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이상록
전공 및 문화예술관련국민대학교 경영학과 졸업(1973)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예문화 최고위과정수료(2007~8)한국학 대학원 부설 청계서당 한학(漢學)연수(3년차)사단법인 한국서가협회(韓國書家協會)회원경력, 단체 국가유공자(월남참전)서울 Radiator 공업주식회사 상무이사 역임(주)유앤엘 대표이사 역임성주이씨(문열공파)/안변공 성복문중 회장(현)
서언 _ 명가(名家) 성주이씨(星州李氏)를 빛낸 별[星]들의 역사
추천의 글 | 송운(松雲) 이교찬(李敎燦)
祝 星州李氏 先祖史發刊 | 월송 이상욱
제1부 연원(淵源)
1. 성씨의 기원
2. 족보와 대동보의 정의
3. 친족집단의 유기체 종중과 족보간행
4. 이씨의 유래 및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연원
5. 성주이씨의 시조(始祖)와 본관(本貫)
제2부 금석문으로 보는 시조공, 선조의 역사
1. 묘비명(墓碑銘)과 묘지명(墓誌銘). 묘갈(墓碣). 신도비(神道碑)
2. 성주이씨 시조 경상공 휘 순유 제단비(祭壇碑) 설립-유실된 역사를 복원하다-
3. 중시조 농서군공 휘 장경(中始祖 隴西郡公 諱 長庚)
3-1 농서군공의 약사(略史)
3-2 농서군공(隴西郡公) 유허지(遺墟址)
3-3 농서군공(隴西郡公) 묘비(墓碑)
3-4 농서군공(隴西郡公) 신도비
3-5 농서군공의 묘, 명당(明堂)의 수난사
3-6 성주이씨 간이 세계도(世系圖, 중시조 세계 1세~7세)
3-7 역사 기록으로 보는 2~5세들의 가계 약사(略史)
3-7-1 밀직공 이백년(密直公 李百年)
3-7-2 참지공 이천년(參知公 李千年)
3-7-3 시중공 이만년(侍中公 李萬年)
3-7-4 유수공 이억년(留守公 李億年)
3-7-5 문열공 이조년(文烈公 李兆年) 성산후
제3부 이조년 연대기(年代記)
1. 고려말 역사의 중심에 선 이조년의 역사관(歷史觀)
1-1 고려초기 왕권 강화의 수단, 과거제도와 교육기관
1-2 학문에 의한 관리 등용법, 과거제도의 성립 및 규정
1-3 고려중기의 국내 정치 및 무신정권의 탄생 배경
1-4 고종 재위, 그리고 주변국(몽골)의 정치상황
1-5 고려태자와 강화조약(講和條約)
2. 문열공 이조년 연보(年譜)
2-1 고려 제 24대 원종(무신정권 말기)
2-2 고려 제 25대 충렬왕
2-3 충선왕 복위
2-4 고려 제 27대 충숙왕 재위와 복위
2-5 고려 제 28대 충혜왕
2-6 충혜왕 후원년, 이조년 정당문학. 예문관 대제학 제수
2-7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북경 육로 왕래길
2-8 문열공 이조년이 모신 고려왕들의 계보도
3. 이조년, 고려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다.
3-1 고려시대의 정사 고려사:열전(高麗史.列傳) 이조년
3-2 삼현기년(三賢紀年), 현조(賢租)의 전적(傳蹟)을 기록
3-3 문열공(文烈公) 이조년(李兆年) 묘지명(墓誌銘)
3-3-1 문열공 이조년 묘지명을 쓴 익재 이제현
3-3-2 육군자(六君子)
제4부 작품의 세계
고시조(古時調) 및 한시(漢詩) 감상
1. 매운당(梅雲堂) 이조년(李兆年)
1-1 백화헌(百花軒) 한시
1-2 백화헌 차운시(次韻詩)
1-3 다정가(多情歌)
1-4 자규제(다정가 한역시)子規啼(多情歌漢譯詩)
1-5 영어(英語)로 번역한 다정가
1-6 유필(遺筆) 병풍시(屛風詩)
1-7 저서(著書) 매 사육서 응골방
1-7-1 응색편(鷹色編: 매의 모양새)부터 제약법(劑藥法)을 논함
1-7-2 응시(鷹詩)
2. 요산재[樂山齋] 이억년(李億年)
2-1 십년세월(十年歲月)
3. 초은[樵隱] 이인복(李仁復)
3-1 진변술회(鎭邊述懷)
3-2 을유 오월 십이일 입시원작(乙酉五月 十二日 入試原作)
3-3 익재 이문충공 만사(益齋李文忠公挽詞)
3-4 차 가야사주노운(次 伽倻寺住老韻)
3-5 제초계공관곡송 차운(題草溪公館曲松次韻)
3-6 송 경상 정안렴(送慶尙鄭按廉)
3-7 제 조계귀곡각운선사 어서화 시권(題曹溪龜谷覺雲禪師御書畵詩卷)
3-8 증 곽검교(贈 郭檢校)
3-9 기원조동년마언휘승지겸 간부자통학사(寄元朝同年馬彦翬承旨兼 柬傅子通學士)
3-10 송유사암숙(送柳思庵淑)
3-11 송문생곽정언의출안강릉(送門生郭正言儀出按江陵)
3-12 송 양광안렴 한장령철충(送楊廣按廉韓掌令哲冲)
3-13 성재시 상유시중탁(誠齋詩上柳侍中濯)
3-14 제난파이어사수부권-거인(題蘭坡李御史壽父卷-居人)
3-15 정상국휘포도헌 차운(鄭相國暉蒲萄軒次韻)
4. 승암[勝巖] 이인임(李仁任)
4-1 노년우음(老年寓吟)
4-2 증 승암공(贈勝巖公)
5. 모은[慕隱] 이인립(李仁立)
5-1 밀직사사 서경 부원수 진현관대제학 모은공(密直司事 西京副元帥 進賢舘大提學 慕隱公)
6. 성산군 대제학 이인민(李仁敏)
6-1 작만 자안언 이밀직 인민 귀향 조기부차(昨晩 子安言 李密直仁敏 歸鄕 早起賦此)
7.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7-1 제 승사(題僧舍)
7-2 촌거(村居)
7-3 신설(新雪)
7-4 의장(倚仗)
7-5 방동년 생녀희정(方同年生女戱呈)
7-6 억 삼봉(憶三峰)
7-7 신청(新晴)
7-8 안질(眼疾)
7-9 추회(秋回)
7-10 구일만성(九日謾成)
7-11 병인년 십이월 육일 부경사(丙寅十二月六日赴京使)
7-12 원일 봉천전 조조(元日奉天殿早朝)
7-13 등주 봉래각 감회(登州蓬萊閣感懷)
7-14 오호도(嗚呼島, 형식: 7언 고시)
7-15 정료위(定遼衛)
7-16 도요곡(渡遼曲)
7-17 사문도 회고(沙門島懷古)
7-18 서강즉사(西江即事)
7-19 등 가야산(登伽倻山)
7-20 행로난(行路難) 용고인 운(用古人韻)
7-21 자송(自訟)
7-22 사유지군기다(謝兪知郡寄茶)
7-23 승(蠅)
8. 형재[亨齋] 이직(李稷)
8-1 고시조(古時調) 오로시(烏鷺詩)
8-2 공씨어촌 사시 공백공 별서(孔氏漁村四時孔伯恭別墅)
8-3 병송(病松)
8-4 계 자손시(戒子孫詩)
8-5 전가(田家)
8-6 상전가(傷田家)
8-7 제 천왕사 서루(題天王寺西樓)
8-8 침촌(砧村)
8-9 야좌(夜坐)
8-10 침촌즉사(砧村卽事)
8-11 구일향중제공요이도은등고 도은유시 봉차운(九日鄕中諸公邀李陶隱登高 陶隱有詩 奉次韻)
8-11-1 도은 학사 시부(陶隱學士詩附)
8-12 자견(自遣)
8-13 촌거사절 용목은운(村居四節 用牧隱韻)
9. 경무공 이제(李濟)
9-1 불사이군(不事二君)
10. 평간공(平簡公) 이발(李潑)
10-1 제영, 동부민거소(題詠, 洞府民居少)
10-2 전라도 김제군 제영
11. 나암(蘿菴) 이문흥(李文興)
11-1 계 구물사훈(誡九勿思訓)
12. 고은(孤隱) 이지활(李智活)
12-1 망월정 충절시(望月亭 忠節詩)
13. 대은(大隱) 이지원(李智源)
13-1 연봉산 정야(延鳳山靜夜)
14. 자고(自固) 이자견
14-1 판서공 전한시 이종사관 함양군루제영(判書公典翰時 以從事官 咸陽郡縷題詠)
15. 묵재(黙齋) 이문건(李文楗)
15-1 영비(靈碑) 불인갈(不忍碣)
15-2 손자의 출생을 자축하는 시
16. 일재(一齋) 이항(李恒)
16-1 양전(良田)
16-2 한거서사(閒居書事)
16-3 제 시축(題詩軸)
16-4 우음(偶吟)
17. 동곡(桐谷) 이조(李晁)
17-1 정동(庭桐)/마당에 심은 오동나무
18. 앙성(仰城) 이여송(李如松)
18-1 선시(扇詩). 부채에 쓴 시
18-2 여제 임진강상(如題臨津江上)
19. 지강(芝江) 이욱(李稶)
19-1 노다촌(老多村)
20. 은암(隱庵) 이광적(李光迪)
20-1 어제시(御製詩)
20-2 축시(祝詩)
20-3 이광적(李光迪) 자필 차운시
21. 경산공(京山公) 이한진(李漢鎭)
21-1 이한진이 이채의 초상화에 쓴 전서체 글씨
22. 옥파(沃波) 이종일(李種一) 독립운동가.
22-1 3·1 독립선언 기념비/ 조선민족 대표 33인
23. 백년설 노래비. 이창민(李昌珉)
23-1 번지(番地) 없는 주막
제5부 사(辭), 표문(表文), 상전사(上箋辭), 부(賦), 상소문(上疏文), 개국공신교서
1. 사(辭)의 형식
1-1 이숭인의 사(辭)와 작품의 배경
1-2 이숭인의 사(辭) -애추석사
1-3 도은집(陶隱集) 서문(序文)
2. 표문(表文)
2-1 하등극표(賀登極表)
2-2 하책황태후표(賀冊皇太后表)
2-3 표문(表文), 이조판서 이견기 북경 사은사
2-4 전문(箋文), 이조판서 이견기 북경 사은사
3. 상전사(上箋辭)와 불윤비답(不允批答)
3-1 상전사(上箋辭)
3-2 불윤비답
3-3 호조판서 이견기 상장사직(上狀辭職)
4. 부(賦)
4-1 설매헌부(雪梅軒賦)
5. 상소문(上疏文)
5-1 공녀제도 폐지를 촉구하는 상소문
5-2 고려에 대한 “입성책동”을 반대함
6. 경무공 이제(李濟)의 개국공신교서(開國功臣敎書)
6-1 어제 태조대왕 개국공신교서
7. 임금이 내린 치제문(致祭文)과 졸기(卒記)
7-1 세종대왕이 병조판서 이발에게 내린 치제문 전문
7-2 전 병조판서 이발 졸기
7-3 중추원사 이견기 졸기
제6부 유허비명, 신도비명, 고려사:열전
1. 농서군공(隴西郡公) 휘 장경 유허비명(遺墟碑銘)
2. 농서군공(隴西郡公) 휘 장경(長庚) 신도비명
3. 문열공(文烈公) 휘 조년(兆年) 신도비명(神道碑銘)
4. 문충공(文忠公) 이인복 고려사:열전
제7부 정난(靖難)과 사화(士禍)
1. 정난과 사화에 얽힌 선비들의 수난사
1-1 계유정난(癸酉靖難)
1-2 남이(南怡) 옥사사건
1-3 무오사화(戊午士禍)
1-4 갑자사화(甲子士禍)
1-5 기묘사화(己卯士禍)
1-6 을사사화(乙巳士禍)
2. 설화 및 효행, 탐방
2-1 형제애(兄弟愛)에 관한 설화
2-2 형재 이직의 효행과 태조 이성계의 감동실화
2-3 부조묘(不祧廟) 탐방
2-3-1 문경공 이직 부조묘
2-3-2 경무공 이제 부조묘
2-4 성주이씨 이빈(李斌), 효자정려(孝子旌閭)를 받다.
2-5 효자 이윤현의 효심과 사효재(思孝齋)
2-6 탐방
2-6-1 입향조의 추모 역사비를 세우다.
2-6-2 정조대왕의 어고(御考)
글을 마치며
부록 _ 응골방 시(詩)부문 원문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