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15만 명이 구독하는 휴먼스오브서울의 편집장이
길에서 인터뷰를 청하며 배운 것들
“서로를 궁금해하면 서로에게 더 친절해질 수 있다”
말 더듬는 인터뷰어 정두현의 첫 산문집
“우리 모두가 ‘완벽하지 않음’을 이유로 주저했던 순간에 따뜻한 위로와 용기를 건넨다.”
이승희 추천사(브랜드 마케터, 《기록의 쓸모》 저자)
“예측 불가능한 ‘사건들’을 ‘이야기’로 엮어 낼 수 있다면, 우리는 결코 자신을 잃지 않을 것이다.”
최혜진 추천사(에디터, 《에디토리얼 씽킹》 저자)
“오직 그만이 풀어낼 수 있는 이야기가 차분히 마음속 깊이 스며든다.”
정성균 추천사(휴먼스오브서울 초대 편집장)
‘말 더듬는 인터뷰어’ 정두현의 첫 산문집. 정두현 작가는 휴먼스오브서울(Humans of Seoul)에서 인터뷰어로 활동하고 있다. 휴먼스오브서울은 휴먼스오브뉴욕에 영감을 받아 2013년에 만들어진 길거리 인터뷰 팀으로, 지금까지 1,600여 편의 인터뷰를 발행했다. 이 팀의 SNS 팔로워는 15만 명이다.
말더듬증을 앓고 있는 정두현 작가는 길에서 수많은 거절을 맞닥뜨리면서도, 말을 더듬거리는 순간에 직면하면서도, “시간 좀 내주실 수 있을까요?” 하고 사람들에게 묻는다. 자신이 질문하지 않았다면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이야기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길거리 인터뷰어로 활동하는 10년 동안 그는 서로를 궁금해하는 시간이 쌓이면 서로에게 더 친절해질 수 있다는 걸 배웠다.
차가워 보이는 사람도 그 안에 이야기를 품고 있다고 생각하면
세상이 조금 따뜻해진다.
어린 시절 형의 죽음은 정두현 작가에게 ‘말 더듬’이라는 흔적을 남겼다. 어른이 되면 괜찮아질 거라고 믿었지만 학예회에서도, 대입 수험장에서도, 입사 면접에서도 말 더듬은 떨어지지 않았다. 말 더듬이 자신의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을 모두 망칠 것 같아 불안했지만 다행히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는 말 더듬에 매몰되지 않았다. ‘말 더듬는 인터뷰어’가 됐기 때문이다.
10년 전 취업준비생 시절 그는 “편견 없이 남의 말을 들어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습니다”라는 모집공고를 보고 휴먼스오브서울에 지원했다. ㅋ 발음이 어려워 콜드브루를 마시고 싶어도 아메리카노를 주문하고, 발표할 일이 생기면 “저는 좀 빼 주세요”라고 말하는 그였지만 인터뷰어일 때는 달랐다. “저한테는 쓸 만한 이야기가 하나도 없어요”라고 말하는 사람에게 그는 말한다.
“저 한번 믿어 보세요. 저랑 얘기 나누다 보면 스스로도 놀라실 거예요. 아, 나한테 이런 이야기가 있었네, 하고요.” 《말 더더더듬는 사람》 <특별한 이야기의 기준>에서
길에서 수백 명을 인터뷰한 사람으로서 그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한 가지는 모두가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는 것이다. 겉모습만 봐서는 결코 알 수 없는 자신만의 고유한 이야기를.
길에서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청하며 정두현 작가는 겉으로 드러나는 말 더듬이 자신의 전부가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었다. 거리는 모든 예측이 빗나가는 현장이었다. 평범해 보이던 사람이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고, 칼같이 거절할 것 같던 사람이 순식간에 세상 가장 푸근한 얼굴을 보이기도 했다.
일단 인터뷰가 시작되면 그 사람이 내가 겉모습으로 판단했던 것과 다른 사람이라는 걸 알게 된다. 그게 나는 재밌다. 예상이 빗나갈수록 짜릿하다. 세상에 뻔한 건 없고 내일은 오늘과 다른 이야기가 펼쳐질 거란 기대까지 든다. 《말 더더더듬는 사람》 <프롤로그>에서
70만 명이 지켜보는 브랜드 마케터,
자신의 고유함을 있는 그대로
이런 생각이 길거리 인터뷰에서만 통하는 그저 낭만적인 이야기일 뿐일까. 정두현 작가는 현재 AI 영어교육 회사 스픽에서 브랜드 마케터로 일한다. 스픽의 SNS 담당자인 그는 기업 계정도 같은 믿음으로 운영한다. 말더듬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까지 밝힌 것은 아니지만 기업 계정에 말을 잘 못해서 걱정이라는 하소연도 서슴지 않는다. 스픽의 브랜드 마케터로서 그의 활동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관심을 모았다. ‘다시 광고하고 싶다’고 밝힌 이효리에게 인스타그램 댓글을 보낸 사람도(결국 이 댓글이 이효리가 스픽의 첫 TV 광고 모델이 되는 계기가 됐다), 스레드(Thread)가 서비스를 시작하자마자 계정을 개설해 ‘대표님 허락 안 받고 걍 시작한 계정’이라는 콘셉트로 발빠르게 팔로워수 10만에 도달한 장본인도, ‘SNS 운영의 교과서’라는 수식어와 함께 거론되는 브랜드 마케터도 정두현 작가다. 마음에 없는 얘기를 할 때 말 더듬이 심해진다는 그는 기업의 마케터로 발화할 때 사회적 가면을 쓰는 대신 자기다움을 이어 간다.
길거리 인터뷰어로 활동한 10년은 정두현 작가에게 내가 나여도, 말 더듬는 인터뷰어여도 괜찮다는 걸 알게 해 준 시간이었다. 장애를 가진 사람도, 얼굴에 큰 상처가 있는 사람도, 청소 노동자도, 노인도 인터뷰를 시작하면 이전과는 다른 사람으로 느껴졌다. 정두현 작가는 그들에게서 감동과 고유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낯선 사람에게 말을 건넸기에 얻을 수 있는 행운이었다.
《말 더더더듬는 사람》에서 그는 한눈에 다 알겠다고 생각하면 만날 수 없는 소중한 것들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니 서로가 서로를 궁금해하자고, 서로에게 질문을 하자고 권한다. 알고 싶은 사람이 많은 세상은 조금 더 반짝거린다고 말이다. 사람을 믿을 용기가 선뜻 나지 않는 독자들에게, 나다운 게 무엇인지 혼란스러운 독자들에게 《말 더더더듬는 사람》을 추천한다.

이 책은 말 더듬과 수다스러움이 맞붙는 전투를 수없이 치르며 살아온 나의 분투기다. 겉으로 드러나는 어떤 특징 때문에 쉽게 규정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또한 이 책은 독자 여러분을 향한 하나의 질문이다. 어떤 자세로 타인을 대할 것인가, 하는. 더 많은 사람들이 타인의 이야기에 귀 기울였으면 좋겠다. 겉모습만으로는 알 수 없는 무언가가 타인에게 있다고 믿어 보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10년 차 길거리 인터뷰어로서 확신할 수 있는 한 가지는, 그런 선택을 하면 세상이 좀 더 따뜻해 보일 거라는 점이다. <프롤로그>
사람은 나이를 먹고 경험을 쌓으면서 어떤 현상이나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짚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나는 죽도록 비본질만 붙잡는 인간이 되어 갔다. A라는 문제를 풀기 위해 논의하는 자리인데도 그저 말 더듬 없이 대화를 끝내기를 목표로 삼았다. 그렇게 계속 헤매는데 학교에서는, 취업 시장에서는 날마다 더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라고, 의견도 내라고 버겁게 나를 다그쳤다. <리스너는 말을 더듬어도 괜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