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우상수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다. 단국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독일언어학을 전공해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전임연구원으로서 특정 질병을 체험한 환자의 이야기를 인터뷰하고 분석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말하기와 글쓰기, 의료 커뮤니케이션, 언어정책, 질적 연구방법론 등의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의사와 환자의 대화>(2008, 공역), <중병진단 통보 대화>(2009), <전문가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2012, 공역) 등 다수의 역서와 논문이 있다.
지은이 : 한성일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다. 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국어학을 전공해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표현교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유머텍스트의 원리와 언어학적 분석”이라는 제목의 박사학위논문을 쓴 이후, 여러 편의 논문과 저서를 통해 유머를 언어학의 연구 대상으로 끌어올리고자 노력했다. 가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어학 전반에 대해 강의했다. 지금은 스피치와 토론, 대화와 토론 등의 과목을 가르치면서 연구 영역을 말하기와 소통 그리고 인간관계로 넓혀 가고 있다. 『유머 위트의 모든 것-웃으면서 성공하기』(공저, 2008), 『텍스트 분석의 실제』(공저, 2003)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지은이 : 이상철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교수전 한국수사학회·한국소통학회 학회장
지은이 : 신동진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회장
지은이 : 심흥식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겸임교수
지은이 : 김동규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소통인문학자 겸 AI융합공학자
지은이 : 전영란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지은이 : 이명선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머리말
PART 01
AGI 시대의 도래와 스피치 토론 교육의 혁신: 창의적 소통과 설득의 미래
이상철, 신동진, 심흥식
1 인공지능, 새로운 현실
2 인간과 AI 간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
3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발전과 사회 변동
4 생성형 AI 시대의 스피치 토론 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
5 스피치 교수들은 무엇을 할 것인가: AGI 시대에 대비한 스피치 토론 교육
6 모든 것은 말하기에서 출발한다: AI 리터러시와 파토스를 강화한 스피치 토론 교육을 향하여
PART 02
〈스피치와 토론〉 교수님들을 위한 AI 활용법 교육: 챗GPT 활용 전략
김동규
1 대학 공적 말하기 수업에 AI 활용이 필요한 이유
2 대학 공적 말하기 수업에 AI 활용하는 법: 챗GPT
3 〈스피치와 토론〉 교수를 위한 AI 활용법 교육 소감
PART 03
AI 시대 〈스피치와 토론〉 수업의 나아갈 방향: 인간적 소통과 AI의 협력
한성일
1 AI와의 첫 만남: 변화의 시작
2 AI 시대, 스피치와 토론의 변화
3 인간 소통의 미래와 AI의 협력
PART 04
AI 시대의 공적 말하기 교육: 교육 혁신과 ‘객관성의 주관화’
우상수
1 생성형 AI와의 만남 그리고 동행할 결심
2 공적 말하기 교육과 AI
3 공적 말하기 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전망
PART 05
AI와 〈스피치와 토론〉의 조응: 디지털 시대 소통과 교육의 새로운 지평
전영란
1 AI와 첫 만남
2 AI 경험
3 AI 전망
ART 06
AI, 윤리 그리고 스피치와 토론: 기술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탐구
이명선
1 변화의 확장: AI, 윤리, 스피치, 그리고 토론
2 AI 윤리 시대의 스피치와 토론에 대한 이해
3 AI 윤리 그리고 스피치와 토론에 대한 전망
PART 07
〈스피치와 토론〉에서 AI 활용에 대한 대담과 설문: 〈스피치와 토론〉 교수들과 학생들
대담 1 대학 인문교양 교수로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만나기 전의 견해와 소감
대담 2 대학 인문교양 교수들이 생성형 AI를 사용해본 이후의 소감
대담 3 대학 인문교양 교수들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찬반 여부
대담 4 대학 인문교육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할 때 교수의 역할
대담 5 AI 시대에 공적 말하기가 갖는 중요성, 필요성, 그리고 역할은?
설문 AI 기반 〈스피치와 토론〉 강좌 수강생의 AI 융합 강좌 체감도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