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나라 초 · 중 · 고등학교에 나오는 189개 고사성어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직접 쓸 수 있게 편집했다. 초·중·고 학생들의 교과 학습은 물론 어휘력, 문해력, 독서력 증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며, 또한 ‘인문고사성어지도사(교육부 인증 민간자격증)’ 취득에 대비하는 교재로도, 나아가 성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언어의 품격을 한층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1권과 2권에서는 각 ‘고사성어의 간단한 뜻풀이’, ‘고사성어가 지니는 의미’, ‘교과서 출처’, ‘원전 또는 출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고사성어 익힘책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핵심 내용을 담았다.
출판사 리뷰
고사성어는 지혜의 등불, 언어의 소금!
교과서 속 고사성어 189개를 쓰면서 익히다 보면
자기주도 학습. 리더십 훈련, 경영지혜가 저절로~!
■ 교과서에 나오는 189개 고사성어를 쓰고 익히다 보면
어느새 문해력 향상은 물론 삶의 지혜까지 배운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千里之行始於足下)”무슨 일이나 그 일의 시작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작은 실천의 힘이나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하는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거대한 성취도 결국은 작은 한 걸음에서 시작되며, 꾸준한 노력이 쌓여야 비로소 결실을 맺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독자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서 고사성어의 세계로 내딛는 첫걸음은, 단순한 어휘력 향상을 넘어서 앞으로 여러분의 삶에서 다양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정신적 지침이자, 지혜의 등불이요, 언어의 소금이 되어줄 것입니다.
-<머리말> 중에서
이번에 펴낸 《교과서에 나오는 고사성어》익힘책 전3권(1권 ㄱ ~ ㅅ, 2권 ㅅ ~ ㅎ, 3권 문제집)은 우리나라 초 · 중 · 고등학교에 나오는 189개 고사성어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직접 쓸 수 있게 편집했다. 엮은이 김광남 화순인문학교육협회 회장은 이 책의 구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먼저, 《교과서에 나오는 고사성어 익힘책》은 《알고 쓰자 고사성어》(도서출판 창해, 김영수 지음)의 실용서임을 독자분들께 알려드립니다. 이 책은 초 ·중·고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초·중·고 학생들의 교과 학습은 물론 어휘력, 문해력, 독서력 증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며, 또한 ‘인문고사성어지도사(교육부 인증 민간자격증)’ 취득에 대비하는 교재로도, 나아가 성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언어의 품격을 한층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1권과 2권에서는 각 ‘고사성어의 간단한 뜻풀이’, ‘고사성어가 지니는 의미’, ‘교과서 출처’, ‘원전 또는 출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고사성어 익힘책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핵심 내용을 담았습니다.
또한 독자들이 고사성어 의미를 되새기며 필사하면서 한 번 더 생각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쓰기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했습니다. 더 나아가 ‘심화학습’을 통해 실제 생활에서 고사성어를 어떻게 시의적절하게 사용할지를 생각하고, 작문하고, 말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고사성어가 단순한 학습 대상이 아니라 재미있고 흥미로운 탐구 대상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3권에서는 전문 교수님들이 출제한 고사성어 ‘익힘문제’, 그중에서 양질의 문제들을 엄 선하여 재구성한 ‘연습문제’, 그리고 화순인문학교육협회, 한국사마천학회 인문고사성어교육연구소가 개최한 2024년 ‘제1회 화순군 청소년 고사성어 경연대회’의 지필고사 및 골든벨 대회에서 실제 출제된 ‘기출문제’를 담아서, 독자들이 다양한 문제 풀이를 통한 학습점검 및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고사성어는 그냥 단순한 옛말이 아닙니다. 그것은 오랜 세월 동안 전해 내려오며 사람들 의 삶 속에서 축적된 지혜의 결정체입니다. 시대가 변해도 변하지 않는 삶의 원칙과 교훈이 담겨 있으며,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줍니다.
하여(何如) , 고사성어를 배우고 익히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단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여러분도 이 책을 통해 고사성어의 세계로 한 걸음씩 정진하면서 그 속에 숨겨진 가치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21세기는 너무 편리한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해 쓰기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쓰기는 잠재된 능력을 일깨우는 마법의 열쇠라 할 수 있다. 공부를 잘하고 싶은 사람이거나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싶은 분,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고자 하는 분이라면 고사성어를 익혀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 이 책에 나오는 189개의 고사성어만 익혀도 충분하다고 하겠다. 특히 고사성어는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성인들에게는 인문교양 향상에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번에, 화순인문학교육협회 김광남 회장께서 초 · 중 · 고 교과서에 수록된 고사성어 189 항목을 모아 익힘책을 만들었습니다. 뜻깊은 고사성어 189개의 뜻풀이, 의미, 출처, 중국어 발음 등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특히, 손으로 직접 써볼 수 있는 칸을 만들어 독자들이 고사성어의 뜻과 의미를 생각하면서 직접 써볼 수 있게 배려했습니다.
여기에 심화학습 칸과 해당 고사성어를 어디에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까지 마련했습니다. 독자들은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손으로 직접 써보면서 각각의 고사성어들이 갖고 있는 의미와 좋은 정보를 얻어 갈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심화학습(Deep Learning)을 통해 각각의 고사성어에 들어 있는 흥미롭고 유익한 옛이야기, 즉 고사(故事)를 찾아서 공부하기를 권합니다.”
- 김영수 교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 <추천사> 중에서
목차
추천사 1 _ 이 익힘책은 그런 인문 정신으로 가는 첫걸음(김영수)
추천사 2 _ 고사성어 학습의 첫걸음은 그 의미를 이해하고 삶 속에서 활용하는 것
(박영하)
추천사 3 _ 어렵게만 느껴지는 한자를 보다 ‘쉽고 재밌게’ 접근시킨 책(양현승)
머리말 _ 책을 펴내며
001.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002. 감언이설(甘言利說)
003. 개과천선(改過遷善)
004. 거어고미(去語固美), 내어방호(來語方好)
005. 견강부회(牽强附會)
006. 견물생심(見物生心)
007. 결자해지(結者解之)
008. 결초보은(結草報恩)
009. 경거망동(輕擧妄動)
010. 계포일낙(季布一諾)
011. 고군분투(孤軍奮鬪)
012. 고식지계(姑息之計)
013. 고장난명(孤掌難鳴)
014. 고진감래(苦盡甘來)
015. 공문십철(孔門十哲)
016. 공중누각(空中樓閣)
017. 과유불급(過猶不及)
018. 관포지교(管鮑之交)
019. 광음여류(光陰如流)
020. 교각살우(矯角殺牛)
021. 교우이신(交友以信)
022. 교학상장(敎學相長)
023. 구상유취(口尙乳臭)
024. 국사무쌍(國士無雙)
025 군계일학(群鷄一鶴)
026. 권선징악(勸善懲惡)
027. 금란지계(金蘭之契)
028. 금시초문(今時初聞)
029. 금의야행(錦衣夜行)
030. 기고만장(氣高萬丈)
031. 난공불락(難攻不落)
032. 난형난제(難兄難弟)
033. 낭중지추(囊中之錐)
034. 노심초사(勞心焦思)
035. 농부아사(農夫餓死), 침궐종자(枕厥種子)
036. 누란지위(累卵之危)
037. 다다익선(多多益善)
038. 다재다능(多才多能)
039. 다정다감(多情多感)
040. 단기지계(斷機之戒)
041. 담호호지(談虎虎至), 담인인지(談人人至)
042. 당랑거철(螳螂拒轍)
043. 대기만성(大器晩成)
044. 대의명분(大義名分)
045. 도원결의(桃園結義)
046. 독목불성림(獨木不成林)
047. 동가홍상(同價紅裳)
048. 동고동락(同苦同樂)
049. 동문서답(東問西答)
050. 동병상련(同病相憐)
051. 동분서주(東奔西走)
052. 동상이몽(同床異夢)
053. 등용문(登龍門)
054. 등하불명(燈下不明)
055. 마이동풍(馬耳東風)
056. 마행처(馬行處), 우역거(牛亦去)
057. 막상막하(莫上莫下)
058. 맹모삼천(孟母三遷)
059. 명실상부(名實相符)
060. 명재경각(命在頃刻)
061. 모수자천(毛遂自薦)
062. 목불식정(目不識丁)
063. 무아도취(無我陶醉)
064. 무용지물(無用之物)
065. 문일지십(聞一知十)
066. 미풍양속(美風良俗)
067. 박장대소(拍掌大笑)
068. 박학다식(博學多識)
069. 반구저기(反求諸己)
070. 반신반의(半信半疑)
071. 발분망식(發憤忘食)
072. 배수지진(背水之陣)
073. 백골난망(白骨難忘)
074.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075. 백아절현(伯牙絶絃)
076. 백절불굴(百折不屈)
077. 부자자효(父慈子孝)
078. 부지기수(不知其數)
079. 부화뇌동(附和雷同)
080. 분골쇄신(粉骨碎身)
081. 비일비재(非一非再)
082. 사리사욕(私利私慾)
083. 사면초가(四面楚歌)
084. 사문난적(斯文亂賊)
085. 사상누각(砂上樓閣)
086. 사생결단(死生決斷)
087. 사생취의(捨生取義)
088. 사통팔달(四通八達)
089. 사필귀정(事必歸正)
090. 산전수전(山戰水戰)
091. 살신성인(殺身成仁)
092. 삼고초려(三顧草廬)
093. 삼성오신(三省吾身)
094. 삼인성호(三人成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