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한기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사회화 통합이론 연구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남북관계의 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며, 통일부 서기관과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한국위원회 위원, (사)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의 연구실장(연구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저서로는 『분단의 힘: 경계가 지배하는 한반도』(선인, 2023), 『AIU연구총서1 다음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 접촉·일상·공존』(한국학술정보, 2024), 『북한의 복지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공저, 2020), The Perpetuated Hostility in the Inter-Korean Rivalry, KOREA OBSERVER, 49-2(공저, 2018) 등이 있다. 국립외교원 제7회 학술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서문
Ⅰ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조건
3. 조사 방법
4. 조사 내용
5. 추진 체계
Ⅱ 통일에 대한 인식
1. 남북한 통일에 대한 인식
2.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도
3. 통일이 필요한 이유
4.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5. 통일 가능 예상 시기
6. 통일에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
7. 통일 이후 국가적으로 가장 기대되는 점
8. 통일 이후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되는 점
9. 통일을 하기 위한 통일비용과 분단비용 중 더 큰 비용
10. 통일이 이익이 되는 정도
1) 통일은 우리나라에게 이익이 되는가?
2) 통일이 경기도에 이익이 되는가?
3) 통일이 나에게 이익이 되는가?
11.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남북한 통일 유형
12. 통일에 대한 견해
13. 통일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가 추진해야 할 일
1) 남북한 간 인적 물적 교류 활성화
2) 남북한 간 경제 협력 확대
3) 남북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
4) 일관성 있는 통일정책 추진
5) 남북 간 종전, 평화적 국가 관계 확립
6) 중국·미국 등의 국제적 합의
14.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
15. 주변국가 인식에 대한 인식
1) 미국에 대한 인식
2) 일본에 대한 인식
3) 중국에 대한 인식
4) 러시아에 대한 인식
5) 북한에 대한 인식
16. 타 국가들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1) 미국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2) 일본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3) 중국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4) 러시아가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5) 북한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정도
Ⅲ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1. 북한에 대한 관심 정도
2. 북한이나 통일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1) 정보 습득 경로: 1순위
2) 정보 습득 경로: 1+2순위
3. 북한이탈주민 인식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관심이 간다
2) 북한이탈주민들을 돕고 싶다
3) 북한이탈주민들을 피하고 싶다
4)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두렵다
4. 북한이탈주민들과 자주 이야기하는 정도
5. 통일 후 북한 출신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1) 이웃 주민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2) 직장 동료로 받아들일 수 있다
3) 친한 친구로 받아들일 수 있다
4) 연인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5) 결혼할 수 있다
6) 자녀와 결혼시킬 수 있다
Ⅳ 경기도 통일교육의 과제
1. 경기도와 통일교육 필요성
2. 경기도 차원 통일교육 제공의 필요성
3. 교육 참여율
4. 교육 만족도
1) 강의식 통일교육 방법 만족도
2) 2회 이상 시리즈 통일교육 방법 만족도
3) 통일 관련 토크/콘서트 통일교육 방법 만족도
4) 통일 관련 경연대회 통일교육 방법 만족도
5) 통일 관련 전시/부스 행사 통일교육 방법 만족도
5. 통일교육을 통해 얻게 된 점
6. 통일교육 효과증진을 위해 효과적이라 생각하는 내용
7. 향후 통일교육 수강 시 받고 싶은 교육
8. 향후 통일교육 참여 시 선호하는 방식 295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