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정광우
현재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융합학부 신산업융합학과 초빙교수로 재직하며 ESG 경영과 지속가능경영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전자통신공학 석사를 마친 후 건국대학교에서 산업경영융합학부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탄탄한 공학적 기반과 경영학적 전문성을 겸비하였다.현재 ㈜파노텍 회장으로 재직하며 기업경영 현장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무를 접목한 교육과 연구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ESG 완전정복 II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기업]』을 저술하여 ESG 분야의 실무적 지식을 체계화한 바 있으며, 글로벌 성남기업인 포럼 회장, 한국지능형스마트건축물협회 부회장, 탈탄소 재생에너지위원회 위원, 환경보건교육협회 자문교수, 성남시 산업단지 재생 추진협의회 위원, 성남시 ESG 정책자문단 자문위원, 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조정위원, 성남시 혁신지원센터 경영혁신 전문위원 등 다양한 공직과 전문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학문적 성과와 사회적 기여를 인정받아 ‘국가과학발전기술 과학기술부정통부장관 표창’, ‘과학기술진흥유공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 ‘장영실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으며, ‘2025년 올해의 베스트 인물 대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1부 기후위기의 개념과 지속가능성
1장 - 기후변화
1 온실효과
1) 온실효과의 개념
2) 온실가스의 종류와 특성
3) 온실가스와 기후시스템
2 지구온난화
1) 지구온난화의 개념
2) 지구온난화의 영향
3 기후변화
1) 기후변화의 개념
2) 기후변화의 대응
3) 기후변화의 영향
2장 - 탄소중립
1 탄소중립이란?
1) 탄소중립의 배경
2) 탄소중립 개념
3) 탄소중립 실행 과정
2 탄소중립의 발전 과정
1) 초기 기후변화 인식 (1970년대~1980년대)
2) 국제 기후변화 대응 체제 수립 (1990년대)
3) 탄소중립 개념의 확산 (2000년대)
4) 파리협정과 글로벌 기후행동 (2010년대)
5) 탄소중립 주류화 (2020년대)
6)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 발전
3 탄소중립 기술 로드맵
3장 - ESG
1 ESG 개념 및 구성 요소
1) ESG의 정의 및 역할
2) ESG 각 요소의 의미
2 ESG 경영의 가치와 실제 적용 사례
1) ESG 경영의 중요성
2) ESG 성공경영 사례
4장 - 에너지 저감
1 건물 에너지 저감
1) 현황 분석
2) 기술 소개
3) 정책 및 제도
4) 사례 분석
5) 문제점과 해결방안
2 그린 IT와 ICT(인공지능) 에너지 저감
1) 그린 IT의 개념과 발전
2) 그린 기후 위기 현황과 글로벌 정책 동향
3) ICT(인공지능)의 기후 위기 대응 역할
4) 글로벌 IT 기업의 탄소중립 전략 및 그린 ICT 적용 사례
5) 그린 IT 이슈 및 트렌드
6) 그린 IT·AI 기술의 한계와 도전 과제
7) 그린 IT와 AI 기술과 미래 전망과 정책 제언
3 네가와트(n←gaWatt)
1) 개념
2) 주요 활동
3) 정책 제안
4) 에너지 교육과 시민운동
4 네가와트 지능(Intelligence)과 혁명(Revolution)
1) 네가와트 개념의 재해석
2) 네가와트 지능
3) 네가와트 혁명
5 RE100 Next: 네가와트 혁명
1) 네가와트(Negawatt)와 에너지 저감 기술 (스마트 빌딩 기술)
2) 네가와트 기반 ZEB-BEMS 통합 자동제어
3) RE100 + 에너지저감기술 + 네가와트기술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 전략
4) 네가와트 기반 ZEB·BEMS 기술을 통한 진정한 탄소중립 실현
2부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정책과 트렌드
1장 - EU의 기후정책과 ESG 대응
1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1) 탄소국경조정제도란 무엇인가?
2) EU와 우리나라의 공통점 및 차이점
3) 기후위기 대응인가 무역장벽인가?
4)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최종 입법안
2 EU 분류체계(텍소노미, Taxonomy)
1) EU 택소노미의 법적 기반과 배경
2) EU 택소노미 규정과 핵심 특징
3 EU 순환경제 정책
1) 순환경제의 개념
2) EU의 순환경제 정책
2장 - 미국의 기후정책과 ESG 대응
1 미국의 탄소중립 정책
1) 바이든의 탄소중립 정책
2) 트럼프 2.0의 탄소중립 정책
3) 주요 정책 영역별 비교 분석
4) 트럼프 2.0 탄소중립 정책 방향
2 미국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전략
1) 바이든에서 트럼프 2.0까지의 정책 연속성과 변화
2) 미국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법제화 과정
3장 - 중국
1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1) 중국의 2025년 에너지 정책과 탄소중립 전략
2) 중국의 탄소중립 3단계 로드맵
3)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과 기후변화 대응 전략
4) 중국 탄소중립 정책의 현실과 한계
2 중국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전략
4장 - 캐나다
1 캐나다의 탄소중립 정책
1) 기후 문제
2) 탄소중립 정책
2 캐나다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전략
5장 - 일본
1 일본의 탄소중립 정책
1) 일본의 그린성장전략과 탄소중립 정책
2) 산업분야 별 특징
3) 일본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 현황과 향후 전망
2 일본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전략
3부: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과 ESG 경영 사례
1장 - 국내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
1 주요 산업별 탄소중립 로드맵과 실행 사례
1)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추진전략
2) 일반산업 분야
3) 신산업 분야
4) 시사점: 향후과제
2 국내 대기업의 ESG 경영 우수 사례
1) LG에너지솔루션
2) 삼성SDI
3 중소기업의 ESG 도입 과제와 기회
1) 중견·중소기업 ESG 대응 현황 및 지원 체계
2) 국내 중소기업 현황
2장 - 글로벌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1 글로벌 기업의 RE100, EV100 참여 현황
1) 에너지 전환과 RE100
2) RE100 가입기준과 기술기준
2 탄소중립 선도 기업과 ESG 경영 우수 사례
1)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2) 애플(Apple)
3) 구글(Google)
4) 아마존(Amazon)
5) 유니레버(Unilever)
3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파트너십 사례
1) WWF(세계자연기금)과 이케아 그룹
2) 환경재단과 서울주택도시공사
4 에너지 저감과 실천 사례
1) 에너지 저감의 중요성
2) 국토교통부의 탄소중립 로드맵
3) 기후테크와 탄소중립
4) 건물 에너지 저감과 기후위기
5 탄소중립 선도 도시 사례
1) 당진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2) 제주도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3) 보령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4) 성남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6 탄소 없는 열에너지 거래 제도
1) 개념과 구성요소
2) 필요성과 장점
3) 주요국의 탈탄소 열에너지 정책 현황
4) 탄소중립 열에너지 기술 인프라와 거래 방식
에필로그: 이재명정부의 기후위기 정책과 미래 전망
1 이재명정부의 기후위기 정책
1) 실효적 탄소중립 정책 추진
2) 탄소중립 산업전환
3) RE100 전용 산업단지 및 에너지 거버넌스
2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 전망과 대응 방안
1)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의 패러다임 전환
2) 기업의 ESG 경영과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3) 미디어의 역할과 사회적 인식 확산
4) 미래 전망과 통합적 대응 방안
5)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선택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