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포백 김대봉 문학선  이미지

포백 김대봉 문학선
우리나라 최초 의사문인
지누 | 부모님 | 2025.10.13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0.160Kg | 178p
  • ISBN
  • 979118784957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일제강점기, 의사이자 시인·소설가로 살다 간 포백(抱白) 김대봉. 그는 진료 현장에서 마주한 환자의 육신과 정신의 고통을 글로 옮기며, 의학의 시선이 환자의 내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간 전체로 향해야 함을 깨달았다.

2024년 겨울, 전작 「글짓는 의사들」을 통해 전 세계 의사문인 108명의 삶과 글을 세상에 알렸던 저자 유담이, 신간 「포백 김대봉 문학선」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문인 김대봉의 문학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의학과 문학의 교차점에서 인간 이해를 추구했던 김대봉의 문학적 실천이, 실제 의사이자 문인인 저자에 의해 되살아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뜻깊다.

인간의 삶은 ‘편의’와 ‘결과’로만 재단할 수 없으며, 몸과 마음에 고스란히 새겨지는 삶의 과정은 그 자체로 고귀하다. 의사의 시선으로 인간의 존재를 탐구하고, 문학의 언어로 풀어낸 김대봉의 작품들은 그래서 더욱 가치있고 귀중하며, 「포백 김대봉 문학선」은 그 여정을 기록해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이자 시대적 의미가 큰 저작이다.

  출판사 리뷰

의학과 문학의 경계를 허문 한국 최초의 의사문인
‘포백 김대봉 문학선’출간


일제강점기, 의사이자 시인·소설가로 살다 간 포백(抱白) 김대봉(1908~1943).
그는 진료 현장에서 마주한 환자의 육신과 정신의 고통을 글로 옮기며, 의학의 시선이 환자의 내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간 전체로 향해야 함을 깨달았다.

2024년 겨울, 전작 「글짓는 의사들」을 통해 전 세계 의사문인 108명의 삶과 글을 세상에 알렸던 저자 유담이, 신간 「포백 김대봉 문학선」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문인 김대봉의 문학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의학과 문학의 교차점에서 인간 이해를 추구했던 김대봉의 문학적 실천이, 실제 의사이자 문인인 저자에 의해 되살아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뜻깊다.

저자 유담은 전작 「글짓는 의사들」에서 ‘최첨단 진단기기의 숫자와 기호에만 의존하는 치료 과정 속에 인간적 이해의 치유 행위가 사라지고 있다’라고 우려한 바 있다. 현재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들고 있는 AI는 이러한 인간 몰이해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그 필요마저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겠다.

그러나 인간의 삶은 ‘편의’와 ‘결과’로만 재단할 수 없으며, 몸과 마음에 고스란히 새겨지는 삶의 과정은 그 자체로 고귀하다. 의사의 시선으로 인간의 존재를 탐구하고, 문학의 언어로 풀어낸 김대봉의 작품들은 그래서 더욱 가치있고 귀중하며, 「포백 김대봉 문학선」은 그 여정을 기록해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이자 시대적 의미가 큰 저작이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에 목마른 독자들에게 「포백 김대봉 문학선」이 더욱 큰 힘이 될 것이다.

한편 이 책은 포백의 작품 중에서 의학적 내용 또는 수사가 뚜렷한 시와 산문을 골라 묶었다. 시는 『무심』(1938년)을 기준으로 『무심』 이전에 발표한 시, 『무심』에 실린 시, 그후에 발표한 시 등으로 나누어 실었다.

알멍하게 힘없는 동공(瞳孔)에는
흡줄한 꿈이 어리고 있다
(시대(時代)의 고민인가 세기(世紀)의 철학인가 인생(人生)의 감성인가)
그 꿈속에는
하염없이 눈물이 흘러내리고 있다
(생(生)의 실망인가 현실(現實) 저주의 화살인가 희망(希望)의 격분인가)

- 동공(瞳孔)의 촉수(觸手) 중에서

나에게는 낮과 밤이 없습니다.
겨울(冬)과 여름(夏)이라니,
설과 추석조차 없습니다.
날이면 날마다
썩은 살에 붕대를 감고
낡은 창자에 약을 지었다만
애닯다, 이 몸만 고달픔이여.
세상에는 위안이란 없도다.

- 의심(醫心) 중에서

환자를 보니 매우 심하게 안 좋게 보이는지 「언제 왔소.」하며 청진기를 빼어 들고 그 환자를 노려보는 것이다. 그 늙은 환자는 거미 같은 손을 훌훌 떨며 뼈만 남은 가슴을 내미 는 것이다. 툭툭 몇 번 타진을 하여보더니 입맛을 다시며 「병이 꽤 위독한데 돈은 얼마나 가져왔소.」 하였다.
이 말을 들은 늙은이는 암상하게도 거무튀튀한 얼굴을 내밀고 눈물을 흘리며 「자비심 많으신 선생(先生)님에게 동정을 받아서 병을 고치려고 왔습니다. 후일에는 몸으로서 보은을 다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의사는 그 환자의 진정도 알 수 없거니와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다만 다 같은 사람들의 흔히 하는 하소연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의사는 뚝 말을 쏘아 놓는 것이다. 「그런 말은 귀가 아프도록 들었소.」하고는 안방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그때야 비로소 세상의 무정을 깨달은 듯이 늙은이는 굵은 눈물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 의사(醫師)의 조수(助手)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유담
본명 유형준(柳亨俊). 1953년 서울 태생. 1998년 『문학예술 동인지』, 2013년 『문학청춘』으로 등단. 1992년 『문학예술』(수필) 등단. 서울대 의대 및 동 대학원(의학박사). 서울대병원 내분비 내과(전문의). 한국의사시인회, 문학청춘작가회 초대 회장. 한국의사수필가협회 회장, 한림의대 내과학 및 의료인문학 교수 역임. 문학청춘작가회 동인지 작품상 수상. | 현재 | 의학과 문학 접경연구소 소장, 함춘문예회 회장, 쉼표문학 고문,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명예회장, 씨엠병원 내분비내과 과장 | 단독 저서 | 『당뇨병 교육』, 『당뇨병의 역사』, 『당뇨병 알면 병이 아니다』, 『성인병 알아야 이긴다』, 『노화수정 클리닉』 | 시집 | 『두근거리는 지금』, 『가라앉지 못한 말들』. | 산문집 | 『늙음 오디세이아』, 『의학에서 문학의 샘을 찾다(2023년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사업 선정작)』, 『글짓는 의사들』

  목차

머리글 8

『無心』 이전
농부의 노래 15
피의 글자 16
묵상(默想) 17
그 환자(患者) 18
실명여탄(失明餘嘆) 19
어린이의 말 20
사체해부(死體解剖) 22
학창(學窓)에서 23
아버지의 손을 보고 26
쇠 달구는 소리 28
생활시편(生活詩篇) 32
탁상어(卓上語) 34
동공(瞳孔)의 촉수(觸手) 37
나의 이반자(離反者) 39

『無心』
무심(無心) 45
출발(出發) 47
생사(生死) 중간(中間) 50
엄마는 52
이 마음을 53
벗에게 54
보리피리 55
누에 56
창외(窓外) 57
상흔(傷痕) 58
유자(孺子) 60
병실(病室) 62
수술(手術) 64
아사(兒死) 66
의심(醫心) 68

『無心』 이후
추제삼일(秋題三日) 73
영아보(嬰兒譜) 75
별후(別後) 82
추사(秋死) 84
진리(眞理) 87
기원(祈願) 88
사·생(死·生) 90
낙엽(落葉) 93
사월(四月) 94
선언(宣言) 96

산문
<소설>
의사(醫師)의 조수(助手) 101

<수필>
의도(醫徒)의 수기(手記) 113
진찰실(診察室) 풍경(風景) 117

<비평>
의학(醫學)과 문학(文學) 128
생활(生活)과 과학(科學) 130

<논설>
세균(細菌)이야기 135
봄철의 질환(疾患)과 「비타민」 144

해설
우리나라 최초 의사문인 포백 김대봉 153
- 유담(의학과 문학 접경 연구소장)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