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준사부
준사부(Brian)한국 최초로 ‘홍콩보험’을 주제로 2022년부터 유튜브 채널, 〈해외금융 읽어주는 남자, 해읽남TV〉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저자는 10년간 외국계 P생명보험사에서 자산가 및 의사를 대상으로 자산관리와 자산이전 컨설팅을 수행해 왔습니다. 2015년부터 홍콩보험을 직접 경험하고, 이후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금융 인식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며 홍콩보험의 선구자로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한국 보험설계사 자격을 자발적으로 말소하고,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정보 전달에 힘쓰고 있습니다.현재는 한국인들이 직접 홍콩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계약 이후 필요한 절차와 서비스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어 통역 및 현지 실무 지원을 통해 한국 소비자가 해외금융 상품을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저자의 목표는 글로벌 금융에 대한 정보 격차를 줄이고, 한국인들의 금융 인식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 그것이 저자의 지속적인 사명입니다.준사부(Michael)20년간 외국계 P생명보험사에서 법인대표 및 의사를 대상으로 자산관리와 자산이전 컨설팅을 수행해 왔습니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는 상속법을 연구했으며 이러한 이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증여와 상속을 결합한 맞춤형 자산관리와 자산이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실제 고객들로부터 높은 신뢰와 만족을 얻었습니다. 현재는 〈해외금융 읽어주는 남자, 해읽남TV〉에서 준사부로 활동하며, 실무 경험과 법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보다 깊이 있는 금융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계법인과 법무법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여, 고객에게 보다 입체적이고 현실적인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자소개(준사부)
서문
PART 1. 왜 지금 ‘홍콩보험’인가?
- 홍콩보험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을 직관적으로 설명하는 파트
제1장. 한국에선 왜 홍콩보험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요?
제2장. 지금 한국에서 달러 자산을 갖는 건 왜 중요한가요?
제3장. ‘역외보험’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제4장. 왜 홍콩이 역외보험의 중심지가 되었을까요?
제5장. 한국 금융이 홍콩에 밀리는 다섯 가지 이유는?
제6장. 자산가들은 왜 홍콩보험을 고집할까요?
제7장. 홍콩보험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는?
제8장. 일반 직장인도 홍콩보험에 가입할 수 있나요?
제9장. 홍콩보험 가입은 한국에 득일까, 실일까?
제10장. 홍콩 건강보험, 한국과 뭐가 다를까?
PART 2. 구조와 핵심 이해
- 홍콩보험의 핵심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구조 설명
제11장. 왜 홍콩보험은 유배당보험인가요?
제12장. 유배당보험과 변액보험은 무엇이 다른가요?
제13장. 홍콩보험은 피보험자 교체가 어떻게 가능한가요?
제14장. 보험료는 연간 한 번에 내나요?(연납) 나눠서(월납) 내나요?
제15장. 보험료는 몇 년 동안 내야 하나요?
제16장. 건강검진 없이도 가입 가능한가요?
제17장. 보험금 청구절차, 어렵지 않나요?
제18장. 보험금은 어떻게 수령하나요?
제19장. 중도 인출은 자유로운가요?
제20장. 연금처럼 매월 수령할 수 있나요?
PART 3. 수익성과 안전성
- 홍콩보험의 실제 수익률과 안정성을 다각도로 분석
제21장. 연 7% 복리, 정말 가능한가요?
제22장. 해지환급금이 원금 초과되는 시점은 언제인가요?
제23장. 한국과 홍콩의 종신보험, 무엇이 다른가?
제24장. 보험 사업비는 얼마나 빠져나가나요?
제25장. 설계서의 약속은 지켜질까?(이행률)
제26장. 설계서는 매년 재발행되나요?
제27장. 보험료 할인도 가능한가요?
제28장. 추가납입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제29장. 상품 설계 시 주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는?
제30장. 피해 사례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PART 4. 세금과 규제 현실적으로 보기
- 증여, 상속, 외화자산 설계까지 연결되는 세금 관련 실전 전략
제31장. 저축보험 인출 시 한국에서 과세되나요?
제32장. 해외금융계좌 신고제도란 무엇인가요?
제33장. 홈택스로 해외금융계좌 신고하는 방법은?
제34장. 홍콩보험도 증여세/상속세를 내야 하나요?
제35장. 절세 전략으로 홍콩보험의 장점은?
제36장. 한국 저축보험처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제37장. 한국 법규상 홍콩보험에 걸리는 규제는 없나요?
제38장. 유배당과 관련된 한국 법규도 있나요?
제39장. 보험료를 해외로 송금해도 문제없을까요?
제40장. 세무사 또는 전문가 없이도 진행 가능한가요?
PART 5. 리스크와 우려 해소
- 독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불안 요소를 정확하게 짚고 해소
제41장. 환차손 위험, 얼마나 클까요?
제42장. 보험사가 파산하면 내 돈은 어떻게 되나요?
제43장. 중간에 납입을 중단하면 무슨 일이 생기나요?
제44장. 소개인이 사기꾼일 수도 있나요?
제45장. 불완전판매는 어떻게 피할 수 있나요?
제46장. 홍콩보험 소비자 보호는 누가 해 주나요?
제47장. 국세청 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나요?
제48장. 외환관리법에 위반될 수 있나요?
제49장. 보험금 수령 시 해외 계좌 문제는 없나요?
제50장. 보험 가입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PART 6. 실전 활용 전략과 사례
- 홍콩보험이 삶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현실적인 예시로 알아보기
제51장. 자녀 교육자금 준비에 적합한가요?
제52장. 유학자금도 마련할 수 있나요?
제53장. 노후자금 마련, 홍콩보험으로 가능할까요?
제54장. 상속자금으로 어떻게 활용하나요?
제55장. 홍콩보험으로 노후파산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제56장. 실제 의사가 가입한 사례가 있나요?
제57장. 80대 노부부가 직접 방문해 가입한 사례는?
제58장. 준사부 장인어른이 손자 선물로 준비한 실제 사례는?
제59장. 홍콩 거리엔 보험 호객꾼이 많다던데 사실인가요?
제60장. 보험금 인출은 어떻게 하나요?
PART 7. 실전 Q&A
- 실제 가입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절차와 관리법
제61장. 가입절차와 필요한 서류는?
제62장. 해외 이민자에게 도움이 되나요?
제63장. 자녀 명의로 가입하면 유리한가요?
제64장. 계약서에 반드시 확인할 내용은?
제65장. 해지할 땐 어떤 절차를 따라야 하나요?
제66장. 가입 후에도 관리가 필요한가요?
제67장. 가입자가 내는 수수료는 따로 있나요?
제68장. 글로벌 보험사는 어디에 투자하나요?
제69장. 법인 명의로도 가입 가능한가요?
제70장. 고액 자산가들이 자주 쓰는 전략은?
PART 8. 고급 전략과 미래 전망
- 고소득층, 은퇴자, 글로벌 투자자가 궁금해할 심화 주제
제71장. 퇴직금을 홍콩보험으로 활용할 수 있나요?
제72장.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왜 중요할까요?
제73장. 미국 시민권자도 가입할 수 있나요?
제74장. 어느 회사 상품이 수익률이 좋나요?
제75장. 2050년 한국의 글로벌 위상은?
제76장. 홍콩보험 피해는 어디에 신고하나요?
제77장. 해지 타이밍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제78장. 어떤 사람에게 홍콩보험이 가장 잘 맞을까요?
제79장. 홍콩배우 故 매염방이 170억 원을 남기고 선택한 마지막 금융상품은?
제80장. 가입 후 후회하는 사람들은 어떤 점을 말하나요?
제81장. 한국 금융이 홍콩에 밀리는 5가지 이유는?
제82장. 싱가포르보험과 비교하면?
제83장. 법률이 바뀌면 기존 계약은 어떻게 되나요?
제84장. 6% 확정금리, 미국 연금보험은 어때요?
제85장. 계약자 사망 시, 보험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제86장. 최근 국내 언론에 나온 홍콩보험 관련 뉴스는?
제87장. 30대~40대 직장인이 가입하면 노후에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제88장. 중국 리스크, 홍콩보험엔 영향 없을까요?
제89장. 홍콩보험 사기 유형, 어떤 게 있나요?
제90장. 자산 분산 전략으로 홍콩보험은 유효한가요?
제91장. 블로그나 유튜브 정보는 믿어도 될까요?
제92장. 계약서 사본을 분실했을 땐?
제93장. 한국인의 99%는 모르는 홍콩보험 인출의 숨겨진 진실은?
제94장. 주택연금 vs 홍콩보험,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제95장. 홍콩의 주요 보험사와 상품은?
제96장. 일본인은 홍콩보험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제97장. 중국인은 홍콩보험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제98장. 대만인은 홍콩보험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제99장. 한국보험사는 왜 홍콩보험 시장에 진출하지 못할까요?
제100장. 홍콩보험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참고자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