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당시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던 스페인의 코르도바 지역에서 부유한 집안의 삼형제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이후 로마로 이주했고, 스토아 철학자인 아탈루스와 스토아주의 사상과 피타고라스주의 사상을 결합한 섹스투스(기원전 50년경 활동) 학파에 속한 소티온(서기 1세기경)과 파비아누스(서기 1세기경)에게서 수사학과 철학을 배웠다. 서기 1년경 식민지 총독으로 부임한 이모부를 따라 이집트로 간 세네카는 그곳에서 행정과 재정에 대한 경험을 쌓았고, 31년에 로마로 돌아와 재무관으로 정계에 발을 들였다. 네로 황제의 가정교사이자 조언자로서 많은 부와 권력을 누렸으며 정치가, 철학자, 작가로서 명성을 쌓았다. 말년에는 은둔하여 평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으나 네로 황제의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자결하라는 명을 받고 죽음을 맞이했다.주요 저서로는 《마르시아를 위한 위안》, 《어머니 헬비아를 위한 위안》, 《폴리비우스를 위한 위안》 등의 주변 사람들을 위로하는 위안서 ,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현명한 사람의 확고함에 관하여》, 《편익에 관하여》, 《행복에 관하여》 등의 수필, 《메데아》, 《파이드라》, 《튜에스테스》, 《휴식에 관하여》 등의 비극이 있다.
지은이 : 루키아노스
산문 작가이자 연설가, 수사학자로 로마 제국에서 태어났으며 희랍어로 글을 썼다. 출생지의 이름을 따서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로 불린다. 최초의 소설가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하며, 조너선 스위프트의『걸리버 여행기』, 아풀레이우스의『황금 당나귀』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채로운 상상력과 재치 넘치는 풍자가 담긴 많은 산문을 썼으며, 그의 이름으로 80여 편의 작품이 전한다. 대표작으로「진실한 이야기」,「죽은 자들의 대화」,「신들의 대화」등이 있다.
지은이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의 저자라는 점 외에는 확실히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대략 기원후 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활동했던 인물로 추정하며, 여러 형태로 전해지는 그의 이름을 근거로 라에르테 지역 출신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책에 언급된 것으로 미루어 그는 몇 권의 시집을 낸 시인이기도 한 것으로 보이며, 철학적으로 어떤 유파에 속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역시 책의 내용으로 봐서 플라톤과 아카데미아학파에 우호적이며 회의주의학파에 관심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열전 형식으로 기술된, 우리에게 전해진 가장 온전하고 오래된 철학사 저술인《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귀중한 문헌들을 후대에 전해 준 것은 그의 중요한 업적으로 꼽을 수 있다
지은이 : 크라테스
기원전 365년?~기원전 285년?테베 출신으로 디오게네스의 사상을 계승한 견유학파 대표 철학자다.
지은이 : 스트라본
기원전 63년?~24년?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이자 역사학자. 헬레니즘과 로마의 지리학을 집대성했다.
지은이 : 디온 크리소스토모스
40년?~115년?1~2세기에 활동한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수사학자. 본명은 디오 코케이아누스이며 뛰어난 웅변술 덕에 얻은 그의 별칭 크리소스토모스는 ‘황금의 입’이라는 뜻이다.
지은이 :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331년~363년콘스탄티누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로 361년부터 363년까지 통치했다. 철학과 문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신플라톤주의에 사로잡혀 그리스도교 대신 로마의 다신교 전통을 부흥시키려 했다.
지은이 : 테오도레토스
393년~458년?5세기 비잔틴 제국에서 활동한 키루스의 주교. 단성론에 반대하고 정통 신학을 옹호했다.
들어가는 말―2500년 전 철학이 지금 다시 소환되는 까닭은
1 개 같은 인생
2 견유학파의 육아법
3 이상적인 철학자의 전형, 데모낙스에게 바치는 헌사
4 속물처럼 살 것인가, 개 같이 살 것인가
5 아니라고 말하는 법
6 철학자의 모범, 내 친구 데메트리오스
7 너 자신을 알라
8 인도로 가는 길
9 이스트미아 제전 최고상
10 기둥 위의 수도자
주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