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예술과 노동, 다시보기 이미지

예술과 노동, 다시보기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 부모님 | 2021.12.24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14.8x21 | 0.163Kg | 125p
  • ISBN
  • 978899538357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예술은 노동인가? 이 오래된 질문은 200년 전 낭만주의 미학과 맑스의 자본론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인 노조, 70년대 미술노동자연합 등 우리는 예술을 노동과 일치하려던 움직임이 있었음을 보았다. 한국의 경우, 최근 2011년 최고은 씨의 사망은 예술인의 노동권과 사회권 신장을 위한 행동들을 촉발했고 이후 지금까지 10년 동안 논의가 계속되었다.

10년이라는 기간 동안 예술가의 노동자적 조건들에 관하여 많은 논의와 투쟁이 오간 결과 예술인복지법 예술인고용법 등 여러 법률이 제정되었는데 본 포럼은 첫째, 지금까지의 논의 과정을 되돌아보며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았다. 둘째, 더 나아가 4차산업혁명, 메타버스, NFT로 대변되는 급변하는 경제, 사회, 기술적 상황이 예술과 노동이라는 주제와 관련해 어떤 반향을 가져올지를 짚어 보았다. 이 자료집은 당시 논의된 이야기를 편집, 발전 시켜 기록한 것이다.

  출판사 리뷰

예술가의 일(work)은 노동인가? 놀이인가? 초국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은 지금 어떠한가’하는 물음 끝에 ‘예술에서의 노동은 무엇인가’를 되묻다. 페미니즘 운동이 여성의 무임금 노동, 자연화된 노동으로 천착 되어왔던 것에 대한 저항운동과 함께 발생하였다면, 제4차 혁명과 팬데믹이 발생한 오늘날 예술 분야의 무임금 노동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또한 살펴보아야 한다. 인간이 가진 미적 경험에서부터 출발하는 예술에서 ‘노동’의 가치를 논의하는 것은 예술 범주가 재구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의제이기도 하다. 돈이 되는 예술과 돈이 되지 않는 예술 사이에서 예술인은 많은 고민을 한다. 특히 순수예술, 기초예술로서의 예술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동시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하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추구하는 대안 예술은 쉽게 말해 돈은 많이 들어가지만, 돈이 안 되는 예술의 유형에 속한다. 그렇기에 대안 예술은 기초연구와 같이 정책적 보호와 지원이 필요하지만, 가사/돌봄 노동처럼 무임금화 되어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이 출판물은 돈으로 환산되지 못한 예술가의 노동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무가치한 것이 아니라 예술가의 노동으로 파생된 부동산, 건물, 지역경제, 브랜드 경제, 복제자본상품들로 인해 어느 누군가가 잉여 가치를 창출하고 예술 자본을 착취하는 구조에 순수 예술가, 대안 예술가가 위치해있음을 제기한다.

신현진은 과거 10년 동안 논의된 예술과 노동에 관한 주요한 이슈를 연대기적으로 따라가면서 주제들을 정리한다. 너무나 많은 용어가 난립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용어가 만들어지게 한 입장의 핵심개념은 무엇인지,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사회적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최인이는 예술가의 노동자성 인식에 관해 논의한다. 문학이나 영화같이 산업화한 예술 장르에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노조가 설립되었고 지금까지 계속해서 운영될 수 있었던 것일까? 역으로, 미술에서는 왜 그렇지 아니한가? 영화 또한 미술과 마찬가지로 도제식 구조에서 상징자본의 획득이라는 변수를 가졌었고, 영화예술인은 자신을 노동자가 아니라 예술인 혹은 예술인이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견습생이라는 인식을 교육받아왔었는데 이들이 노동자성의 인식을 습득하게 된 출발점을 살펴본다면 우리는 각자의 판단에 또 다른 준거자를 얻을 수 있지는 않을까? 최인이는 이것이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사회문화적 지배력 확대와 불가분 관계에 있음을 주목하고, 이러한 지배력 확대가 어떻게 영화예술인이 계약에 있어서 전략적 선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분석하면서 답을 찾아 나간다.
정윤희는 예술+노동을 둘러싼 법제도적 쟁점들을 살펴본다. 최고은 작가의 사망은 예술가의 창작환경 개선을 향한 열망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열망을 행동으로 옮기는 움직임 중에는 예술에 노동이라는 글자를 적극적으로 접목하고 예술인 자신의 작품 제작 활동에 대한 보상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을 포함했다. 이를 들여다보면 우리는 이들의 전략에서 ‘무엇을, 누구로부터’와 관련해 어떤 선택을 했는지 알 수 있다. 흥미롭게도 한국의 예술 관계자들은 ‘무엇을’ 대신, ‘누구에게’라는 문제를 전략으로 선택했다. 미술관이나 화랑, 혹은 감독이나 극장이 아니라 어쩌면 제삼자인 정부, 따라서 정책 수립을 목표로 선택했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 정부와의 끝없는 논쟁 과정에 참여하는 일이었고 정부는 예술인 복지재단을 설립했으며, 최근에는 〈예술인 고용보험〉의 도입과 〈작가비 및 창작대가 기준안〉이 정부에 의해 고시되기에 이르렀다. 이제 한 단락이 마무리된 것일까? 이러한 지난 10년이라는 과정을 우리는 어떻게 정리하고 해석하는 것이 좋을까?
이광석은 크립토 아트와 NFT 예술노동자의 탄생을 탐색한다. Bit의 세계, 가상의 세계로 우리의 삶이 옮겨간다는 4차 혁명의 시대가 성큼 다가온 오늘 메타버스와 크립토 아트의 부상은 예술인의 미래 노동환경에 어떤 변수로 작동할 것인가? 메타버스라는 시-공간은 예술의 대중화라는 혁명의 신호이자 유토피아를 잠재하는가? 아니면 자본주의의 새로운 인클로저가 될 것인가? 4차 혁명에 포함된 기술, 크립토라는 암호화 기술은 미술의 원본성을 대체하는가? 그렇다면 저작권과 예술의 본질을 어떻게 보존, 변화할 것인가?

부록으로 심포지엄에서 진행된 종합토론 녹취록을 수록하여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예술 현장의 다양한 논쟁들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최인이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새마을운동 연구팀에서 연구교수를 지냈으며, 산업노동사회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조직과 운동전략 비교: 양대 노총의 제도적 매개역할(1997~2005)을 중심으로」(2011, 기억과 전망), 「한국 자본가 조직의 노사관계 전략: 경총의 활동을 중심으로」(2012, 사회과학연구) 등의 논문을 썼다.

지은이 : 고동연
전후 미술사와 영화이론으로 뉴욕시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아트2021의 공동디렉터(2008∼2010), 신도 작가지원프로그램(시냅, 2011∼2014) 및 국내 유수의 창작센터, 작가상의 멘토와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동아시아 현대미술에서의 대중소비문화나 역사적 기억’과 관련된 주제로 국내 등재학술지와 국제 유명학술지 『Inter-Asia Cultural Studies』(런던, 2010, 2013), 『Photography and Culture』 (런던, 2015) 등에 발표해 왔다. 최근 발간된 저서로는 『Staying Alive: 우리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2016),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현대미술』(2018)이 있으며, 현재 『Postmemory Generation and the Korean War: Post-1990s South Korean Arts』 (2020 예정)을 집필하고 있다.

지은이 : 신현진
쌈지스페이스 제1큐레이터, 사무소(SAMUSO) 전시실장, 뉴욕 아시안아메리칸예술센터 프로그램 매니저로 일했다. 권위를 뺀 미술비평에 관한 소설 「미술계 비련과 음모의 막장드라마」(2013)를 문화창작공간 테이크아웃드로잉에서 발행한 신문에 연재했다. 「사회적 체계 이론의 맥락에서 본 대안공간과 예술의 사회화 연구」(2015)로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은이 : 안진국
미술평론가. 동시대의 다채로운 사유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 홍익대학교에서 미술과 국어국문학을 공부했으며, 2015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 평론에 당선되면서 평론을 시작했다. 최근 저서로 《불타는 유토피아》와 《한국현대판화 1981-1996》가 있으며, 공저서로 《비평의 조건》과 《기대감소의 시대와 근시 예술》이 있다.

지은이 : 정윤희
작가,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 공동운영위원장

지은이 : 이광석

지은이 : 이광석
90년대 중반 이래 테크놀로지, 사회, 문화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오고 있다. 초창기 인터넷 문화에 매료되어 줄곧 기술문화연구자로 살아온 강단 서생이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로 일한다.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 / 과학』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최근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연구, 커먼즈, 플랫폼 노동,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사회 등에 걸쳐 있다.< 지은 책 >『포스트디지털 : 토픽과 지평』(2021)『디지털의 배신 : 플랫폼 자본주의와 테크놀로지의 유혹』(2020)『데이터 사회미학 : 테크노자본주의 시대 아티비즘』(2017)『데이터 사회 비판』(2017)『옥상의 미학노트 : 파국에 맞서는 예술행동 탐사기』(2016)『뉴아트행동주의 : 포스트미디어, 횡단하는 문화실천』(2015)『디지털 야만 : 기술잉여, 빅데이터와 정보 재난』(2014)『사이방가르드 : 개입의 예술, 저항의 미디어』(2010)< 기획하고 엮은 책 >『사물에 수작부리기 : 손과 기술의 감각, 제작 문화를 말하다』(2018)『현대 기술, 미디어 철학의 갈래들』(2016)『불순한 테크놀로지 : 오늘날 기술정보 문화연구를 묻다』(2014)

  목차

예술노동자 용어정리(신현진) 007
예술가의 노동자성 인식(최인이) 031
예술+노동을 둘러싼 법제도적 쟁점들(정윤희) 053
크립토 아트와 NFT 예술노동자의 탄생(이광석) 068
종합토론 녹취록(질의 고동연, 안진국) 081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