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배종석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UIUC)에서 인사 조직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영 철학’과 ‘인적 자원 관리’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기독경영연구원 원장(2010-2015)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 대표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건강한 교회, 이렇게 세운다』(공저, 한국 IVP), 『기독 경영 JUST ABC』(공저), 『기업이란 무엇인가』(공저, 이상 예영), 『인적 자원론』(홍문사)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재남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전에는 City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LG-CNS에서 10년간 근무하면서 정보기술 전략 및 경영혁신, 정보기술 설계 및 개발 업무, 정보기술 아웃소싱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였다.주요 연구 분야는 정보기술 아웃소싱, 지식경영, 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비즈니스 생태계이며, 국내외 저명한 저널에 총 80여 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또한 국내 및 해외 유명 학회에서 다양한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그중 20회 이상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해외에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저명한 저널인 MIS Quarterl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Journal of the AIS 등에서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전세계 정보기술 분야에서 가장 큰 협회인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에서 아시아 대표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도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저널의 편집장을 지냈으며, 다양한 저널과 학회에서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도 정보기술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수행하였으며, POSDATA 자문교수, 한국증권거래소 차세대 시스템 자문교수, 국토개발연구원 자문교수, 한국무역협회 자문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세계인명사전인 Who’s Who에 수년간 등재되었으며, 2016년에는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에서 주관하는 전세계 Top 100 교육자 중의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지은이 : 문정빈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런던정경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 스쿨에서 2007년에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상하이교통대학교를 거쳐 2009년부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재직 중이다. 현재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경영 센터장을 맡고 있다.
지은이 : 이동섭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털사대학교와 서강대학교를 거쳐 2009년부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 중이다. 주된 관심 분야는 동기부여, 리더십, 기업윤리 등이다.
지은이 : 이재혁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호세주립대학교San Jose State University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 중이다.
지은이 : 김대수
서울대학교에서 영어교육 학사학사를 받았다. 그 후 미국 볼링그린주립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와 인디애나대학교-블루밍턴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마ㅤㅋㅔㅌ대학교 부교수 및 SCM 센터장, 한국 생산관리학회와 구매조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대모비스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위원장과 글로벌경영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이 : 박찬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시간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통계학 석사학위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브랜드 자산 측정 분야와 고객 만족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이 : 김우찬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책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KDI국제정책대학원을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재무금융 분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업지배구조이다.
지은이 : 한승수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회계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일리노이대학 회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싱가포르 경영대학을 거쳐 2009년부터 고려대학교에서 국제회계, 재무보고 품질 및 공시,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자 보상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서문
1장 경영(학)에서의 사회적 가치
1. ESG 시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
2. ESG와 ‘사회적 가치’의 대두: 인식, 비판, 그리고 제안
문제에 대한 인식
문제에 대한 비판
(학문에서의 비판 / 현실에서의 비판)
문제에 대한 제안
(도덕 경제로의 회복 / 주주최우선주의에 대한 대안)
3. 포괄적 접근을 위한 네 차원 분석틀
네 차원 분석틀
(경영의 ‘높이’ 차원: 초월성 양상 / 경영의 ‘깊이’ 차원: 내재성 양상 / 경영의 ‘넓이’ 차원: 관계성 양상 / 경영의 ‘길이’ 차원: 역사성 양상)
ESG의 성격 규정
4. 책의 구성과 주장
각 장의 내용
각 장의 내용 종합
5. 경영을 위한 제언
사람 이해의 전환
경영의 성격: 초월적 실재성과 창발성
(초월적 실재성 / 창발성의 구비)
기업의 존재 이유
지속가능한 좋은 공동체를 꿈꾸며
2장 사회적 가치의 철학적 이해
1. ‘사회적 가치’에 대한 철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2. 사회적 가치의 의미
사회란 무엇인가?
(‘사회는 개인(행위)’ 관점 / ‘사회는 집단’ 관점 / ‘사회는 구조와 제도의 총체’ 관점
‘사회는 세계’ 관점 / 구조와 제도의 총체로서의 사회의 특징)
가치란 무엇인가?
(가치의 형이상학적 구분 / 가치 논의의 이슈)
사회적 가치란 무엇인가?
3. 기업에서의 사회적 가치
기업은 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가?
기업은 어떤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가?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와 어떻게 공존하는가?
(일치 모델 / 분리 모델 / 통합 모델)
4. 사회적 가치를 통한 공동선의 추구
3장 사회적 가치: 정의, 측정, 의의
1. 사회적 가치의 정의와 추구 방식
기업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가치란 무엇인가?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기 위한 윤리적 기반
(공리주의 / 칸트의 의무론 / 롤스의 정의론)
각각의 윤리체계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가치의 창조 방법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 가치 / 부정적 외부성의 저감과 긍정적 외부성의 창조
공공재의 사적 공급 / 칸트의 의무론 관점에서 본 사회적 가치 / 롤스의 정의론 관점에서 본 사회적 가치)
2. 사회적 가치와 그 측정에 관한 그간의 연구
사회적 가치의 범위
공유가치창출
기업의 사회적 성과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재무성과의 관계
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기업가치
3.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과제들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개념의 정리
사회적 가치의 측정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가치
4장 기업의 사회적 가치 추구와 리더십
1. 리더십의 의미
2. 리더의 역할과 사회적 가치에 함의를 지닌 관련 문헌 고찰
리더의 역할
사회적 가치와 리더십 관련 선행 연구
(CSR 연구 / 조직 공정성 연구 / 윤리적 리더십 연구)
3. 사회적 가치의 핵심 대상으로서 조직구성원과 일
조직 변화의 수행자이자 대상으로서 조직구성원
일의 성격과 고용
4. 관련 사례
웰스파고 유령계좌 스캔들
쿠팡과 물류업계의 고용과 노동
5. 기업의 사회적 가치 지향을 위한 제언
사회적 목표 지향의 조직정체성화
조직문화와 제도적 뒷받침
일의 성격과 일하는 방식의 재고
6. 다시 출발선에서
5장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경영: ESG 현황 및 글로벌 전략
1. 기업의 지속가능성
현황
사회 전반에 대한 파급력
이해관계자 관점
글로벌 관점
2. 지속가능경영
논의 진행상황
연구 동향
실천방안
3. ESG 경영활동의 평가 방법
한국기업지배구조원 평가 방법
한국표준협회 평가 방법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 방법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지수 평가 방법
4. 글로벌 전략에 대한 시사점
대륙·국가 차원
기업·협의체 차원
투자자 차원
향후 고려사항
6장 지속가능 공급사슬 운영관리와 사회・환경적 가치창출
1. 공급사슬 운영관리와 사회・환경적
가치 및 지속가능성
2. 국내 기업 사례
전자 산업: 삼성전자(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0)
자동차 산업: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지속가능성 보고서, 2020)
통신・정보통신기술 산업: SK텔레콤(SK텔레콤 연간보고서, 2019)
화학 산업: LG화학(LG화학 지속가능성 보고서, 2019)
철강 산업: 포스코(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 2019)
비교 분석
3. 연구 동향과 주요 이슈
지속가능 공급사슬 운영관리와 환경적 가치
지속가능 공급사슬 운영관리와 사회적 및 사회・환경적 가치
4. 기업의 지속가능 공급사슬운영관리
방향과 연구 방향
기업의 지속가능 공급사슬운영관리 방향
향후 연구 방향
7장 사회적 가치와 마케팅
1. 마케팅과 사회적 가치창출은 양립할 수 있는가
2. 마케팅은 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이 고객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CSR이 주주가치에 미치는 영향)
친사회적인 행동 유도
(친환경적인 상품 구매 유도 / 윤리적인 상품 구매 유도 / 친환경적인 행동 유도)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마케팅 활동의 역작용
3.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는 무엇인가
8장 사회적 가치와 정보기술의 역할
1. 서론
2. 정보기술과 사회적 가치
정보기술 역할의 진화
기술혁신과 사회적 가치창출
3. 정보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가치창출 사례
정보기술과 사회적 가치창출 연계 비즈니스 유형
1단계-사회 공헌형 비즈니스 사례
2단계-사회 확산형 비즈니스 사례
3단계-사회 혁신형 비즈니스 사례
4. 정보기술 기반의 사회적 가치창출 전략 및 시사점
정보기술에 따른 미래 사회의 변화
정보기술 기반의 사회적 가치창출 전략 및 경로
(정보기술을 통한 사회적 가치창출 전략 / 정보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가치창출의 접근 경로)
정보기술을 통한 사회적 가치창출의 선결과제
5. 결언
9장 사회적 가치와 재무
1. 재무 분야에서의 변화
2. 재무 분야에서의 연구결과
사회적 가치 활동의 주주이익 부합 여부와 그 동기
사회적 책임 투자의 성과와 지속성
사회적 책임 투자의 동기
사회적 가치 활동에 대한 주주의 영향력 여부와 그 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과 채권
3. 재무 분야 주요사례
: 주주의 적극적인 ESG 관여 활동을 중심으로
공적 연금의 주주 관여 활동
헤지펀드의 주주 관여 활동
인덱스 펀드의 주주 관여 활동
스튜어드십 서비스 회사
비영리단체
4. 기업은 누구를 위해 경영돼야 하는가?
사회적 가치가 이윤에 우선한다는 견해
다원적 이해관계자주의의 허구성과 위험성
평가와 전망
10장 사회적 가치와 회계
1. 사회적 가치와 회계: 역사 그리고 프레임워크
회계의 역사와 수탁책임
재무보고와 지속가능경영보고: 누구를 위한 보고인가?
통합보고와 트리플 보텀라인
(전통적 이익의 개념과 트리플 보텀라인 관점에서의 이익 / 경제적·사회적·자연 자본과 자본유지 / 트리플 보텀라인 관점과 자본유지를 위한 원가 내부화)
트러플 보텀라인 관점의 실행을 위한 노력
결론
2. 사회적 가치의 측정과 통합보고
사회적 가치 측정의 원칙 및 방법론
(사회적, 환경적, 재무적 자본의 서열체계 / 사회적 가치 측정의 방법론)
사회적 가치 관련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동향 및
관련 조직 설립 동향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동향 /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관련된 기구설립 동향)
결론: 통합보고의 체계와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
3.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회계의 역할과 과제
사회적 가치 측정기구의 통합 및 표준화와 관련된 주요 이슈
(사회적 가치 측정의 신뢰성과 비교가능성의 문제 / 평가기관 간 차이의 근본 원인)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기업의 변화 방향
(기업별 목표의 재설정과 지배구조 강화 / 효과적인 사회적 가치의 창출을 위한 실행방안의 고안)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새로운 회계 방법론
: 임팩트 어카운팅
결론: 사회적 가치 측정과 회계의 미래
11장 경영과 사회적 가치: 의의 그리고 한계
1. 경영에서의 사회적 가치
기후변화와 사회적 가치
인류 인식의 지평 확장과 사회적 가치
2. 학계와 경영 현장에서의 사회적 가치의 함의
경영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함의
경영 현장에서의 함의
3. 사회적 가치 추구가 갖는 한계
위장 환경주의
포용적 관점의 필요성
각주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