • 판매가
  • 45,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500P (5% 적립)
  • 상세정보
  • 24x18.5 | 0.562Kg | 296p
  • ISBN
  • 979116683129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현재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은 대략 80만 명으로 추정된다. 1937년 강제이주로 러시아 본토와 중앙아시아로 흩어진 고려인을 합친 숫자다. 현재 5세대까지 이르렀다. 김진석 작가는 우즈베키스탄을 시작으로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발트 3국, 러시아 등 11개 국, 30여 개의 도시에서 4000여 명에 가까운 고려인들을 만났다. 그리고 그의 앵글에 동포의 삶과 얼굴을 담았다.

‘길 위의 사진가’ 김진석 작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벨라루스까지 고려인의 이동경로를 뚜벅뚜벅 따라서 오로지 조선의 후손인 고려인들의 일상을 멀지 않은 거리에서 카메라에 담아냈다. 김 작가는 독립운동가의 후손들, 후손들이 만든 언론사의 기자, 선조들이 만든 무용단의 단장과 단원, 가수, 배우, 합창단원, 시장상인, 30~40대 사업가, 광고기획사 직원, 연예기획사 대표, 패션모델, 대학교수, 장교, 건축가, 정치인은 물론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고려인의 얼굴과 삶을 담아내기 위해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었다.

  출판사 리뷰

100년을 거슬러 만난 고려인
“우리는 모두 ‘카레이츠’다. 그것이 바로 고려인이다.”

그의 카메라에 우리 동포의 얼굴을 담다
길 위의 사진가 김진석이 만난 고려인들의 삶과 이야기

“이 취재를 통해 ‘고려인’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을 시작으로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발트 3국, 러시아 등
11개 국, 30여 개의 도시에서 만난 고려인, 카레이츠.
이 사진집은 러시아, 중앙아시아, 그리고 동유럽에 살고 있는 고려인들의 현재 삶에 대한 기록이다.

현재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은 대략 80만 명으로 추정된다. 1937년 강제이주로 러시아 본토와 중앙아시아로 흩어진 고려인을 합친 숫자다. 현재 5세대까지 이르렀다. 김진석 작가는 우즈베키스탄을 시작으로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발트 3국, 러시아 등 11개 국, 30여 개의 도시에서 4000여 명에 가까운 고려인들을 만났다. 그리고 그의 앵글에 동포의 삶과 얼굴을 담았다.

‘길 위의 사진가’ 김진석 작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벨라루스까지 고려인의 이동경로를 뚜벅뚜벅 따라서 오로지 조선의 후손인 고려인들의 일상을 멀지 않은 거리에서 카메라에 담아냈다. 김 작가는 독립운동가의 후손들, 후손들이 만든 언론사의 기자, 선조들이 만든 무용단의 단장과 단원, 가수, 배우, 합창단원, 시장상인, 30~40대 사업가, 광고기획사 직원, 연예기획사 대표, 패션모델, 대학교수, 장교, 건축가, 정치인은 물론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고려인의 얼굴과 삶을 담아내기 위해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었다.
분명, 고려인은 우리의 빈약했던, 그래서 매우 서럽던 시절, 우리 민족의 식민과 저항, 절망과 강제이주, 탄압과 생존을 온몸으로 맞아야 했던, 우리 민족의 역사를 상징한다.
이 책에는 수많은 얼굴이 등장한다. 과거의 어둠을 고스란히 갖고 있는 고려인 1세대, 구전된 기억을 공유하고자 하는 2세대, 그리고 자신의 일상을 당당히 살아내는 오늘날의 고려인들까지, 김 작가는 이들의 활짝 핀 웃음과 어두운 기록, 선명한 햇살과 흑백의 그림자들을 대비시킨다.




1937년 10월 어느 날. 연해주에 살고 있던 우리 민족 약 172,000명은 시커먼 연기를 내뿜고 굉음을 내며 달리는 열차에 아니, 조금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화물칸에 몸을 실어 어디론가 향하고 있었다.
스탈린에 의해 자행된 강제이주가 진행된 것이다.
지금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지에 살고 있는 일명 ‘고려인’의 뿌리는 바로 이 열차에서 시작되었다.
_프롤로그

고려인 1세대. 강제이주의 해인 1937년 이전 출생자를 1세대라고 한다. 현재 80여만 명의 고려인 중에 생존해 있는 1세대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외곽에 위치한 ‘아리랑 요양원’을 방문했다. 이곳 요양원에는 2019년 취재 당시 마흔한 분의 어르신이 계셨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진석
1974년 전북 고창 출생. 월간지 《말》 사진기자로 시작해 <여의도 통신> 편집장을 지냈다. 2008년 제주 올레 공식 사진작가로 활동을 시작. 이후 아프리카, 스페인 카미노, 스위스 몽블랑, 네팔 히말라야 등의 작업물로 ‘길 위의 사진작가’라는 별칭을 얻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으로 근무하며 문재인 대통령 전속 사진을 담당했으며, 이후 중앙아시아, 동유럽, 러시아의 우리 동포(고려인) 취재를 하고 있다. 2017년 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에서 ‘고려인 전시’, 201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서울과 부다페스트의 두 도시 이야기’ 등의 전시회를 열었으며, 저서로는 《걷다 보면》 《라비 드 파리》 등 11권이 있다. 작가 채널페이스북 : www.facebook.com/Kimjs.Photo인스타그램 : photo_kim_jinseok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중앙아시아 Central Asia
우즈베키스탄 Uzbekistan
타지키스탄 Tajikistan
카자흐스탄 Kazakhstan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동유럽 Eastern Europe
조지아 Georgia
아제르바이잔 Azerbaijan
우크라이나 Ukraine
벨라루스 Belarus
에스토니아 Estonia

러시아 Russia
모스크바 Moscow
로스토프나도누 Rostov na Donu
연해주 Primorsky Krai
사할린 Sakhalin

에필로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