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단순히 기록한 책이 아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가치를 되새기는 한편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그동안 우리가 걸어온 길, 그리고 민주주의가 무너진 시대에 다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필자들의 깊은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12·3 내란사태를 되돌아보며 우리가 그동안 민주주의를 어떻게 쟁취했는지, 그 과정에서 겪었던 아픔과 고통이 무엇이었으며, 그 속에서 어떤 희망을 찾아내야 하는지에 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한겨레에 실렸던 ‘좋은 문장’을 바탕으로 100여일의 시간들을 생생하게 그려내며, 민주주의가 시민들의 목소리와 참여로 이루어지는 살아 있는 역사임을 일깨워준다. 한겨레 기자들 뿐만 아니라 강수돌, 권김현영, 김누리, 신진욱, 홍성수 등의 학자들, 이기호, 정끝별 등의 문인들이 직접 쓴 글 가운데 천천히 곱씹어볼만한 문장들만 특별히 추렸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 풀리지 않는 여러 가지 질문이 우리의 머릿속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하루 10분씩 이 책의 문장을 직접 따라 써보는 글쓰기를 통해 그 답을 찾아나갈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 글쓴이 서평필사(筆寫)를 위한 이 책은 필사(必死)적인 마음을 담아 만들었습니다. 여느 필사책과는 조금 다릅니다. 좋은 문장, 좋은 글쓰기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필사적으로’ 지켜야 할 소중한 가치, 특별한 시선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2024년 12월 3일 그날 밤 이후, 100여일의 시간을 차곡차곡 모았습니다. 그 시간 동안 한겨레에 기록한 문장이 책의 밑바탕입니다. 기사는 ‘역사의 초고’입니다. 책임지지 않는 권력자의 말, 헌법과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말들 대신에 우리가 오래도록 기억해야 할 고갱이만 추렸어요. 금방 사라져버릴 속보 대신에 우리가 필사적으로 지키고자 했던 민주주의와 관련한 글만 따로 발췌했습니다.
따라 쓰기에 좋은 문장들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눴습니다. 민주주의에 대한 사유를 확장하기에 적합한 문장들은 1부 ‘사유의 세계를 다시 만나다’에 묶었습니다. 법학, 사회학, 정치학 등을 아우르는 명쾌한 분석을 따라가다 보면, 나만의 생각이 정리되어 더 단단해질 것입니다. 광장에서 서로에게 건넨 연대와 따뜻한 위로의 언어는 2부 ‘마음속 문장을 기억하다’에서 곱씹어보세요. 소설가, 시인, 기자들의 감수성 가득한 문장을 오래도록 간직하시길 바랍니다. 2024년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윤석열 구속·석방, 헌법재판소 탄핵심판까지 긴박했던 순간은 3부 ‘역사적 순간을 기록하다’에 담았습니다.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잊힙니다. 그리고 반복됩니다. 두고두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책의 뒷부분에는 <12·3 내란, 진실과 거짓> 연재 기사를 부록 형식으로 실었습니다. 광장에 나온 형형색색의 응원봉, 남태령을 지킨 ‘인간 키세스’, 단독 촬영한 윤석열 뒷모습 사진, 호외와 특별판으로 발행된 한겨레신문 1면 이미지 등도 추가했습니다. 자신의 글을 써보는 노트도 있어요.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절박한 마음을 담아 글을 쓰고, 또 필사책에 싣는 것까지 흔쾌히 허락해주신 필자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권력자가 법치의 숨통을 끊어놨지만, 시민들은 죽어가던 법에 다시 숨결을 불어넣은 것이다. - 홍성수 숙명여대 법학부 교수
문제는 윤석열 개인이 아니다. 윤석열은 한국 사회에서의 예외적 현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보편적 현상에 가깝다. 특히 한국 사회의 지배 엘리트는 대다수가 ‘또 다른 윤석열’이다. - 김누리 중앙대 교수
작가 소개
지은이 : 한겨레신문
세계 유일 국민주 신문1980년대 암담했던 군사 독재 정권 아래 한겨레의 탄생은 새로운 희망이었습니다.민주주의를 갈망하던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창간주주 2만7천여명이 창간기금 50억원을 모아 1988년 한겨레신문을 창간했습니다. 자유언론수호 투쟁에 앞장섰던 해직 기자들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언론, 한겨레를 세상에 선보였습니다.
목차
008 / 여는 글
1부. 사유의 세계를 다시 만나다
012 / 비상계엄, ‘예외 상태’의 선포
014 / 자유의 적에게 줄 자유는 없다
016 / 민주주의의 ‘거대한 뿌리’
018 / 언제든 독재로 회귀 가능한 사회
020 / 우리의 피를 타고 흐르는 결속의 힘
022 / 이 내란은 언제 끝나는가
024 / 올해의 단어 ‘민주시민’
026 / 민주주의 뿌리째 흔드는 ‘음모론’
028 / 법의 주인은 누구인가
030 / 항명이여, 만세
032 / 우리에게 필요한 건 ‘강한’ 민주주의
034 / 중요한 건, 저항의 ‘진심’
036 /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038 / ‘전투적 민주주의’가 필요한 때
040 /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042 / 왜 광장에 나오셨나요
044 / 내란을 내란이라 부르지 못하는∙∙
046 /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048 /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개소리’
050 / 기록하고, 지우고, 다시 쓰고∙∙∙ 쓰는 자의 힘
052 / 기억하지 못하면 계엄은 성공이다
054 / 우리 시대 리더는 어떠해야 하는가
056 / “시대가 쇠퇴할 때 모든 경험은 주관적이다”
058 / 검찰은 윤석열이다, 둘은 ‘민주공화국의 적’이다.
060 / 민주주의는 겸손을 먹고 산다
062 / 집단의 폭주
064 / 거짓말이었다
066 / 다시 한번 ‘민주주의의 승리’를 기약할 순간
2부. 마음속 문장을 기억하다
078 /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080 / 새봄의 민주주의는 그대처럼 밝고 생기 있길
082 /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으로 남는다는 것
084 / 우리가 응원봉을 흔드는 이유
086 / 87년 체제의 파국∙∙∙응원봉이 내는 길
088 / 거리에 피어난, 여기 꺾을 수 없는 꽃들이 있다
090 / 분노의 큐시트
092 / 우리를 보며 깨달은 것
094 / 거짓말과 가면은 ‘가다오 나가다오’
096 / 비통해도, 주먹밥을 쥔다
098 / 카뮈의 태양, 부조리에 맞서 뜨고 지는
100 / 경의심에 가득 찬, 반짝이는 순간
102 / 이 ‘괴담’을 뚫고 우리는 더 나은 사람이 되어
104 / 민주공화국의 적들은 반성하지 않는다
106 / 자, 분해의 시간이다
108 / 왓츠 인 마이 시위백
110 / 이처럼 사소한 것들
112 / 부끄러움을 가르치는 학원이 필요하다
114 / 뉴스를 보고 싶지 않은 ‘나’에게
116 / 달집과 계엄령
118 / 거리낌 없이 사랑할 수 있는 힘
120 /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122 / 나는 싸울 것이다
124 / 숨결
126 / 불타는 망루를 기억하는 이유
128 / 무지(無知)보다 더 무서운 건 막지(莫知)예요
3부. 역사의 순간을 기록하다
140 / 여야 만장일치로 ‘비상계엄 선포 무효’
142 / 이성 잃은 비상계엄, 국민에 대한 반역이다
144 / 다시 민주주의의 시간이다!
146 / 요건 못 갖춘 계엄령 선포
148 / 한강 작가가 말한 “진심과 용기가 느껴졌던 순간”
150 / 질문들을 견디며 사는 것
152 / 그날 본회의장 떠난 105인
154 / 시민의 힘으로 민주주의 구했다
156 / 내란 수괴 윤석열 탄핵안 가결
158 / ‘다만세’와 ‘임을 위한 행진곡’
160 / 덕분에 윤전기는 돈다
162 / 더 큰 내란을 예고한 ‘작은 내란’
164 / 우금치의 과거가 남태령의 현재를 도왔다
166 / 1970년대와 2024년이 달라진 점
168 / 민주주의 위기 ‘캄캄한 밤’ 우리를 이어준 언어의 힘
170 / 재앙 앞의 마음들
172 / 집단 우울의 시간을 건너는 법
174 / 윤석열은 도처에 있다
176 / 내란 43일만에 윤석열 체포
178 / ‘현재의 역사’를 써 내려갈 용기
180 / 한국 민주주의를 위한 예언서
182 /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184 / 기록이 쌓일수록 민주주의도 두꺼워졌다
186 / 다 적지 못한 광장의 말들
188 / ‘대선이 더 쉬워졌다’는 착각
190 / 민주주의라는 길
192 / 이건 ‘혁명에 준하는 상황’이 아니고 혁명이다
194 / 사람에서 사람으로 이어지는 민주주의
부록. 12.3 내란, 진실과 거짓
221 / 1. “두시간짜리 내란” 윤석열 주장의 허구성
232 / 2. 계엄 국무회의 ‘절차적 흠결’
237 / 3. 국회·선관위 봉쇄 해제 내막
243 / 4. 여인형 메모로 드러난 사전 모의 정황
249 / 5. 내란이 남긴 상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