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만해 한용운 미학의 철학  이미지

만해 한용운 미학의 철학
한용운의 생명존중과 자비실천의 미학
운주사 | 부모님 | 2025.09.12
  • 정가
  • 22,000원
  • 판매가
  • 19,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4 | 0.406Kg | 312p
  • ISBN
  • 978895746898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엄혹한 억압의 시대에 생명존중과 평화적 삶의 철학을 지니고 자비의 미학을 펼친 만해 한용운의 문학과 사상을 조명하였다. 오랜 시간 학자로서의 길을 걸어온 저자의 마지막 유작이기도 하다.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이며 승려였던 만해 한용운의 삶과 사상을 ‘미학’이라는 새로운 키워드로 해석한 책이다. 흔히 한용운은 시집 『님의 침묵』으로 기억되거나, 3·1 운동 민족대표로서의 정치적 위상에 집중되곤 한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러한 단편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한용운이 남긴 문학과 사상, 그리고 불교적 실천을 ‘생명존중과 자비의 미학’이라는 하나의 축으로 꿰어내고 있다. 저자는 만해의 사상이 불교적 전통과 근대적 사조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히고, 그것이 자유·평화·평등의 가치로 수렴되며 동시에 초월적 미학의 지평을 열어갔음을 설명한다.

특히 한용운의 사상은 단순한 교리 해설이나 문학적 서정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의 아픔을 껴안으면서 실천적 지향으로 나아간다. ‘자유가 없는 삶은 죽음과 같고, 평화가 없는 세상은 지옥과 같다’는 그의 외침은 불교적 자각과 독립운동의 명분을 연결하는 근간이 되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실천적 미학’의 전모를 보여주며, 그가 왜 한국 근현대 지성사에서 유일무이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엄혹한 억압의 시대에 생명존중과 평화적 삶의 철학을 지니고 자비의 미학을 펼친 만해 한용운의 문학과 사상을 조명하였다. 오랜 시간 학자로서의 길을 걸어온 저자의 마지막 유작이기도 하다.

1.
이 책은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이며 승려였던 만해 한용운의 삶과 사상을 ‘미학’이라는 새로운 키워드로 해석한 책이다. 흔히 한용운은 시집 『님의 침묵』으로 기억되거나, 31 운동 민족대표로서의 정치적 위상에 집중되곤 한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러한 단편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한용운이 남긴 문학과 사상, 그리고 불교적 실천을 ‘생명존중과 자비의 미학’이라는 하나의 축으로 꿰어내고 있다. 저자는 만해의 사상이 불교적 전통과 근대적 사조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히고, 그것이 자유평화평등의 가치로 수렴되며 동시에 초월적 미학의 지평을 열어갔음을 설명한다.
특히 한용운의 사상은 단순한 교리 해설이나 문학적 서정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의 아픔을 껴안으면서 실천적 지향으로 나아간다. ‘자유가 없는 삶은 죽음과 같고, 평화가 없는 세상은 지옥과 같다’는 그의 외침은 불교적 자각과 독립운동의 명분을 연결하는 근간이 되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실천적 미학’의 전모를 보여주며, 그가 왜 한국 근현대 지성사에서 유일무이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2.
이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만해의 삶과 사상, 문학적 창작, 그리고 불교적 실천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그 내용과 특징을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미학적 삶의 의미와 가치
책의 서두는 “미학적인 삶은 가장 자기다운 삶”이라는 선언으로 시작한다. 만해가 추구한 삶은 단순히 아름다움을 향유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본래의 자유와 창조성을 회복하는 과정이었다. 저자는 바움가르텐 이후 전개된 서양 미학의 흐름과 불교적 자비 사상을 나란히 놓고, 만해의 삶을 ‘창조적 저항의 미학’으로 해석한다.

삶과 사상, 그리고 독립운동
만해의 출가 전후의 삶이 상세히 다뤄진다. 어린 시절부터 역사의식과 민족혼을 가르침 받은 그는 동학농민운동과 부친의 죽음을 계기로 시대의 모순을 체감한다. 출가 이후 불교 경전과 선 수행에 몰두했지만, 동시에 서구 사상과 근대 문명을 접하며 시야를 확장했다. 특히 31 운동 참여와 옥중에서 집필한 <조선 독립 이유서>는 그의 사상이 어떻게 실천으로 이어졌는지를 웅변한다.

문학적 창조와 상징의 힘
책의 중반부는 『님의 침묵』을 비롯한 만해의 문학세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한용운의 시는 ‘님’이라는 존재를 중심으로 조국과 민족, 불교의 이상, 궁극적 진리를 아우른다. 저자는 꽃, 나무, 침묵, 자연 등 만해 문학 속 상징과 은유, 역설이 시대 현실과 초월적 세계관을 동시에 담아내는 독창적 장치였음을 강조한다.

불교적 사유와 자비 실천
저자는 만해 사상의 핵심을 불교적 자비와 화엄적 사유에서 찾는다. 모든 존재는 상호 연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관계망 속에서 평등과 사랑을 실현하는 것이 곧 참된 깨달음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다양한 불교 경전을 인용하며, 만해가 불살생과 생명존중, 방생의 가르침을 삶 속에서 실천했음을 보여준다. 그는 수행자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적 아픔을 치유하고자 독립운동에 나섰다. 이는 ‘깨달음은 타자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것’이라는 불교적 자각이 구체적 역사 속에서 구현된 사례이다.

심우송과 초월의 미학
심우송(尋牛頌)과 십우도(十牛圖)에 대한 해석은 만해의 문학과 불교 사상이 만나는 지점이다. 저자는 만해가 ‘소 찾기’의 은유를 통해 자아의 탐구와 깨달음을 노래했으며, 이를 민족적 현실 극복과 연결했다고 본다. 더 나아가 그는 초현실주의와 선시(禪詩)를 회통하며, 현실을 넘어서는 자유와 초월의 미학을 제시했다. 이는 그의 시 세계가 단순히 현실 고발을 넘어서, 우주적 차원의 조화와 합일을 추구했음을 드러낸다.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비교
책의 말미에서는 스리랑카 불교개혁가 다르마팔라와 만해를 나란히 다룬다. 두 사람은 같은 시대, 다른 공간에서 불교 근대화와 민족 해방을 이끈 인물로, ‘불교적 미학과 실천’이라는 공통분모를 지녔다. 저자는 이를 통해 만해 사상이 민족적 한계를 넘어 보편적 인류 가치와 연결된다는 점을 부각한다.

3.
이렇듯 이 책은 단순한 학술적 연구서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학계의 연구자뿐 아니라 문학과 철학, 종교와 역사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줄 것이다. 만해의 사상과 실천적 미학을 통해 독자들은 단지 과거를 이해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오늘의 삶을 성찰하고 내일의 길을 모색하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백원기
1954년 경북 김천 출신으로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문학박사)했다.1978년 용인 태성고등학교 영어교사와 동국대학교 전산원 교수(1990년)를 거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2006년)로 재직하다 퇴임, 미래교육원 원장과 석좌교수로 재직하며 30여 명의 박사와 50여 명의 석사를 배출하는 등 후학들을 지도하다 2025년 4월 8일 별세했다.김천에서 고등학교 때부터 불교학생회에 가입, 왕성한 신행활동을 했으며 교사로 재직 시 용인지역에서 용인불교학생회를 창립해 지도교사로 활동하며 포교에 앞장섰다.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1992년에는 불교학생회 반야회를 창립해 지도교수를 맡아 전법활동을 했다. 2000년부터는 국제포교사회 회장으로 2년간 한국불교를 국내외에 알리는 데 진력했다. 2018년에는 한국숲과문학명상협회를 창립해 회원 100여 명과 함께 숲치유와 문학치유를 통한 선명상 보급에 앞장서 왔다.저서로는 『자연 관조와 명상, 시가 되다』, 『명상은 언어를 내려놓는 일이다』,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불교설화와 마음치유』, 『숲 명상시 이해와 마음치유』, 『최신전산영어』, 『하디 시의 이해』, 『하디의 삶과 문학』, 『시골집에 새가 있는 풍경』 등 20여 권이 있다.

  목차

발간사·5
머리말·7

제1장 미학적인 삶의 의미와 가치 17
1· 미학적인 삶은 가장 자기다운 삶·17
2· 미학적인 삶의 가치·19
3· 불교적 관점의 실천적 삶의 미학·20

제2장 만해의 삶과 사상 33
1· 만해의 출가 이전의 삶·33
2· 만해의 출가 이후의 사상·35
3·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48

제3장 독립의지의 표상으로서의 ‘이미지’ 61
1· 어디로 가야 하나·61
2· 독립의지의 표상 - ‘꽃’과 ‘나무’로·65
3· 진정한 자유와 평등의 표상·81

제4장 만해의 ‘심우장 시대’와 문학의 특징 85
1· 삶의 회향처 ‘심우장’·85
2· 만해의 ‘심우장 시대’·88
3· ‘심우장 시대’ 상황과 만해 문학·95
4· ‘님’은 침묵했으나 결코 침묵하지 않은 만해의 설중매 정신·124

제5장 침묵의 미학: 『님의 침묵』과 독립 129
1· 왜 만해는 시작(詩作)에 몰두했던가?·129
2· 님을 위한 사랑의 변주곡·130
3· 역설적 저항·133

제6장 희망의 상징: 자아 찾기와 깨달음 그리고 희망 143
1· 자아 찾기와 깨달음·143
2· 미래 지향적 희망의 메시지·146
3· 자연 관조를 통한 조화와 합일의 메시지·155

제7장 자비의 실천: 화엄적 사유와 생명사랑 161
1· 만해와 화엄적 사유·161
2· 생명에 대한 외경과 자비심의 실천·170
3· 연기적 존재 인식과 합일의 조화·177

제8장 초월의 미학: 만해의 시와 초현실주의 회통 187
1· ‘평상심시도’의 선적 사유·187
2· 초현실주의와 선의 회통·191
3· 초현실주의 시와 선시의 양상·195
4· 깨닫고 보니 ‘산은 산, 물은 물’·207
5· 초현실주의 시와 만해 선시의 회통·222

제9장 실천의 자비행: 「심우송」에 나타난 깨달음과 보살도 225
1· 「심우도」의 연원·225
2· 구도와 깨달음의 미학 「십우도」·230
3· 회향의 미학 「십우도」·245
4· 동체대비의 자비실천·259

제10장 근대 아시아 불교중흥 기수: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미학적 삶 261
1· 불교중흥과 자비실천의 서원·261
2·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삶과 사상·265
3·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불교중흥운동 실천 미학·272
4· 불교중흥운동의 역사적인 의미·285
5· 자유와 생명존엄의 인류사랑 지향·287

참고문헌·291
찾아보기·299
추모의 글·307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