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여성의 내면 탐구와 성장을 위한 이론과 실천적 주제를 충실히 담은 영성학자 박정은의 여성 영성 가이드. 2016년 출간된 박정은 소피아 수녀의 책 《사려 깊은 수다》는 독자들의 입소문으로 오래 사랑을 받아 왔다. 저자가 오랫동안 여성들을 대상으로 ‘지혜의 원’ 피정을 지도한 경험을 정리하여 여성 영성을 쉽고 문학적인 언어로 안내한 책으로, 가부장적 위계질서가 지배하는 종교와 사회에서 자신의 욕구와 목소리를 잃어버린 여성들에게 영성적 성찰과 성장의 틀을 제공했다. 확대개정판으로 선보이는 《여성 영성 수업》은 《사려 깊은 수다》의 내용을 바탕으로 신비주의, 식별, 노년과 죽음 등 삶의 후반부를 아우르는 주제를 더했으며, 여성의 영적 성장 과정과 다양한 일상의 텍스트를 통해 삶을 해석하는 방법 등을 정리하여 여성의 내면 여정을 관통하는 본격 영성 교과서로 완성하였다.
출판사 리뷰
지금, 당신의 삶을 다시 읽어야 할 시간입니다.
인문학과 신학, 예술을 아우르는 시선으로
삶과 영성을 탐구해 온 영성학자 박정은 소피아 수녀의
여성 영성에 대한 충실하고 깊이 있는 입문서2016년 출간된 박정은 소피아 수녀의 책 《사려 깊은 수다》는 독자들의 입소문으로 오래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저자가 오랫동안 여성들을 대상으로 ‘지혜의 원’ 피정을 지도한 경험을 정리하여 여성 영성을 쉽고 문학적인 언어로 안내한 책으로, 가부장적 위계질서가 지배하는 종교와 사회에서 자신의 욕구와 목소리를 잃어버린 여성들에게 영성적 성찰과 성장의 틀을 제공했습니다.
확대개정판으로 선보이는 《여성 영성 수업》은 《사려 깊은 수다》의 내용을 바탕으로 신비주의, 식별, 노년과 죽음 등 삶의 후반부를 아우르는 주제를 더했으며, 여성의 영적 성장 과정과 다양한 일상의 텍스트를 통해 삶을 해석하는 방법 등을 정리하여 여성의 내면 여정을 관통하는 본격 영성 교과서로 완성하였습니다.
깨어난 감각과 사유, 이제 여성 영성의 시대가 온다
저자는 여성 여성의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합니다. 먼저 보편적 이론보다 개인이 처한 고유한 환경과 관점을 더 중시하며, 작은 감정과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인격주의(personalism)입니다. 둘째, 여성의 고통을 개인의 수치심으로 치부해 온 사회 구조를 돌아보게 하고, 숨겨진 경험을 말할 수 있게 하는 전복성입니다. 셋째, 나눔, 경청, 돌아봄을 통해 만들어지는 느슨하면서도 깊은 연대성입니다.
영성적 성찰과 연결에 대한 갈망이 깊어가는 시대, 이제 새로운 감각과 사유를 만나는 여성 영성의 장으로, 자신의 삶을 해석하고 다시 쓰는 지혜의 원으로, 더 풍성해진 사려 깊은 수다의 시간으로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내면을 탐구해야 할 이유
내면의 세계를 지닌 사람이란 결국 자기 삶을 돌아보고 살펴보는 사람으로, 그들을 일상의 철학자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찬찬히 살펴보지 않는 생unexamined life은 살 가치가 없다고까지 단언했습니다.
#욕구의 문제
자신이 가장 기쁜 순간이 언제이고, 무엇을 하고 싶고,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진정한 욕구가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것은 정말 중요한 영적 과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 욕구가 자신을 어디로 데려가는지, 그 여정이 과연 자신이 견뎌 내야 할 만큼 중요하고 불가피한 것인지 잘 식별해 보아야 합니다. 자신의 욕구를 이해하는 것은, 남의 옷을 입은 것 같은 삶의 표피를 뚫고 진정한 자기 삶을 찾아가는 과정의 시작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정은
미국 홀리네임즈 수도회 소속으로, 홀리네임즈 대학 명예교수이며, 글로벌 학습자이자 교육자이다. 버클리 신학 대학원에서 영성학과 성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국 모라비안 대학에서 현대 영성을 가르친다.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영성 강의, 피정, 영적 지도를 꾸준히 해 왔다. 한국에서는 <마음길 열다>라는 여성 영성 공부 모임과 영성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지구화된 세상에서 자주 마주하게 되는 주제들, 즉 가난, 이주, 난민, 여성에 주목하며, 글로벌한 관점에서 라캉 세미나를 10년 넘게 이끌고 있다.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영성과 관상, 수도생활에 대해 다수의 논문과 책을 집필했고, 다문화적 시각에서 토머스 머튼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어와 영어로 글을 쓰며, 저서로는 《슬픔을 위한 시간》, 《생의 기쁨》, 산문집 《내가 사랑한 계절들》(이상 옐로브릭), 《상처받은 인간다움에게: 너와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인문학》(한빛비즈)과 An Asian Woman’s Religious Journey with Thomas Merton(토머스 머튼과 함께한 한 아시아 여성의 여정), Anxiety in the Era of Uncertainty: An Interdisciplinary Reading of Lacan’s Seminars(불확실성 시대의 불안: 학제간 연구 방법으로 라캉의 세미나 읽기)를 펴냈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영성적인 에세이를 쓰며 소통한다.
목차
머리말 7
1부 이론
1. 영성이란 무엇인가 14
2. 목소리 찾기: 여성의 성장 단계 50
2부 실천
3. 삶을 해석하기 78
4. 여성과 공동체: 지혜의 원 97
5. 경청과 말하기 121
6. 여성의 몸 145
7. 감정을 다루는 법 171
3부 신비
8. 나이듦의 영성 212
9. 신비주의 245
10. 식별에 대하여 268
맺음말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