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신부용
공학박사(토론토대 교통공학 전공)1980년 KIST 유치과학자로 귀국하여 우리나라 교통 기본계획을 수립1986년 ‘한국교통연구원’(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창설하고 원장 역임(전) KAIST 한글공학연구소장2010년 KAIST 문화과학대학에 한글공학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글의 공학적 기능에 주목하여 문자·언어문화·정보기술을 융합하는 연구 진행(현) 선진사회만들기연대 공동대표(현) 한국 공학한림원 원로회원‘한글20’ 개념 창안, 훈민정음의 표기기능과 한글의 컴퓨터 적응성을 구현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과 한국어의 가능성에 관한 다수 발표와 기고저서 : ‘도로위의 과학’ 외 다수
책머리에
Foreword
감사의 글
제1장 문자의 발전: 상형문자에서 한글까지
1.1 문자란 무엇인가?
1.2 인간의 지능발전과 문자
1.3 문자의 진화와 발전
1.4 라틴 알파벳은 문자 발전의 종착역인가?
1.5 아부기다(Abugida)와 훈민정음
1.6 훈민정음과 한글
제2장 훈민정음
2.1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2.2 세종대왕의 구상
2.3 세종대왕의 결심
2.4 세종 이후의 훈민정음
2.5 개화기의 훈민정음과 헐버트
제3장 한글의 등장과 과제
3.1 한글 등장의 배경
3.2 8.15 광복과 한글의 정착
3.3 이승만 대통령의 한글 개혁과 최현배
3.4 대한민국의 한글
3.5 한글은 세계 최고의 문자인가?
3.6 한글의 표음 기능
3.7 한글과 한자의 관계
제4장 한글과 훈민정음
4.1 한글과 훈민정음은 무엇이 다른가?
4.2 한글과 훈민정음의 내용적 차이
4.3 한글의 폐쇄성과 그 영향
4.4 한글이 나아가야 할 길
제5장 21세기 세계문자, 로마자
5.1 놀라운 세계문자, 로마자
5.2 로마자의 진화 내력
5.3 세계문자로서 로마자의 문제점
제6장 외래어 표기법과 외국어 표기법
6.1 외래어 표기법은 무엇인가?
6.2 외래어 표기법의 유래
6.3 외래어 표기법의 개요
6.4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정리
6.5 외래어 표기법이 끼친 영향
제7장 미래의 세계문자 한글20
7.1 한글20의 탄생
7.2 한글20의 수치화
7.3 한글20의 사명
7.4 한글20의 지원 기술
7.5 세계문자 한글20, 로마자와 경쟁할 수 있을까?
제8장 한글20의 과제
8.1 문자가 없어 소외된 지역(부족)에 문자 보급
8.2 특정 언어를 위한 병음의 역할
8.3 범 언어를 위한 병음, 한글20
8.4 장애인의 문자 생활 보조
8.5 문맹 문제 해결
8.6 언어장벽 극복
8.7 절박해진 세계문자의 출현
제9장 한국어와 인공지능(AI)
9.1 한류에서 인공지능(AI)으로
9.2 인공지능(AI)이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
9.3 인공지능 언어모델이 참고할 한국어의 특성
9.4 인공지능과 함께 발전할 한국어
제10장 한글20 세계화를 위한 8대 사업
10.1 말소리 연주기 제작
10.2 리아드 박람회에 한글20 전시관 설치
10.3 세계 애창곡 경연대회 개최
10.4 세계 점자 혁명
10.5 한글20 기반 중국어 학습법 개발
10.6 한영중(KEC) 언어사관학교 설립
10.7 언어산업 육성
10.8 한글공학연구소 설립
10.9 8대 사업 추진 전략
맺음말: 세계문자 한글20의 구현
Concluding Remarks: Hangul20, A New Universal Alphabet
참고문헌
색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