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상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노화고령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가천대학교 연구부총장과 이길여암당뇨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특히 삼성종합기술원 부사장 시절에는 산업계와 의학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며 융합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와 웰에이징연구센터장을 역임, 노화 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현재는 전남대학교 연구석좌교수로서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노화과학연구소와 한국백세인연구단 고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고문으로 활동하며 노화 연구의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저서로는 『생명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장수보다 좋은 것은 없다』, 『한국의 백세인』, 『100세인 이야기』, 『웰에이징』, 『백세 엄마, 여든 아들』, 『거룩하게 늙는 법』, 『코로나19가 바꾼 백세시대의 미래』 등이 있다.
지은이 : 강시철
(現)제노시스 AI 헬스케어 부회장. 마케팅 전문가이자 트렌드 기획자.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터넷 관련 비즈니스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 후 30여 년간 인터넷 비즈니스,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며 강연과 저술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전기자동차와 전기 어선을 개발했으며, 여러 상장 기업의 대표를 역임했다. 대한민국 혁신기업 대상(2020년), 대한민국 최고 경영자 대상(2018년), 한국을 빛낸 창조경영 대상(2017년)을 수상했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우회장으로 봉사했다.저서로 『AI의료 미래』,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메타의료가 온다』, 『AI 빅히스토리 10의 22승』, 『인공지능 네트워크와 슈퍼 비즈니스』, 『디스럽션』, 『핸디캡 마케팅』 등을 출간했으며, 『초 개인화 의료로 여는 미래』, 『국민주치의를 위한 보편적 컨시어지의료』, 『3세대 휴먼 디지털 트윈』, 『심비언트, 하늘은 인간에게 AI와 협업할 능력을 주셨다』, 『AI창작의 근원, 할루시네이션』, 『AI 의료경영』 등이 나올 예정이다.
지은이 : 권순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정형외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했다. 가톨릭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캘리포니아 UCSD와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 반스-유대인병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를 시작했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과장, 가톨릭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초대 의무원장, 성바오로병원 마지막 병원장, 은평성모병원 초대와 2대 병원장을 거쳤다. 대한정형외과연구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고, 미국고관절학회에서 OTTO Aufranc Award를 수상하였다. 대한병원협회 한독학술경영대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로 재직하며 대한적십자사 회장 자문역 및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추진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저서로는 『명의들의 스승 그들』, 『메타의료가 온다』 등이 있으며 EBS 〈명의〉, 강원민방 〈명의자서전〉 등의 방송에 출연하였다.
지은이 : 이희원
(現)제노시스 AI 헬스케어 대표. 금성계전엔지니어링 기술영업부차장으로 시작하여 2000년 1월 창업의 길에 뛰어들었다. 코스닥 상장 및 상장사 인수 등 성공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노시스 창업을 이루어냈다. LG전자 우수기업상을 시작으로 벤처기업 대통령상, 정보통신부 장관상, 자랑스런 서울시민 국민총리상을 수상하였다. 제노시스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서 3세대 HTD(Human Digital Twin) 개발을 이끌어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며, 암 치료 및 예방 프로토콜 개발에 매진 중이다. 또한 인공지능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의료 솔루션에 큰 관심을 두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서문
프롤로그
1장 나의 아바타, 휴먼 디지털 트윈이란 무엇인가?
1. 디지털 트윈의 기본 개념
2. 디지털 트윈의 실제 활용 사례와 핵심 가치
3. 휴먼 디지털 트윈의 등장
4. HDT가 해결하고자 하는 현대 의료의 세 가지 거대한 도전
5. HDT의 혁신적 해답과 실제 적용
6. HDT의 현재 과제와 한계
2장 HDT, 어디까지 왔을까?
1. HDT의 초기 모습과 한계
2. 유명 HDT 기술 검토
2.1 유전체 기반 HDT
2.2 실시간 모니터링 HDT
3. 특정 장기 HDT
3.1 심장 디지털 트윈
3.2 뇌종양 디지털 트윈
3.3 가상 환자 시뮬레이션
3.4 만성 대사 질환 관리 HDT
4. 기존 HDT 기술의 공통적인 한계
5. 현재의 성과와 미래를 향한 과제
3장 초지능 HDT는 왜 3세대인가?
1. HDT 기술의 세대 구분
2. 세대별 HDT 기술의 발전과 미래 전망
3. 글로벌 헬스케어 형평성과 접근성
4장 다중 오믹스 데이터의 비밀
1. 환원주의적 접근법의 한계와 시스템 생물학의 등장
2. 생명 정보의 근본적 설계도, 유전체(Genomics)
3. 유전체학의 한계와 후성유전학적 조절의 중요성
4. 전사체(Transcriptomics), 유전자 발현의 실시간 스냅샷
5. 생명 활동의 실질적 수행자 단백체(Proteomics)
6. 생명 활동의 최종 산물, 대사체(Metabolomics)
7. 인간과 공생하는 미생물군유전체(Metagenomics)
8. 통합 오믹스 지도
9. 설명 가능한 AI와 생물학적 해석
10. 웨어러블 기술과 IoT 기반 환경 모니터링
5장 동적 시뮬레이션의 마법
1. 실시간으로 변하는 나를 담는 웨어러블 기기와 센서
2. 손가락 위 작은 비서, 스마트 링의 활약
3. 미래를 미리 살아보는 가상 개입 시뮬레이션
4. 질병 서브타이핑
5. 살아 움직이는 나의 디지털 쌍둥이
6장 나와 대화하는 초지능 의사
1. 딱딱한 보고서가 아닌, 친절한 대화
2. 나만의 초지능 건강 코치
3. 의사 선생님의 든든한 조수
4. LLM AI가 만드는 의료의 미래
7장 안전한 나의 정보, 블록체인의 약속
1. 현재 헬스케어 시스템의 한계와 블록체인의 필요성
2. 내 건강 정보, 내가 주인이다
3.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4. 실제 구현 사례와 기술적 도전 과제
5. 법적·윤리적 고려 사항과 규제 대응
6. 미래 전망과 발전 방향
8장 매일 진화하는 초지능 디지털 트윈
1. 디지털 트윈: 나의 가상 건강 분신
2. 잠들지 않는 나의 건강 비서
3. AI가 설명해 주는 건강 예측
4. 통합적 시스템 아키텍처와 구현
5. 미래 전망과 발전 방향
9장 초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희망, 휴먼 디지털 트윈
1. 초고령화 사회: 도전과 기회
2. 기술적 혁신의 정수, 휴먼 디지털 트윈
3. K-시니어 케어에서의 HDT 적용
3.1 원격 건강 모니터링과 선제적 개입
3.2 선제적 의료 개입
4. 고독사와 병상 사망 예방
5.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와 치매 예방
6. 사회적 연결성 강화
7. HDT 구현을 위한 기술적 기반
8. 사회적 의미와 미래 전망
10장 HDT가 열어갈 미래와 초지능 기술의 역할
1. 질병 없는 세상, 혹은 질병을 관리하는 세상
2. 개인 맞춤형 약의 시대
3. 미래 병원의 모습
3.1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미래 의료 비전
3.2 AI 기반 전문의 상담의 혁신
3.3 AI 지원 임상 업무의 효율성 증대
3.4 의료 영상 분석의 AI 혁신
4. 윤리적 고려와 미래의 과제
에필로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