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쇼팽의 음악처럼 우리 마음을 사로잡고 흔들어 놓는 소설
노벨문학상, 세계 최초 부커상 2회 수상 작가 쿳시의 압도적 예술세계세련되고 애수 어린 러브 스토리, 정밀하고 선명하며 아름다운 산문. 『추락』의 묵직한 감동을 잇는 사랑과 이별, 삶과 죽음, 쇼팽의 음악에 관한 잊을 수 없는 이야기.
“나는 당신의 이름을 입술에 머금고 죽을 겁니다.”
음악이 사람을 더 좋게 만든다고 생각하는, 바르셀로나의 음악 서클 여인 베아트리스와 그녀에게 첫눈에 반한 쇼팽 전문 폴란드 피아니스트.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지는 은밀한 사랑 이야기가 간결하지만 팽팽하게 감긴 스프링 같은 산문으로 그려진다. 곧 마음 깊은 곳의 에너지를 폭발시키는 놀라운 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이 소설은 원제 『The Pole(폴란드인)』이 상징하는 것처럼 폴란드 출신 작곡가 쇼팽의 사랑 이야기가 기저에 깔려 있다. 쇼팽과 그의 연인 상드가 도피 여행을 한 마요르카에서 남녀 주인공의 관계가 전환점을 갖는다.
피아니스트가 주인공이어서 음악 소설처럼 읽히기도 한다. 쇼팽 음악을 바흐 풍으로 담담하게 해석하는 폴란드 피아니스트, 그리고 그의 음악과 대비되는 여러 음악가들이 소설 속으로 유입된다.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이들을 사로잡는 흥미로운 요소가 곳곳에 숨어 있다.
이 소설은 또 단테의 『새로운 인생』과 『신곡』에 나오는 단테와 베아트리체 이야기가 하나의 원형으로 등장한다. 단테의 스토리는 남성의 시각에서 쓴 것이지만, 『폴란드인』은 뮤즈인 여성의 시각에서 쓴 것이어서 큰 차이가 있다.
J.M. 쿳시는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시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그리고 도발적인—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폴란드인』에서 특유의 통찰력과 날카로운 위트를 갖고 불가사의한 로맨스의 본질을 드러낸다. 최고의 소설에서 만나는 다양한 감동의 순간을 환기하는 잊을 수 없는 작품이다.
영어로 쓰였지만 스페인어로 먼저 출간쿳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프리칸스어가 모국어이지만 영어로 글을 써와 영어권 소설가로 분류된다. 『폴란드인』도 원래 영어로 쓰였으나 2022년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아르헨티나에서 영어권보다 1년 먼저 출간되었다. 그는 헤이문학축제에서 그 이유를 이렇게 밝혔다.
“나는 영어가 세계를 점령하는 방식이 싫습니다. 나는 그것이 발을 딛는 곳마다 소수의 언어를 으스러뜨리는 방식이 싫습니다. 나는 그것이 세계적이라는 주장, 즉 세상이 영어로 정확하게 반영된다는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 싫습니다. 나는 이 상황이 영어 원어민들에게 조성하는 오만함이 싫습니다. 따라서 나는 영어의 주도권에 저항하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것을 하는 것입니다.”
진지하면서도 재미있는 연애 소설
바다 밑에서 아프로디테 여신상을 발견한 듯한 만남진지하게 사유하는 작가 J.M.(존 맥스웰) 쿳시가 예외적인 연애 소설을 썼다. 『폴란드인』에서는 인간의 영원한 주제인 사랑의 진실을 속속들이 파헤친다. 진지하면서도 재미있고, 사유의 깊이가 남다르다.
쿳시는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그 안에 심오한 깨달음을 담는다. 그는 59세 때 발표한 대작 『추락』에서 사유의 절정을 보여주었는데 이후 발표한 『엘리자베스 코스텔로』 『예수의 죽음』 같은 작품을 통해서 더욱 다채롭고 깊이 있는 예술세계를 보여주었다. 여성의 시각으로 그려낸 경장편인 『폴란드인』도 그 연장선에 있다. 단테와 베아트리체, 쇼팽과 상드의 사랑 이야기가 바탕에 깔린 이 소설에서 쿳시는 중년 여성과 폴란드 피아니스트의 관계를 사유의 대상으로 정했다.
쇼팽의 곡을 연주하기 위해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찾은 폴란드인 피아니스트가 연주회 주최자로서 자신을 맞이한 여성을 만난 뒤 일방적으로 사랑에 빠진다. 그녀는 섹시하지도 않고(젊어서는 그랬을 수 있지만) 중년이 됐으며, 단지 키가 크고 우아하며, 풍만한 입술이 두드러지는 낮은 콘트랄토 목소리에 편안한 매력이 있는 여성이다. 첫 만남 이후 비톨트는 서툰 영어로 자신의 마음을 베아트리스에게 전달하는데, 그것이 한계에 이르자 언어 대신 예술에 기대려 한다. 그는 자신이 직접 연주한 쇼팽의 b단조 소나타 오디오 파일을 베아트리스에게 보낸다. 또 브라질로 함께 도피 여행을 떠나자고 한다거나, 이메일로 구애하는 말들을 써서 보내기도 한다. 처음에는 이 낯선 상황을 거부하던 베아트리스는 연민의 감정으로 조금씩 마음의 자리를 내준다. 그녀는 가족의 별장이 있는 휴양섬 마요르카의 소예르로 그를 초대해 일주일을 같이 보내게 된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베아트리스는 현실적 판단으로 피아니스트에게 냉정하게 이별을 통고한다.
비톨트는 베아트리스의 영혼을 사랑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폴란드로 돌아가서 음악을 버리고 모국어인 폴란드어로 시를 쓰기 시작한다. 남자는 자신이 그녀를 사랑한다는 사실을 증명해 보이고 싶었기 때문에 시를 썼다. 그 시들을 통해 무덤 너머에서 그녀에게 구애해서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고 그녀의 가슴에 자신을 살아있게 하고 싶었다. 시에서 그는 잠수부가 바다 밑으로 잠수해 들어가 아프로디테 여신상을 우연히 발견하는 이야기로 베아트리스와의 만남을 묘사한다. 자신의 사적 인연을 인류사에 길이 남을 환상적 사건과 연결시키고 있다. 어떤 언어로도 비톨트의 진심은 통할 것 같지 않았지만, 번역가가 번역해준 폴란드어로 쓰인 시를 읽으며 베아트리스는 비로소 마음의 빗장을 푼다.
작가의 작법이 등장하는 독특한 소설이 책의 서술 방식은 독특하다. 작가의 작법이 소설에 등장한다. 쿳시는 첫 문장부터 소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소설 자체를 탈신비화하며 이야기를 펼쳐나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작가는 일종의 메타소설이자 포스트모던 소설 작법을 보여준다. 아래는 번역자인 왕은철 문학평론가의 해설이다.
독자는 번호가 붙은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신이 읽고 있는 것이 전적으로 인위적인 구성물이라는 것을 의식하게 된다. 첫 문장에는 1이라는 숫자 다음에 “여자가 먼저 그를 곤란하게 만들고, 이어서 곧 남자가 그렇게 한다.”라고 적혀 있다. 여기에 나오는 ‘그’는 작가이자 화자다. 소설을 구상하고 쓰기 시작하는 작가를 상상해보라. 작가는 여자를 먼저 떠올리고 이어서 남자를 떠올리는 모양이다. 소설은 이런 식으로 시작하여 거기에 살이 붙는다. 조금 더 건너뛰어 4번으로 가면 이렇게 되어 있다. “그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키가 큰 폴란드 피아니스트와 걸음걸이가 편안해 보이는 우아한 여자이면서 좋은 일을 하며 나날을 보내는 은행가의 아내. 그들은 안으로 들여보내거나 물리치거나 쉬게 해달라며 일 년 내내 문을 두드리고 있다. 마침내 그들의 시간이 온 것일까?”
*표지 그림은 동양화가 정지연의 작품이다.
풍경화 가운데 돌출된 골드바는 자연 속에 들어있는 변하지 않는 진리를 상징한다. 주인공 비톨트가 평생을 존재 이유로 바쳐온 피아노 건반을 상징하기도 한다.
처음에 그는 여자가 누구인지 아주 명확히 알고 있다. 그녀는 키가 크고 우아하다. 일반적인 척도에서 보면 미녀는 아닐지 모르지만, 검은 머리와 눈, 높은 광대뼈, 풍만한 입술이 두드러지고 낮은 콘트랄토 목소리에는 편안한 매력이 있다. 섹시하냐고? 아니, 섹시하지는 않다. 더더욱 유혹적이지는 않다. 젊었을 때는 섹시했을지 모른다. 저런 용모에 어찌 그러지 않을 수 있으랴? 그러나 사십 대가 된 그녀에게는 쌀쌀함이 감돈다. 걷는 방식이 독특하다. 엉덩이를 흔들지 않고 곧고 거의 당당한 자세로 마루 위를 미끄러지듯 걷는 모습이 특히 그렇다.
에스터가 말한다. “당신은 어떤가요? 당신도 그처럼 젊었을 때는 당신의 나라에서 불행했나요?” 폴란드인, 즉 비톨트는 그의 불행한 조국에서 사는 것이 어떠한 것이었으며, 퇴폐적이지만 자극적인 서구로 도망치고 싶어 했던 것에 대해 얘기할 기회지만, 그 기회를 잡지 않는다. “행복이 가장 중요한…… 가장 중요한 감정은 아닙니다. 누구라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그가 말한다. 누구라도 행복할 수 있지만, 불행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나처럼 특별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는 듣는 이들이 이렇게 해석해주기를 바라는 걸까?
작가 소개
지은이 : J. M. 쿳시
매력적인 예술세계를 탄탄히 구축한 위대한 작가 J. M. 쿳시는 노벨문학상(2003년)과 세계 최초의 부커상 2회 수상이라는 진기록을 갖고 있다.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그는 사유의 폭과 깊이에서 거의 독보적인 작가이다. 2023년 펴낸 『폴란드인』에서 그는 맹목적 사랑과 연민, 삶과 죽음, 사랑과 예술에 관한 자신의 사유를 흥미롭게 펼쳐놓았다. 단테와 베아트리체, 쇼팽과 상드의 사랑 이야기가 바탕에 깔린 이 소설에서 주인공 베아트리스와 비톨트는 스페인의 휴양섬 마요르카에서 거부할 수 없는 삶의 일탈에 빠진다. 남성 중심이 아니라 여성의 시각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저자는 영어의 패권주의에 저항하는 의미로 이 소설을 스페인어로 먼저 출간했다. 쿳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 태어나 케이프타운대학에서 영문학과 수학을 전공했고, 영국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하기도 했다. 미국 텍사스주립대(오스틴)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주립대(버팔로) 영문과 교수가 되었다. 이어 1972년부터 2001년까지 케이프타운대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그를 세계적 작가로 부상하게 만든 『야만인을 기다리며』, 1983년 첫 부커상을 안겨준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두 번째 부커상을 안겨준 『추락』, 자전 삼부작 『시골적인 삶의 풍경』 등을 포함해 수많은 문제작을 펴냈다. 학자로서도 뛰어나 『백인의 글쓰기』, 『검열에 관하여』, 『이중 시점』 등 명저를 남겼다.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 앞에서 아프리카너(네덜란드계 백인)로서의 정체성에 관한 운명적 혼란과 식민주의자들의 원죄 의식을 형상화했고, 현실의 부조리를 미니멀리즘적 접근 방식으로 보여줘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2002년 호주로 이주해 애들레이드에서 살고 있다.쿳시의 소설 『추락』 『엘리자베스 코스텔로』 『페테르부르크의 대가』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야만인을 기다리며』 『나라의 심장부에서』 『어느 운 나쁜 해의 일기』 『포』 『예수 3부작』쿳시의 논픽션The Good Story: Exchanges on Truth, Fiction and Psychotherapy(with Arabella Kurtz)Here and Now: Letters 2008~2011 (with Paul Auster)Inner Workings: Literary Essays 2000~2005The Nobel Lecture in Literature, 2003Stranger Shores: Literary Essays 1986~1999Giving Offense: Essays on CensorshipDoubling the Point: Essays and InterviewsWhite Writing: On the Culture of Letters in South Af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