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열하일기  이미지

열하일기
한반도가 비좁았던 천재가 본, 더 큰 세상의 풍속사
arte(아르테) | 부모님 | 2024.07.26
  • 정가
  • 80,000원
  • 판매가
  • 72,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4,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3.5x21 | 1.938Kg | 1384p
  • ISBN
  • 979117117665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였던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기행문집 <열하일기>는 조선 후기 산문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는 걸작이다. 1780년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잔치에 조하사(朝賀使)로 파견되어 연행(燕行)을 다녀온 박지원이 자신의 여정과 견문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열하일기>의 가장 큰 특징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실용주의적 태도와 개방적 세계관이다. 박지원은 청나라의 제도와 문물을 관찰하면서 단순히 이국적 풍경에 매료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실리적 가치와 장단점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평가한다. 청나라의 우수한 문물과 제도는 과감히 수용하자는 박지원의 주장은, 성리학적 화이관(華夷觀)에 사로잡혀 쇄국정책을 고수하던 조선 조정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열하일기>의 또 다른 특징은 생동감 넘치는 사실적 묘사와 해학적 문체이다. 박지원은 관찰자로서의 예리한 시선으로 중국인들의 일상적 삶과 생활상, 낯선 풍물과 인심을 사실적으로 포착해 낸다. 특히 시적 감수성과 해학이 넘치는 그의 필치는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해 준다.

  출판사 리뷰

열하일기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였던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기행문집 <열하일기>는 조선 후기 산문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는 걸작이다. 1780년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잔치에 조하사(朝賀使)로 파견되어 연행(燕行)을 다녀온 박지원이 자신의 여정과 견문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획기적 시각의 기행문
<열하일기>의 가장 큰 특징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실용주의적 태도와 개방적 세계관이다. 박지원은 청나라의 제도와 문물을 관찰하면서 단순히 이국적 풍경에 매료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실리적 가치와 장단점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평가한다. 청나라의 우수한 문물과 제도는 과감히 수용하자는 박지원의 주장은, 성리학적 화이관(華夷觀)에 사로잡혀 쇄국정책을 고수하던 조선 조정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예컨대 그는 청나라의 육로와 수로, 상업 시설, 화폐 및 도량형 제도, 장시(場市)와 시전(市廛) 등 경제 문물의 발달상을 매우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묘사하며, 조선에서도 이를 본받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는 당시 대부분의 연행록이 중화 문명에 대한 맹목적 동경이나 피상적인 이국 정취를 나열하는 데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획기적이다.
<열하일기>의 또 다른 특징은 생동감 넘치는 사실적 묘사와 해학적 문체이다. 박지원은 관찰자로서의 예리한 시선으로 중국인들의 일상적 삶과 생활상, 낯선 풍물과 인심을 사실적으로 포착해 낸다. 특히 시적 감수성과 해학이 넘치는 그의 필치는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해 준다.
때로 저자 자신이 등장인물로 나서서 현지인들과 문답을 나누거나 에피소드를 연출하는 구성 또한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이는 단순한 견문 나열에 그치던 기존 기행문의 문법을 넘어, 기행문에 문학성과 서사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체의 측면에서도 한문투의 딱딱함을 벗어나 구어체에 가까운 생생한 문장, 경쾌하고 해학적인 문체는 <열하일기> 특유의 매력을 만들어 낸다.

비판의식과 개혁 의지 넘쳐
내용의 측면에서 <열하일기>는 단순히 연행의 견문을 기록한 기행문에 그치지 않는다. 책에는 청나라에 대한 관찰과 비평은 물론, 조선의 현실에 대한 저자의 비판의식과 개혁 의지가 넘쳐흐른다. 중국을 직접 목도하고 돌아온 박지원은, 조선의 경직된 제도와 인습, 학문과 사상의 폐쇄성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책 곳곳에서 그는 조선의 기술과 문물이 청나라에 비해 얼마나 낙후되었는지를 개탄하며, 개방과 수용, 과감한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열하일기>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박지원의 깊이 있는 사유가 곳곳에 녹아 있는 철학적 기행문이기도 하다. 여행 중에 목도한 자연의 풍경과 인간사의 만남은 저자로 하여금 인생의 무상함과 덧없음에 대해 숙고하게 하고, 인간의 보편적인 삶의 모습과 본성에 대해 통찰을 이끌어낸다. "천하의 일이 모두 꿈과 같고 인생은 한바탕 꿈속에서 헤매는 것과 같다(天下事皆如一夢, 人生恍若一夢中)"라는 유명한 대목 등에서 박지원의 철학적 사유의 깊이를 만날 수 있다.
이처럼 <열하일기>는 당대 연행록의 전형을 뛰어넘어, 박지원의 진취적 문명관과 실사구시적 세계관을 그려낸 새로운 형식의 기행문학이었다. 조선 후기 북학사상(北學思想)의 선구적 저작인 동시에, 개방과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한 실학정신의 고전이기도 하다. 이후 연행록뿐 아니라 조선 후기 산문 문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조선 지식인의 사유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도 <열하일기>의 의의는 크다.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열하일기>가 주는 메시지 또한 결코 적지 않다. 변화하는 세계를 직시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자세, 학문과 사상의 틀에 안주하지 않고 사물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실사구시의 정신, 인간 보편의 모습에 대한 통찰과 해학 어린 성찰은 시대를 초월해 되새길 만하다. 무엇보다 우리 안의 낡은 인식틀과 고정관념을 과감히 벗어던지고, 세계와 소통하며 끊임없이 배우고자 했던 박지원의 자세는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진정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사고, 세계와 인간을 꿰뚫어보는 혜안, 그리고 자신의 경험과 사유를 생생한 언어로 형상화해 내는 글쓰기의 힘. <열하일기>는 이 모든 것이 빚어낸 독보적 걸작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 책과 동행하는 특별한 연행(燕行)을 떠나 보기를 권하고 싶다. 박지원이 걸었던 그 길 위에서, 우리는 분명 또 다른 의미의 열하(熱河)를 만나게 될 것이다.

이에 배 두 척을 내어 사공이 물에 들어서서 배를 끌었으나, 워낙 물살이 세어서 한 치만큼 전진하면 한 자가량 후퇴하고 만다. 아무리 호통한들 어찌할 수 없는 사정이다.
이윽고 배 한 척이 강기슭을 타고 나는 듯이 빨리 내려오니 이는 군뢰가 서장관의 가마와 말을 거느리고 오는 건데, 장복이 창대를 보고 기뻐서 말한다.
“너도 오는구나.” 이에 두 놈을 시켜서 행장을 점검해 보니 모두 탈이 없으나, 다만 비장과 역관이 타던 말이 혹은 오고 더러는 오지 않았으므로, 이에 정사가 먼저 떠나기로 했다. 군뢰 한 쌍이 말 타고 나팔 불며 길을 인도하고 또 한 쌍은 보행으로 앞을 인도하되 버스럭거리면서 갈숲을 헤치고 나아간다.
내가 말 위에서 칼을 뽑아 갈대 하나를 베어 보니, 껍질이 단단하고 속이 두꺼워서 화살을 만들 수는 없으나 붓자루를 만들기에는 알맞을 것 같았다. 이때 놀란 사슴 한 마리가 마치 보리밭 머리를 나는 새처럼 빠르게 갈대를 뛰어넘어 가니 일행이 모두 놀랐다.
_도강록

내가 목춘과의 교류를 깊이 그리워하며 그와 필담筆談을 나누고 싶어 했을 때, 이생(이귀몽)이 손을 저으며 말했다.
“온·목 두 사람은 입으로는 봉황새처럼 아름다운 말을 할 수 있지만, 눈으로는 돼지 시豕와 돼지 해亥를 구분하지 못할 겁니다.”
나는 의아하게 여기며 반문했다.
“그럴 리가 있소?”
그러자 배관이 대답했다.
“빈말이 아닙니다. 그들은 귀에는 많은 서적의 지식을 간직하고 있으나, 눈으로는 단 하나의 ‘정丁’ 자도 볼 수 없다는 거지요. 하늘에는 글 모르는 신선이 없을지 몰라도, 인간 세상에는 말만 잘하는 앵무새가 분명 있지요.”
_성경잡지

사당 뒤편에는 또 다른 전각이 있는데, 그 구조는 본전과 마찬가지로 정교하다. 소상 둘이 있는데 면류를 쓰고 옥홀을 가진 이는 문창성군文昌星君이요, 봉관鳳冠(중국 고대 여자용의 관)을 이고 구슬띠를 띤 것은 옥비낭랑玉妃娘娘이라 한다. 그 좌우에는 두 동자가 모시고 섰다.
현판에는 ‘건시령구乾始靈區’라 적혀 있으며, 이는 현재 황제의 필체이다. 바깥문에서부터 시작해 각 층계마다 흰 돌로 제작된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조화로움과 매끈함이 마치 옥과 같다. 난간 위에는 고루 이룡과 도롱뇽을 새겨 넣어, 별채와 층대를 둘러싸 앞쪽의 전당에까지 이어진다. 또한, 전전에서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뒤쪽의 전당까지 흰색의 빛이 눈부시게 펼쳐져 있어, 먼지 한 톨도 보이지 않는다.
_일신수필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지원
仲美, 호는 연암燕巖, 연상煙湘, 열상외사洌上外史이다. 18세였던 1754년(영조 30), 우울증과 불면증을 앓아 이를 극복하고자 여러 계층의 진실한 인간형에 대해 모색한 전傳 아홉 편을 지어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이란 이름으로 묶었다. 1771년경 마침내 과거를 그만 보고 재야의 선비로 살아가기로 결심, 연암은 서울 전의감동典醫監洞(지금의 종로구 견지동)에 은거하며 벗 홍대용洪大容 및 문하생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李書九 등과 교유하면서 ‘법고창신法古創新’ 즉 ‘옛것을 본받으면서도 새롭게 창조하자’는 말로 집약되는 자신의 문학론을 확립하고, 참신한 소품小品 산문들을 많이 지었다.1780년(정조 4) 삼종형三從兄 박명원朴明源이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칠순을 축하하는 특별 사행使行의 정사正使로 임명되자, 연암은 그의 자제군관子弟軍官으로서 연행燕行을 다녀왔다. 이 결과 지어진 것이 『열하일기』이고, 이는 완성된 전권이 나오기 전부터 열띤 반응을 받았다. 50이 된 1786년, 연암은 음직蔭職으로 선공감 감역繕工監 監役으로 관직을 맡게 되고 그 후 경상도 안의 현감安義縣監, 의금부 도사, 의릉 영懿陵令 등을 거쳐, 1797년부터 1800년까지 충청도 면천沔川(지금의 충남 당진)의 군수 등으로 재직하며 농업 장려를 위해 널리 농서를 구한다는 윤음綸音(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과농소초課農小抄』를 진상했다.1800년 음력 8월 연암은 강원도 양양 부사襄陽府使로 승진했으나, 궁속宮屬과 결탁하여 양양 신흥사神興寺 승려들이 전횡하던 일로 상관인 관찰사觀察使와 의견이 맞지 않아 1801년 늙고 병듦을 핑계 대고 사직했다. 1805년(순조 5) 음력 10월 29일, 69세의 나이로 연암은 서울 북촌 재동齋洞(지금의 가회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목차

열하일기 서熱河日記序
도강록渡江錄
성경잡지盛京雜識
일신수필馹汛隨筆
관내정사關內程史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
환연도중록
還燕道中錄
경개록傾蓋錄
찰십륜포札什倫布
반선시말班禪始末
황교문답黃敎問答
행재잡록行在雜錄
망양록忘羊錄
심세편審勢編
혹정필담鵠汀筆談
산장잡기山莊雜記
환희기幻戲記
피서록避暑錄
구외이문口外異聞
옥갑야화玉匣夜話
황도기략黃圖紀略
알성퇴술謁聖退述
앙엽기盎葉記
동란섭필銅蘭涉筆
금료소초金蓼小抄

해설
박지원 열하일기에 대하여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