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강은 태백산 오대산 자락에서 솟아난 한 줄기 물이 양평 두물머리를 거쳐 서해로 흘러가기까지 수많은 이름과 사연을 품어왔다. 대수(帶水), 아리수, 한수, 경강… 시대마다 달라진 이름 속에는 이 강이 견뎌온 전쟁과 화해, 삶과 죽음의 흔적이 겹겹이 쌓여 있다.
『한강물길 따라 걷는 경기옛길』은 한양도성에서 시작된 역사가 강을 따라 어떻게 경기도의 마을과 나루, 그리고 바다로 흘러갔는지를 발로 걸어 기록한 책이다. 양근에서 출발해 광주·성남·노량진을 거쳐 양천·영등포·파주·고양에 이르고, 강화와 교동도까지 이어지는 길 위에서 저자는 강과 지류가 만든 마을, 그 속에 남은 삶의 흔적을 하나하나 더듬는다.
출판사 리뷰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최철호 소장의
한강물길 따라 떠나는 경기옛길 역사기행
한강은 태백산 오대산 자락에서 솟아난 한 줄기 물이 양평 두물머리를 거쳐 서해로 흘러가기까지 수많은 이름과 사연을 품어왔다. 대수(帶水), 아리수, 한수, 경강… 시대마다 달라진 이름 속에는 이 강이 견뎌온 전쟁과 화해, 삶과 죽음의 흔적이 겹겹이 쌓여 있다.
『한강물길 따라 걷는 경기옛길』은 한양도성에서 시작된 역사가 강을 따라 어떻게 경기도의 마을과 나루, 그리고 바다로 흘러갔는지를 발로 걸어 기록한 책이다. 양근에서 출발해 광주·성남·노량진을 거쳐 양천·영등포·파주·고양에 이르고, 강화와 교동도까지 이어지는 길 위에서 저자는 강과 지류가 만든 마을, 그 속에 남은 삶의 흔적을 하나하나 더듬는다.
책 속에는 임진왜란 행주대첩이 벌어졌던 강변, 남한산성을 지키던 병사들의 길, 포구와 나루에서 김포·강화로 이어지던 수운의 풍경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이 책이 걷는 길은 ‘공식 경기옛길’이 아니다. 지도에 없는, 그러나 사람들의 발길과 기억이 이어온 길이다. 저자는 그 길 위에서 우리가 어디서 왔고, 무엇을 잊고 살아왔는지를 묻는다. 오늘의 풍경 곁에 어제의 이야기를 나란히 놓아,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를 보여준다.
강을 따라 걷는다는 것은 시간을 따라 걷는 일이다. 600년의 역사와 오늘의 삶이 포개진 한강물길 위에서 지금도 숨쉬는 경기도의 얼굴을 만나게 될 것이다.
한강 물길이 품은 경기의 시간과 얼굴
『한양도성 따라 걷는 서울기행』에서 한양도성 안 골목과 성벽, 그리고 그 속에 살아 숨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던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최철호 소장이 이번에는 시선을 한양도성 밖으로 옮겼다. 성문을 나서는 순간 발아래 펼쳐지는 한강, 그리고 그 강이 품어온 경기의 마을과 나루, 바다로 이어지는 물길이 그의 새로운 여정이자 이번 책의 무대다.
전작이 한양도성 안에서 시작된 이야기라면, 『한강물길 따라 걷는 경기옛길』은 그 이야기가 산과 강을 넘어 서해까지 뻗어가는 기록이다. 양근에서 시작해 광주·성남·노량진을 거쳐 양천·파주·고양, 그리고 강화와 교동도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한강과 지류가 만들어낸 마을과 사람, 그리고 그 속에 숨은 역사를 발로 걸으며 한 장 한 장 기록했다.
조선의 수군과 상인, 학자와 화가, 나그네와 망명객이 한강 물길을 따라 흘렀다. 정약용과 겸재 정선이 바라본 강변 풍경, 행주대첩이 벌어졌던 요새, 포구와 나루에서 오가던 물류의 소리… 이 모든 장면에서 물길은 국가의 숨결이자 생명선이었다. 저자는 길 위에서 발굴한 옛 이야기와 사라진 지명을 되살려 우리가 잘 몰랐던 한강의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이 책은 자료실 속 문헌을 옮겨놓은 기록이 아니다. 백사주이십리로 불렸던 여의도의 옛 풍광, 갯벌과 신앙이 공존하는 석모도의 바람, 황희 정승의 고향 반구정에서 바라본 임진강의 물빛… 페이지마다 발걸음의 숨소리와 강물의 파도 소리가 스민다.
여정의 끝자락, 조강과 교동도에 이르면 강은 서해와 맞닿아 분단의 경계가 된다. 저자는 군사분계선 너머 황해도의 산과 마을을 바라보며 물길이 다시 이어줄 미래를 그린다. 과거의 길을 복원하는 일은 통일 시대를 준비하는 일이며, 강을 따라 형성된 공동체 문화를 되살리는 첫걸음임을 일깨운다.
『한강물길 따라 걷는 경기옛길』은 강을 따라 걸으며 왜 이 땅이 ‘경기’였는지, 왜 강이 역사의 무대였는지를 묻는 인문 기행서다. 책장을 덮고 나면 한강변 어디를 걷더라도 발아래 깔린 수백 년의 시간을 느끼게 될 것이다.
남양주와 광주 경계, 여유당 지나 산기슭에 자리한 마재성지는 한국 천주교사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이곳은 정약용의 셋째 형 정약종이 살던 곳이자 한 가족이 신앙을 위해 목숨까지 바친 현장이다.
정약종은 형제 중에서도 성품이 곧고 결심이 단단한 인물이었다. 성리학을 익히던 그는 서학과 천주교 교리에 관심을 가졌고, 평생의 신념으로 받아들였다. 마재의 집은 학문과 신앙을 나누는 모임터였다. 권일신·권철신 형제, 이벽, 이승훈 등 당대의 젊은 지식인들이 이곳에 모여 책을 읽고 토론했다. 한강 건너 양근과 마재 사이에 사람들이 오가며 새로운 사상과 소식을 나눴다.
1637년 병자호란 패전 후 삼전도에서 청나라에 항복한 ‘삼전도의 치욕’은 지금도 역사에 깊은 상처로 남아 있다. 하지만 그 아픔 속에서도 광주의 사람들은 삶을 이어갔고, 장터와 나루는 다시 북적였다.
삼전도 맞은편 송파나루와 풍납토성 일대는 광주목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무대였다. 송파나루는 조선 후기 전국의 곡물과 물자가 모여드는 3대 시장 가운데 하나로, 하루에도 수십 척의 배가 오가며 한양의 밥상을 책임졌다. 강변에 늘어선 주막과 여인숙, 그리고 장터의 북적임은 나라의 흥망과 상관없이 이어졌다.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은 백제의 도읍지로서 고대부터 광주 땅이 지닌 역사적 뿌리를 증언하는 공간이었다.
한강대교 위에 서면 강 한가운데 길쭉하게 누운 노들섬이 시야를 가득 채운다. 오늘날 이곳은 공연과 전시, 음악이 어우러진 문화섬이지만 오래전엔 강을 건너는 요충지이자 수운의 중심이었다. 다리가 없던 시절, 한양에서 한강 남쪽 노량진으로 가려면 반드시 배를 타야 했고, 그 길목에 백로가 날아 앉는 모래톱이 있었다. ‘노들’이라는 이름은 바로 이 ‘백로의 돌’에서 유래했다.
노들섬은 그저 모래섬에 머물지 않았다. 계절과 강물의 높이에 따라 몸을 드러내기도 잠기기도 하며 흐름을 다스렸고, 나루터를 오가는 배들의 발길을 머물게 하는 길목이었다. 조선시대 이곳은 강 건너 경기 땅으로 가는 첫 관문이었으며, 물자와 소식을 실은 조운선, 군선, 상선이 한강 하류로 향하거나 한양도성으로 들어갔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최철호
-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서울용산학연구센터 이사- 양천문화재단 수석비상임이사- ‘한양도성에 얽힌 인문학’ 강연자- 경인일보 <톡(talk)!세상>, 자치발전 <최철호의 성곽기행> 칼럼니스트- 저서 『한양도성 성곽길 시간여행』 『한양도성 따라 걷는 서울기행』 『도상경영:길 위에서 경영을 말하다』
목차
머리말 | 경기는 언제부터 ‘경기(京畿)’였을까?
1 | 북한강과 남한강의 만남
북한강과 남한강이 마주하는 곳, 양근
삼각산과 한강이 지켜온 고을, 양주
두 물이 빚은 역사, 남양주
2 | 철옹성이 감싼 한강 남쪽
남한산성과 행궁의 도시, 광주
한양도성과 남한산성을 잇는 혈맥, 성남
성곽 너머 한강을 품은 도시, 하남
3 | 한양으로 향한 나룻길
600년 수운의 관문, 노량진
시흥행궁과 관아의 신도시, 시흥
정조의 원행길, 과천
4 | 한강 위에 피어난 섬들
백사주이십리, 여의도
믿음과 희생의 자리, 양화진과 잠두봉
한강이 기억하는 섬, 난지도·선유봉·밤섬
5 | 안양천이 품은 삶의 터전
겸재 정선의 붓끝이 머문 고을, 양천
강과 시간이 만나는 땅, 금천
안양천이 품은 포구의 기억, 영등포
6 |경계의 물길, 임진강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땅, 파주
끊긴 선로 위의 시간, 장단
산과 강 그 경계의 기억, 고양
7 | 바다로 향하는 한강의 끝자락
물길을 건너는 관문, 김포
한강 하류 조강의 경계, 통진
요새의 섬, 강화
서해의 관문, 교동도
맺음말 | 경기 아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