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예비 보건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 태도를 익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집필된 교재다. 교직문화와 교직 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교직관을 확립하고 기초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실습이 유익하고 가치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실습일지 작성법에 대한 안내와 실질적인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실습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보건교사는 단순히 학교 내 다양한 구성원의 건강관리를 넘어, 학교 공동체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삶의 질 향상에 있어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직업입니다. 보건교사의 직무는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시민을 양성하여 국가․사회의 존속에 기여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기에 보건교사로서 첫 발을 내딛는 여러분은 실무를 접하기에 앞서 직무 수행을 위해 충분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교재는 예비 보건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 태도를 익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이 교재를 통해 여러분은 교직문화와 교직 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교직관을 확립하고 기초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교재가 간호학과에서 학습한 간호학 이론과 실제적 기능을 바탕으로 보건교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이 교재는 학교 현장실습이 유익하고 가치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습일지 작성법에 대한 안내와 실질적인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실습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교재가 학교 현장실습 및 보건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희동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성인계속교육 및 HRD 전공)현) 군산간호대학교 교수한국노년교육학회 이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이사전) 숭의여자대학교 비서행정과 교수대림대학교 국제사무행정과 겸임교수아모레퍼시픽 인사부장동부하이텍 인사과장중앙공무원 및 지방공무원 대상 역량교육 및 평가 practitioner and Assesor,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관계 기업 출강 다수
목차
PART 1 교직 기초
Chapter 01 교직사회의 이해
1.교직의 특성과 교직문화
2.학교 조직의 구성 및 운영
3.교사의 법적․윤리적 책임과 역할
4.미래사회와 교사의 전문성
5.교육 관련 기본 법령
Chapter 02 학교 운영의 실무
1.교육정보시스템 및 학교 행정
2.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3.수업 연구 및 학급 운영
4.학생평가 및 학교생활기록 관리
5.생활지도와 학교 상담
6.학교폭력의 이해
PART 2 보건교사 교직 실무의 이해
Chapter 03 보건교사로의 첫걸음
1.학교보건 관련 법령, 자치법규 및 행정규칙
2.보건교사의 직무
3.보건교사의 역할
4.다양한 사람과 협업하기
Chapter 04 보건교사의 직무 이해: 보건실 관리 및 운영
1.학생 건강 관리 및 상담
2.보건실 시설․설비 및 약품 관리
3.학교 보건 소식 안내: 보건소식지
4.기록물 작성 및 관리: 보건일지
5.기록물 작성 및 관리: 학생건강기록부
Chapter 05 보건교사의 직무 이해 : 학생 및 교직원 건강 관리
1.학생 건강검사 실시 및 결과 관리
2.질병 예방 및 의료적 처치
3.시력․구강 관리 및 생활습관병 예방
4.감염병 예방 및 대응
5.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흡연․음주 포함)
6.학생 정신건강 증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이해
Chapter 06 보건교사의 직무 이해: 요보호학생 및 응급환자 관리
1.요보호학생 파악 및 관리
2.다양한 건강문제 관리하기
3.응급상황 관리체계 구축 및 대응
Chapter 07 보건교사의 직무 이해: 보건교육 계획하기
1.학교 보건교육과정 및 보건교육계획 수립
2.2022 개정 교육과정 살펴보기
3.보건교육 운영: 교사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
4.교수․학습과정안 작성하기
Chapter 08 보건교사의 직무 이해: 보건교육 운영의 실제
1.보건교육 목적 및 영역 : 학교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
2.보건교육 주제별 교수․학습 활동(예시)
PART 3 학교 현장실습의 실제
Chapter 09 학교 현장실습의 개요
1.학교 현장실습의 목적
2.학교 현장실습 기간 및 영역
3.학교 현장실습의 내용
4.학교 현장실습 사전 활동
Chapter 10 학교 현장실습 가이드
1.현장실습으로 준비하는 교사의 역량
2.현장실습생의 태도 및 유의 사항
3.영역별 실습 참고사항
Chapter 11 학교 현장실습 일지 작성 요령 및 예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